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증권계좌를 개설하실려면 은행이나(해당 증권사 제휴은행에서만 가능) 증권사에 직접가셔야 합니다.. 단 CMA계좌는 증권사로 직접가셔야만 만들수있습니다.
증권계좌를 만들면 계좌번호가 2개입니다. 하나는 증권사 계좌번호이고, 다른 하나는 연계은행 계좌번호입니다. 증권사 계좌라고 해도 연계은행의 계좌번호를 이용해서 은행의 계좌번호처럼 사용도 가능합니다. 또 해당 은행에서 거래하시게 되면 은행이체수수료가 붙지 않습니다. ( 정시간에 사용할 경우입니다 ) 따라서 은행에서 만들 경우나, 증권사에서 만들 경우나 수수료의 차이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증권사 선택이후 해당 증권사의 HTS를 사용하는데요 만약에 삼성증권으로 가입하셨다고해도 현대나 미래에셋 hts를 다운받아서 사용하실수있습니다.
하지만 거래는 해당 증권사의 hts만으로만 가능합니다. 대체적으로 수수료가 비싼 증권사들의 HTS의 기능이 많다고 하네요
미성년자의 경우, 단순히 부모님의 도장만으로는 계좌 개설이 불가합니다. 꼭 부모님께서 계좌를 개설해주셔야 합니다.
* HTS 란? 'home trading system'의 머리글자를 따서 HTS 또는 홈트레이딩이라고도 한다. 투자자가 증권회사에 가거나 전화를 이용하지 않고 가정이나 직장에서 컴퓨터를 이용해 주식매매 주문을 내는 시스템이다. |
------------------------------------------------------------------------------------------------
step 2. HTS (홈 트레이딩 시스템) 이용하기
![]() ![]() 2008/01/08 21:14 |
앞서 말했듯, 계좌를 개설하고 나면 각 증권사의 홈 트레이딩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각 증권사의 HTS 수수료 및 기능 등을 비교해보면...
HTS 선택시 보통 따져보는 것은,
수수료, HTS의 성능 등 입니다.
수수료가 싼 것이 무조건 좋다고 여기기 쉬운데, 사실 수수료가 비싼 쪽에서 제공하는 기능의
장점도 크기 때문에 비교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수수료가 가장 저렴한 곳은 이트레이드증권 0.024%. 키움증권 0.025%입니다.
이런 증권사들은 온라인 증권사이므로 온라인으로 계좌를 개설합니다.
미래, 키움, 이트레이드 등의 후발 증권사들이 수수료가 쌉니다. 서로 간의 차이는 조금씩 있으나 거의 미미한 수준입니다. 실제로 매매제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세금이거든요.
[증권사별 수수료 체계]
증권사 |
HTS |
거래금액 |
수수료 |
대우 | BESTez Qway | 1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 | 0.145%+1200원 |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 | 0.140%+1500원 | ||
3000만원 이상~5000만원 미만 | 0.130%+2000원 | ||
5000만원 이상~1억원 미만 | 0.10% | ||
현대 | YouFirst PLUS 2005 |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 | 0.17%+500원 |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 | 0.15% | ||
3000만원 이상 | 0.09% | ||
삼성 | Fn Pro | 1000만원 미만 | 0.15%+1500원 |
1000만원 이상~5000만원 미만 | 0.13%+3000원 | ||
5000만원 이상~1억원 미만 | 0.12% | ||
대신 | U-사이보스 | 500만원~1000만원 | 0.15%+1000원 |
1000만원~3000만원 | 0.14%+1200원 | ||
3000만원~5000만원 | 0.13%+1500원 | ||
5000만원~2억원 | 0.10% | ||
우리투자 | W-on 트레이딩 |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 | 0.16%+1000원 |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 | 0.14%+1200원 | ||
3000만원 이상~5000만원 미만 | 0.13%+2000원 | ||
5000만원 이상~1억원 미만 | 0.11% | ||
메리츠 | iMERITZ | 300만원 초과~1000만원 이하 | 0.14% |
1000만원 초과~5000만원 이하 | 0.13% | ||
5000만원 초과~1억원 이하 | 0.10% | ||
대한투자 | Click HANA | 1000만원 미만 | 0.10% |
1000만원~1억원 미만 | 0.07% | ||
한국투자 | eFriend | 3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 | 0.13%+1500원 |
3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 | 0.13%+1500원 | ||
3000만원 이상~1억원 미만 | 0.12% | ||
한화 | 한화EZ-Net Smart | 1000만원 미만 | 0.12%+1000원 |
1000만원 이상 | 0.10% | ||
동양종금 | MyNet plus | 500만원 미만 | 0.14%+1000원 |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 | 0.14% | ||
1000만원 이상~2000만원 미만 | 0.10% | ||
2000만원 이상~1억원 미만 | 0.08% | ||
미래에셋 | Maps-Net2006 | 금액무관 | 0.03% |
이트레이드 | Power E-TRADE | 금액무관 | 0.02% |
키움닷컴 | 영웅문Ⅲ | 금액무관 | 0.03% |
수수료 체계는 위와 같고,
보통 많이들 추천하는 것은 대신증권과 키움증권인데, 키움증권이 수수료면에서나 기능면에서도
최근 인기가 좋습니다. 특히 초보들에게 적합합니다.
어떤 시스템을 이용하든지 간에, 중요한 것은 그 많은 HTS 기능을 얼마나 알고, 또 어떻게 이용하느냐
겠지요.
HTS 이용 방법은...
1. step1에서와 같이 계좌를 개설하고,
2. 해당 증권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사용하실 신규 ID, 비밀번호 , 공인인증서를 등록합니다.
3. 해당 증권사 HTS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다운로드
4. 온라인으로 은행계좌에서 ==> 주식계좌로 현금을 입금 후에 주식매매를 합니다.
---------------------------------------------------------------------------------------------------
step 3. 주식 거래 시작하기
![]() ![]() 2008/01/08 21:20 |
자, HTS 설치 후 몇 종목쯤 투자해보셨나요?
하루의 투자를 마치고 예수금 상세현황에 들어가 내 잔고를 살펴보니, 어라 추정인출가능금이
내 종자돈보다 훨씬 적어서 놀라지는 않으셨나요?
자, 이제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살펴보시면서 증거금이라는 부분을 보셨을겁니다. 증거금과 추정인출가능금을 합하니
대략 내 예산과 일치하지요? 이렇게 나뉘는 이유는 주식 거래의 시스템때문입니다.
주식의 매매를 하면 실제 대금을 지불하는 날은 매매일로부터 +2 영업일에 처리됩니다.
결제일까지 증거금을 잡게 되는데. 쉽게 말해서 담보로 설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금일 매매한 주식의 대금의 최종처리를 +2 영업일에 하므로 70만원은 담보로 잡혀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당일 매매한 금액의 30-40% 정도는 그날은 인출불가합니다.
즉, +2 영업일이 되는 금요일날 모든 금액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이용해서 미수금 제도가 있는 것이고요.. 200만원의 현금이 있지만, 매매금액의 30-40%정도만 담보로 잡으면 매매가 가능하기에 500만원 정도 금액까지 매매가 가능한것이지요.. 다만 +2 영업일까지는 나머지 금액을 입금을 하셔야하는 것이구요.
거래하실때 미수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자칫하면 깡통계좌의 지름길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
step 4. 초보, 종목 선정 및 자산운영
![]() ![]() 2008/01/08 21:24 |
일단 자산운영 금액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돈을 한꺼번에 투자하지는 마세요.
초기 투자금이 1000만원이라면 최대 100만원 이상 투자하지 마시고 투자 연습을 기르시기 바랍니다. 투자를 할때 어떻게 하는지 그리고 어떤 주식이 어떻게 변하는지 차트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흐름이란 무엇인지 알때까지는 가급적 100만원 이상 투자는 금물입니다.
처음에 고수익이 나서 이후 투자금을 무턱대고 늘리다가 오히려 더 큰 손실을 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일단 주식이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이 소요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지금의 펀드가 더 안정적일 수 있을 겁니다.
먼저 주식관련 용어와 주식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투자방법에 대한 기본적 개념에 대한 책을 읽으시면서 투자 연습을 100만원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심하게 말하면 투자하는 80% 개미들이 투자의 기본인 장시작-마감시간, 시간외거래, 매수/매도 등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이 많고 감자, 증자, 공시 등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것을 모르고 그냥 도박의 돈 놓고 돈 먹기 식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위험하기 짝이 없겠지요. 이런점은 반드시 경계해야 합니다.
일단 책을 통해서 어느정도 주식에 대한 지식을 얻었다면 인터넷에서 무료로 강의하는 주식강의를 시간내서 들으시기 바랍니다. 어떤 방식으로 투자하는지 차트는 어떻게 보는지 투자방향을 어떻게 잡는지 등등....
이정도 하면 6개월 정도가 소요되면서 자신이 투자할 수 있는 자신감을 조금 얻게 되지요. 그런 뒤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기 전에 자신의 투자패턴을 정해야 합니다. 단기투자인지 중기투자인지 장기투자인지를 선택하게 됩니다.
혹자는 포트폴리오 구성비율을 장기:중기:단기 = 4:3:3 or =4:4:2를 하라고 합니다.
여기서 포트폴리오란 자신이 투자하는 주식을 의미합니다. 자 그러면 주식투자의 기초를 알아볼까요?
1. 1000만원 미만의 경우 투자 주식은 4개 이하로 운영한다.
2. 주식선택은 자신이 아는 분야를 선택한다. 모르는 분야는 위험도 그만큼 높다.
3. 단기투자는 반드시 -5% 손절라인을 설정한다.
4. 장기투자는 -10% 또는 꾸준한 매집(물타기)를 한다.
5. 투자하는 종목은 초기 투자는 원금의 5%만 하며 최대 20%를 넘지 않는다.
6. 현금비율은 항상 원금대비 20%를 유지한다.
7. 장기투자는 차트상 개별주가의 바닥권에서 접근하여 투자한다.
8. 단기투자는 5%이상 수익을 바라보지 말고 수수료 포함 5%를 목표로 한다.
9. 단기투자시에는 동요를 막기위한 STOPLOSS기능으로 수익과 손실을 최소화 한다.
--------------------------------------------------------------------------------------------------
주식의 초보부터 고수까지 읽어야 할 책들을 추천합니다!
실제 주식 투자에 매우 도움이 되는 책들입니다. ^^ 모두 읽고 대박나세요~
http://blog.naver.com/shuichi6?Redirect=Log&logNo=130026496829
-------------------------------------------------------------------------------------------
step 6. 잊지 말아야 할 주식투자 요소들
![]() ![]() 2008/01/08 21:28 |
1. 손절은 원금 손실의 주범이다.
손절라인을 결정하라고 하지만 문제는 올바른 주식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그 손절은 가랑비에 옷졌듯이 원금을 금새 깍아 먹게 됩니다.
항상 단기투자시에는 STOPLOSS 기능으로 대비를 해야한다. STOPLOSS 기능이란 해당 주식의 손절과 수익라인을 설정하여 자신의 선택이 아닌 기계적인 단기투자의 위험요소를 최소화 시키게 됩니다. 이점 명심하세요.
손절은 가급적 하지 않고 손절하지 않을 종목으로 보다 종목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2. 추천주는 만능주가 아니다.
추천은 말그대로 추천입니다. 하지만 많은 투자자들이 추천에 대해서 비난을 하지요. 추천의 이유나 목적 그리고 타당성을 자신이 확인하지 않고서...
자신의 돈을 함부로 다루는 자신의 문제는 확인하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누군가 추천을 하면 이유와 목적 그리고 목표가를 자신이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절대로 매수하지 않아야 하지요.
투자는 자신이 하는 것이지 추천자가 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의 돈이 날아간다는 점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3. 벌기위한 투자보다는 잃지 않는 방법을 먼저 알아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벌기위한 주식투자를 시작합니다. 그래서 오늘 몇%를 벌수 있을까.. 오늘 손실이 몇%이지만 내일 벌수 있을꺼야. 이렇게 생각하지요.
결국 벌기위해서 계속 자신의 돈을 날리게 되지요. 버는 방법에만 혈안이 되어 있어서 폭등주, 테마주에 열을 올리게 되니 10% 벌고 50% 날리는 일이 허다하게 됩니다.
일단 잃지 않는 방법, 원금을 보전하는 방법, 수익을 보존하는 방법을 먼저 익히고 자신이 주식의 변동에 의연하게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만 합니다.
주식의 변동에 일희일비한다면 당장 주식을 멈추고 떠나야 하지요. 하루에 변하는 변동폭이 30%인데 이러한 위험을 못느끼고 단지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하는 것이 제일 문제라 할수 있습니다.
4. 주식투자는 장난이 아니다.
고승덕 변호사는 알아주는 똑똑한 사람이지요. 이 사람도 초기에는 깡통계좌를 몇번이나 해먹었다고 합니다. 즉 돈을 다 날렸다는 이야기지요. 대박의 수익을 올린 사람들을 보면 자신의 자본금을 몇번씩 날린 사람들이 태반입니다.
이런 시장에 돈을 벌겠다고 한다면 과연 잃을 확률과 얻을 확률중 어떤것이 중요할지 반드시 생각해야 합니다. 잃어도 괜찮다는 생각이 없다면 주식은 일단 시작하지 않는게 좋겠지요. 주변사람들이 주식투자 하면서 수명이 짧아진다고 할 정도로 과도한 스트래스를 받게 되는걸 많이 봐왔으니 꼭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식이란 어렵지만 그만큼 매력적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주식을 로또정도로 보시지 마시고 전체적인 시장의 흐름이나 방향 그리고 전반적인 경제를 느끼고 이해할 수 있다면 보다 자신의 일에 도움을 주는 것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투자를 위한 투자가 아닌 경제를 배운다는 생각으로 주식을 시작하면 오히려 수익률이 좋을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