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일 기능 제품보다 제∙가습 기능이 접목된 공기청정기를 선호 -
- 가습기와 공기청정기는 UAE 표준측량청(ESMA)의 적합성 인증 규제 대상 -
□ 상품명, HS Code
○ HS Code 847989 (기타)
- 제습기, 가습기를 비롯하여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공기 처리 관련 제품을 포함하고 있으나 그 중 제습기, 가습기(이하 제∙가습기)를 선정함.
□ 시장규모, 시장 동향
○ UAE 제∙가습기 시장규모 및 동향
UAE 제∙가습기 시장 현황 및 전망
(판매액 단위: AED 백만, 판매수량 단위 : 천 개)

주 : AED 1 = USD 0.27
자료원 : Euromonitor
- UAE는 여름이 길고 최고 기온이 45°C를 웃도는 고온 기후로 인해 건물 건설 시 에어컨을 비롯한 공기 처리 시스템이 설치되어 생활소비재용 제습기나 가습기에 대한 수요가 적은 편이나, 아파트에 발코니가 없거나 모래바람과 같은 기후의 영향으로 발코니가 아닌 실내에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가구 등 제습기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가 있음. 또한 실내 활동 비중이 높으며 잦은 에어컨 사용으로 인해 건조해진 공기 탓에 가습기에 대한 수요도 있음.
- 아직 그 규모가 큰 시장은 아니나, 2012년 대비 2017년 UAE 제습기와 가습기 시장은 각각 16.9%, 8.8%의 성장률을 보임. 건강을 위한 실내 습도 조절에 대한 현지 소비자의 인식이 개선되고 있어 앞으로도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 판매수량은 가습기가 제습기보다 많지만, 판매액의 경우 제품 개당 가격이 비교적 고가인 제습기의 판매액이 가습기 판매액보다 큼.
□ 수입 규모 및 동향
○ UAE 제∙가습기 수입 규모 및 동향
UAE 국가별 제∙가습기 수입 현황 (HS Code 847989 기준)
순위 | 국가명 | 수입액(백만 달러) | 비중(%) | 증감률(%) (2016/2015) |
2014 | 2015 | 2016 | 2014 | 2015 | 2016 |
- | 전체 | 305.10 | 167.41 | 161.08 | 100 | 100 | 100 | -3.78 |
1 | 미국 | 77.50 | 47.34 | 38.77 | 25.40 | 28.28 | 24.07 | -18.10 |
2 | 독일 | 35.87 | 27.22 | 28.77 | 11.76 | 16.26 | 17.86 | 5.68 |
3 | 이탈리아 | 17.52 | 17.28 | 15.20 | 5.74 | 10.32 | 9.43 | -12.06 |
4 | 대한민국 | 6.79 | 2.92 | 8.87 | 2.23 | 1.75 | 5.50 | 203.37 |
5 | 싱가폴 | 29.56 | 7.09 | 8.09 | 9.69 | 4.23 | 5.02 | 14.10 |
6 | 인도 | 12.60 | 7.54 | 8.05 | 4.13 | 4.50 | 5.00 | 6.75 |
7 | 프랑스 | 8.93 | 3.52 | 7.05 | 2.93 | 2.10 | 4.37 | 100.05 |
8 | 영국 | 14.04 | 4.63 | 6.32 | 4.60 | 2.77 | 3.92 | 36.52 |
9 | 프리존 | 15.70 | 13.17 | 6.10 | 5.15 | 7.87 | 3.78 | -53.72 |
10 | 스위스 | 9.79 | 3.95 | 5.48 | 3.21 | 2.36 | 3.40 | 38.65 |
주 : 본 HS Code는 냉방 기기, 조상기, 도포기 등을 포함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 2016년 기준 UAE 제∙가습기 수입 현황은 미국이 24.0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독일(17.86%), 이탈리아(9.43%), 대한민국(5.5%) 순서로 수입 비중을 차지함.
- 특히 2015년 대비 2016년 UAE의 제∙가습기 전체 수입량은 약 4% 감소한 반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율은 203%에 달하여 큰 폭으로 증가함.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 기업
○ UAE 제∙가습기 시장 경쟁 동향
2017년 기준 UAE 제∙가습기 기업별 시장 점유율 상위 10개
기업명 | 브랜드명 | 시장 점유율 (%) |
Hisense Middle East | Hisense (중국 브랜드) | 11.4 |
Super General Co | Super General (UAE 브랜드) | 9.1 |
LG Electronics Gulf FZE | LG (한국 브랜드) | 7.2 |
Hafet Electrical LLC | Haier (중국 브랜드) | 6.5 |
General Enterprises Co | Westpoint (프랑스 브랜드) | 5.0 |
Aftron Electronics Ltd | Aftron (UAE 브랜드) | 3.7 |
Panasonic Marketing Middle East & Africa FZE | Panasonic (일본 브랜드) | 3.4 |
Samsung Electronics Middle East & Africa | Samsung (한국 브랜드) | 3.1 |
Hitachi Middle East FZE | Hitachi (일본 브랜드) | 2.7 |
Carrier Corp | Carrier (미국 브랜드) | 2.5 |
주 : 위 통계는 제∙가습기를 비롯하여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공기 처리 관련 제품을 포함
자료원 : Euromonitor
- 2017년 기준 UAE 공기 처리 관련 제품 시장 내 기업별 점유율은 중국 기업 Hisense Middle East가 11.4%로 1위임. 그 다음으로 UAE 기업 Super General Co가 9.1%, 한국 기업인 LG Electronics Gulf FZE가 7.2%의 시장점유율을 보임.
- 한국 브랜드인 LG와 Samsung이 UAE 제∙가습기 시장에서 각 7.2%, 3.1%로 상위 점유하고 있음.
UAE 내 주요 브랜드 제∙가습기 제품
브랜드명 | 제품 | 가격 (AED) |
Stadler Form (스위스 브랜드) |

Albert (제습기) - 적용 면적 : 70m² - 크기 : 350 x 655 x 252 mm - 특징 : 가정용으로 적합, 공기 배출구가 상하로 움직여 정회된 공기를 고르게 배출 | 2,650 |
Eva-Dry (미국 브랜드) |

EDV-1100 (제습기) - 적용 면적 : 1,100 cubic feet - 크기 : 6.5 x 5.3 x 8.5 inches - 특징 : 소형 제습기로 차량, 보트 내에서도 사용 가능 | 410 |
Black & Decker (미국 브랜드) |

HM3000-B5 (가습기) - 크기 : 8 x 6.5 x 9 inches - 특징 : 초음파 가습기, 방향을 위한 향수나 에센스 등 사용 가능 | 125 |
Hitachi (일본 브랜드) |

EPA9000 (공기청정기) - 적용 면적 : 68 m² - 크기 : 669 x 360 x 254 mm - 특징 : 가습효과, 알레르기 방지 HEPA 필터, 생활 냄새 제거 등 | 2,754 |
eKlasse (전자제품 전문점 Sharaf DG의 브랜드) |

EKAIRP03BR (공기청정기) - 적용 면적 : 33-38 m² - 크기 : 452x233x438 mm - 특징 : 가습효과, HEPA 필터 등 | 1,259 |
주 : AED 1 = USD 0.27, 위 가격은 2018년 11월 Souq, Sharaf DG 기준
자료원 : Euromonitor, Souq, Sharaf DG
- 가습기는 한 대당 3만원대의 저가 제품도 있는 반면 제습기는 비교적 고가의 제품임.
- 제습, 가습 기능만을 가진 단일 기능 제품뿐만 아니라 공기청정기에 제습, 가습 기능이 함께 있는 제품도 있으며, 단일 기능 제품보다 복합 기능을 가진 공기청정기가 보편적임.
□ 유통구조
○ UAE 제∙가습기 유통구조
UAE 제∙가습기 유통구조

- 초기 단계 혹은 소규모 거래 시 현지 법인 설립 없이 수입업체(Distributor)와 에이전트 거래를 통해 진출하는 것이 일반적임.
- 수입업체의 보유 거래처를 토대로 하이퍼마켓, 전자제품 전문점 등으로 납품이 이루어지므로 업체 선택에 신중해야 함.
○ UAE 제∙가습기 주요 유통채널
2017년 기준 UAE 제∙가습기 주요 유통채널

주 : 위 통계는 제∙가습기를 비롯하여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공기 처리 관련 제품을 포함
자료원 : Euromonitor
- UAE 내 제∙가습기를 비롯한 공기 처리 관련 제품의 주요 유통 채널은 전자제품 전문점과 하이퍼마켓임. UAE 전자제품 전문점에는 Sharaf DG, Emax, Jacky’s 등이 있으며 하이퍼마켓에는 Carrefour, Lulu Hypermarket 등이 있음.
- Home Centre, Centrepoint 등 가구 및 인테리어 제품을 판매하는 대형 잡화점에서도 가습기를 비롯한 공기 처리 관련 제품을 판매함.
- UAE의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 시 현장에서 실물을 확인한 후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아직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유통은 미미함. 그러나 Souq, Noon 등 인터넷 쇼핑몰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일부 전자제품 전문점은 인터넷 쇼핑몰도 병행하여 운영하고 있음.
전자제품 전문점의 인터넷 쇼핑몰

자료원 : uae.sharafdg.com
□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 해당 품목의 경우 현지의 수입관세율은 GCC 관세협정에 따라 무관세가 적용되며, 부가가치세(VAT) 5%가 적용됨.
○ 가습기, 공기청정기는 ECAS 인증을 획득해야 함.
- UAE의 표준 측량 청인 ESMA(Emirates Authority For Standardization & Metrology)가 제시하는 규제 준수 여부를 증명하기 위해 적합성 인증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를 획득해야 함.
- 가습기는 UAE.S IEC 60335-2-98 표준이 적용되며 공기청정기는 UAE.S IEC 60335-2-65 표준이 적용됨. 단, 상세 품목별로 적용 표준이 상이할 수 있으니 인증기관에 확인 요망
- 저전압 전자, 전기 제품의 경우 에너지 효율 라벨링(EESL, Energy Efficiency Standardization and Labeling),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의 규제 대상이니 UAE 수출 준비 과정에 확인 필수
□ 시사점
○ 현지 제∙가습기 및 전자제품 유통 관계자는 KOTRA 두바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현지 소비자들은 제습기, 가습기와 같은 단일 기능 제품보다 제습, 가습 기능이 접목된 공기청정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함.
- 아직까지 생활소비재로서 공기 처리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는 적은 편이나, 공기 정화와 더불어 습도 조절 또한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 예방에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이 증가하면서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이나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의 제∙가습기 및 공기 처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함.
- 또한 제∙가습기는 항상 틀어놓는 제품으로 소음이 적은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함. 제습, 가습 기능이 뛰어나도 소음이 크면 고객의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언급함.
○ UAE는 대부분의 건물은 건설 시에 에어컨을 비롯한 공기 처리 시스템이 설치됨. 그에 따라 아직은 생활소비재로서 제∙가습기 시장의 규모가 작은 편이나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됨.
- 제습기 시장의 경우 2012년 95만 달러 규모에서 2017년 111만 달러 규모로 약 17% 성장했으며, 가습기 시장 또한 2012년 60만 달러 규모에서 2017년 65만 달러 규모로 약 9% 성장함.
- 한편 중동 최대 건축기자재 전시회인 The Big 5의 조사에 따르면, 현재 UAE 내 냉방 공조시스템이 설치되는 건설 프로젝트가 약 3,877건 진행되고 있으며 2019년 UAE의 HVAC 시장의 규모는 2018년 대비 10% 정도의 성장률을 보이며 총 15억 500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Souq, Sharaf DG, 각 브랜드 웹사이트, 현지 뉴스,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