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지구의 반경은 6400km 정도랍니다.
따라서 원주는 2*6400*3.14 = 40200km
때문에 지구의 한바퀴 길이는 대략 40000km 라고 말하구요.
세계일주는 가는 방향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객관성이 없죠.
즉, 북극에서는 그냥 한바퀴 휙 돌면 세계일주를 한 것이 되잖아요?
그래서 세계일주는 최소한 40000km 이상을 이동해야만 하는 것으로 인정해준답니다.
그런데 지구는 이 거리를 24시간만에 한바퀴 돌죠.
즉, 40000/24 = 1,667km/hr 의 어마어마한 속도로 돌고 있습니다
<공전속도>
<지구의 공전속도>
황도 상에서의 지구의 공전속도는, 황도가 타원이기 때문에, 일정하지 않고, 근일점에서는 빠르고, 원일점에서는 느리다. 가령 태양을 S라하고, 지구가 황도 상의 어떤 점 A에 있다가 얼마쯤의 시간 후의 지구가 B에 있게 되었다면, ASB로 만들어진 삼각형의 면적은 항상 같게 유지된다. 이것은 바로 근일점에서는 지구의 공전속도가 빠르고 원일점에서는 속도가 느리다는 것, 다시 말해서 근일점에서의 AB의 길이는 원일점에서의 AB의 길이보다 길다는 것이다. 이것이 "Kepler의 제 2법칙"이다. 태양과 지구와의 평균거리인 AU는 알고 있고, 1회 공전하는 데 365일이 걸리므로 간단히 그 공전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