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六臣祠) . 태고정(太古亭) . 도곡재(陶谷齋)
탐방일:2024년 09월 17일 추석날 나홀로 탐방
탐방 코스:충절문-묘1리동회관-주차장-해설사-사육신기념관-묘운카페-충효당-육신사-태고정-충의사-
도곡재-주차장 거리 1km 탐방 시간 50분 소요 된다
네비:대구광역시 달성군 육신사길 64 "육신사"
*** 대중교통 노선: 성서 홈플러스 앞 버스정류장 환승 (성서 2번) ***
*** 충절문 ***
충절문을
지나 약 500m 거리에
펼쳐지는 배롱나무 (목백일홍)
꽃길은 더운 여름철에 붉은 빛으로
아름다운 자태를 보여주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배롱나무
와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드
는 곳으로 유명하다.
*** 해설사의 집 ***
*** 버스 정류장 ***
*** 사육신 기념관 ***
*** 충효당 ***
*** 충효당에 있는 작은 연못 '명경지담(明鏡之潭)' ***
*** 묘운 카페 ***
*** 육신사 ***
육신사는
사육신을 기리는
사당으로 조선 세조 때
사육신인 (박팽년.성삼문.
이개.유성원.하위지.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처
음 사당을 건립할 때는 박팽년
선생만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
나 선생의 현손인 박계창이 선생
의 기일에 사육신이 사당 문밖에
서 서성거리는 꿈을 꾸시고 나
머지 5위의 향사도 함께 모셔
지내게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육신사 내부에는
홍살문과 성인문이 있
으며 사당안에는 여섯 충신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곳으로 그 분들을 기리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 송덕사 ***
*** 육각기념비 ***
사육신
기록이 담긴
육각기념비에는
박정희 대통령.최규하
대통령.박준규 국회의장의
휘호가 세워져 있다.
*** 육신사 안에 있는 성인문 ***
*** 일시루 ***
*** 태고정 ***
태고정은
(1,479년)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이 건립한
것으로 종택에 딸린 별당 건물로
태고정에는 '일시루'라는 현판이 붙어
있으며 이 현판은 안평대군의 글씨를 집
자한 것이라고 하며 박일산은 당시 어머니
뱃속에 있었는데 아들로 태어나 죽음을 당
해야 했지만 어머니가 집안의 노비가 낳은
딸과 바꾸어 살게 하였으며 목숨을 구할
수 있었고 그후 일가를 일구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태고정이다.
*** 충민공 한석당 박선생 유적비 ***
*** 충의사 ***
충의사는
박팽년 선생의
부친인 박중림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박중림도 아들과
함께 단종 복위에 가담하다가 능지
처참을 당하였으며 부자의 가슴 아픈
충성과 절개가 깃든 곳으로 사당 앞
에는 충민공 한석당 박선생 유적
비가 세워져 있다.
*** 회화나무 ***
수령이
550년 이라고 합니다
*** 운경정사 ***
*** 삼가현 ***
삼가현은
박팽년의 11대
손인 '성수'가 1769년
이곳에 초가집을 짓고
자기의 호를 따서 삼가현
이라 한 것에서 시작되어
그 뒤 그의 아들 '광석'이
1783년 이웃 묘골에서
현재 위치로 분가하여
1826년 초가를 헐고
안채와 사랑채를 건
립하였다고 한다.
*** 도곡재 ***
도곡재는
박팽년의 후손이
지은 고택으로 "ㅁ"자
형태의 배치와 특히 아름
다운 정원이 특징이며 조선
시대 남부지방 양반 가옥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 묘골 옹기종기 한옥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