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9 합의' 5년만에 효력 정지
비행금지구역 해제, 공중정찰 복원
동-서부 최전방 대북 밀착 감시
북의 수도권 겨냥 무기 정밀 추적
'우리 군은 9.19남북군사합의 이전 시행하던 군사분계선(MDL) 일대 북한의 도발 징후에 대한 공중 정찰.감시 활동을 복원할
것입니다'
22일 오전 11시 국방부는 MDL 일대에서의 공중 정찰 감시 활동이 재개된다는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대북 정찰 작전을 직접 수행하는 군 당국이 9.19군사협의에 명시된 지행금지구역의 해제를 선포한 것.
군 관계자는 '2018년 11월 1일 이후 5년간 대북 감시를 위한 우리 군의 눈을 가려온 비행금지 구역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고 했다.
동.서부 최전방서 장사정포 진지 정찰
군은 실제로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지 16시간여가 지난 이날 오후 3시 MDL 이날 5km 일대에 대북 정찰용 무인기를
전격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 지역에 대한 감시 범위가 하루 만에 5~10lm가량 늘어난 것.
정찰위성을 발사하며 대남 정찰 능력 확보를 공언한 북한에 맞선 상응 조치로 우리 군도 대북 정찰 능력 복원 카드를 꺼낸 것이다.
비행금지구역에 발목을 잡혀 있었던 군단급 무인기 송골매 및 사단급 무인기(UAV) 여러 대는 이날 기상 여건이 맞아떨어진 동부 및 서부 최전방 일부 부대를 중심으로 투입돼 대북 밀착 감시 작전에 나섰다.
이날 MDL 이남 5km 일대에서 북한군 장사정포 및 고사포 진지와 관련한 이상 동향, 부대 위치 등에 대한 고강도 정밀 정찰이
재개됨에 따라 고가치 영상정보가 다량 획득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후 3시 전까지만 해도 무인기는 동부지역 기준 MDL 이남 15km, 서부지역 10km로 설정된 비행금지구역에 묶여
북측 최전방 지역 산 후사면 갱도에 숨겨놓은 장사정포 등 각종 무기에 대한 감시 정찰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었다.
군단급 무인기의 탐지 거리는 20km(유효 탐지거리 10km)로 알려져 있지만 군사합의로 동부 기준 15km 남쪽으로 밀려나면서
감시 가능한 북한 지역 밤위가 5km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대폭 축소된 상태였다.
특히 사단급 무인기의 문제가 심각했다.
최대 탐지 거리는 8km, 유효 탐지 거리는 3km에 불과해 군사분계선에서 10km 떨어진 지역에서 대북 감시작전을 해봐야 수집되는 영상이 없었다.
이 떄문에 지난 5년간 한반도 유사시 작전 계획상 작전 지역인 최전방에서 작전이나 훈련을 아예 실시하지 못했다.
군 당국은 비행금지구역 해제로 고고도, 중고도 정찰 자산과 함께 중첩 감시가 가능해지면서 장사정포 등
수도권을 겨냥한 주요 표적을 밀착 추적해 표적 정보를 타격 부대에 빠르게 전달한 뒤
정밀 타격하는 이른바 '센서 투 슈터; 시간이 크게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 기습 도발을 위해 숨겨둔 장사정포 감시율이 크게 개선할 것이란 기대가 높다.
북한에 배치된 수도권 집중 타격용 장사정포는 170mm 자주포와 240mm 방사포로 총 340문 가량인데
대부분 이 최전방에 배치도 있다.
공군 유인 정찰기도 전방 일대 투입
비행금지구역 설정으로 동부 기준 MDL 이남 40km에서 정찰 작전을 수행해야 했던 공군의 유인 정찰기 새매(RF-18) 및 금강도 MDL 이남 9km 안팎에서 정찰할 수 있게 됐다.
이들 정찰기의 영상정보 수집 가능 거리는 100km 이상인데 북쪽으로 약 30km 거리를 더 감시할 수 있게 된 것.
군 당국은 이날 오후 3시를 기해 금강 등 유인 정찰기 일부도 전방 일대에 투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전방 부대의 한 지휘관은 '비행금지구역 해제로 북한 특수부대가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침공할 때
활용한 모터패러글라이더를 동원해 시도할 수 있는 공중 침투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전추기도 동부 40lm, 서부 20km였던 비행금지구역이 사라지면서 MDL에 근접해 실사격 직전까지의 절차를 숙달하는 훈련을 재개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최전방 지역에서 실탄 사격을 동반한 전술 훈련은 여전히 군사합의로 금지돼 있다.
이날 새벽 윤석열 대통령은 국빈 방문 중인 영국 현지에서 화상으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주제하며
비행금지구역 효력 정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곧바로 오전 3시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소집해
비행금지구역 해제에 따른 구체적인 대응 조치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효주.신진우 기자 윤상호 군사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