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압하지 않고 부드러운 개입으로 사람들이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뜻한다.
경제학 용어로서의 ‘넛지 효과’
넛지(nudge)는 원래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 ‘주위를 환기시키다’라는 뜻이다.
미국의
행동경제학자 리처드 세일러(Richard H. Thaler)와 법률가 캐스 선스타인(Cass R.
Sunstein)은 《넛지》에서 넛지에 대해 ‘사람들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
이라고 용어를 새롭게 정의했다.
ⓒgettyimageskorea
이러한 간접적인 개입법은 특정한 방향의 선택을 금지시키거나 특정한 방향으로
반응할 때 인센티브를 올려주는 직접적인 개입방식과 구별되는데, 그 차이는 개인의
선택을 유도하되 선택의 자유를 개인에게 보다 더 많이 부여한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선택 설계자가 행한 넛지에 따라 결정한다
사람들이 결정을 내리도록 ‘정황이나 맥락’을 만드는 사람을 ‘선택 설계자(choice
architect)'라고 부른다.
선택 설계자가 넛지를 행한 한 가지 예시로, 학교 영양사가
교내 식당에서 음식의 위치를 바꾼 실험을 들 수 있다.
영양사의 행동은 학생들의
음식 선택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1
영양사는 음식의 종류는 바꾸지 않고 오로지 음식의 진열이나 배열만 바꾸기로
한다.
2
놀랍게도 음식을 재배열한 것만으로도 특정 음식의 소비량이 25% 증가하거나 감소
했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영양사는 학생들에게 건강에 이로운 음식을 더 많이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었다.
나쁜 넛지, 피싱 사기(Phishing for phools)
최근 많은 기업이 소비자의 이익은 뒤로 하고 기업만의 이익 창출을 위해 넛지를
이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예일 대학의 로버트 실러 교수(Robert Shiller)는
〈뉴욕타임스〉에 실린 칼럼에서 이러한 행동을 ‘피싱 사기(Phishing)’라고 칭했다.
소비자가 손해를 볼 수 있는 주의사항을 작게 표시하기, 유료 이용을 무료처럼 보이게
하는 유도 방식 등은 넛지를 악용한 예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