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② 한국철도 (기술, 차량) 정보/ 철도차랑 Archieve 에서 "HEMU-180 - 한국,예정" 항목 삭제.
Techno_H 추천 0 조회 921 07.11.25 16:58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7.11.25 18:08

    첫댓글 180급 신형 동차의 개발은 어찌보면 특정업체의 꾐(?)에 넘어갔거나 내지는 일종의 특혜주기(?)식 수주에 가까운 느낌이었죠... 150급 동차가 이미 개발중이고 대량 양산시 부품공통화에 의한 유지보수 절감등의 부차적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개의 개념인 180급 전동차의 개발은 어찌보면 이중투자에 가깝습니다. 게다가 투입될 선구는 KTX와 경합되는 호남/경부축이죠 다른데 갈곳이 없죠... 다만 지금 필요한것은 기본서비스 개념의 근교형 열차가 시급한데 말입니다..

  • 07.11.26 16:14

    근교형 열차가 시급하다 바로 통근열차겠죠 ; 거의 구식이라 모델을 바꿔야하는데 거의 실질적인 폐지니 ㅡ.ㅡ

  • 07.11.27 09:49

    역시나 로템이 하는 짓이란.. 하나부터 열 까지 정말 꼴불견이로군요.

  • 07.11.25 18:16

    사실 온양선 32량 사업도 이 특정업체를 노린 사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되려 역으로 얻어맞은 꼴이기도 하고요... 다만 TTX도 여러가지 상황을 검토해 볼땐 우리나라의 지형구조와는 조금 동떨어진 면이 없지않아 있죠(정작 필요한 중앙/영동/태백의 환경보다는 선형이 개량된곳에서나 어울리는 준고속 타입) TTX컨소시엄이 우리나라에서라도 성공을 거두기 위해선 "얼마나 성능이 좋은가"보다는 "필요한 곳에 어울리는가"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예:선형이 불량하고, 구배가 세며, 혹한지인 중앙/영동/태백선구의 환경에 대한 적응성)

  • 작성자 07.11.27 04:36

    지형구조도 그렇지만 6량 단위라는 부분도 개선의 여지는 필요해 보입니다. 중앙/영동/태백선과 같이 인구밀도가 낮은 선구에서는 6량 편성의 거대한 열차보다는 기본단위를 2량이나 3량 단위로 짧게 끊어 자주. 그리고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쪽이 이득이 아닐까 생각되기도 합니다. (복합열차까지는 하지 않더라도) 다행이랄까 하는 것은 한빛200(TTX) 편성요소 중 선두차 부분이 Mcp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특별한 설계변경 없이 중간차의 증감... 심지어 극단적으로는 선두차 단독기동도 가능하지 않겠나 하는 것이지요 ^^ Mcp-T-Mcp 의 3량 편성이라던가 하는 것도 검토해볼 만은 하겠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