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afefile/pds59/3_cafe_2008_02_20_11_29_47bb9086160b0)
지난 AutoCAD 2008 리뷰는 AutoCAD 2008의 ‘설계 시 장점’ 그 첫 번째 시간으로 정확한 설계와 간단한 편집에 대한 내용을 살
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은 설계 시 장점 총 5회 중 두 번째 시간입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59/8_cafe_2008_02_20_11_29_47bb908636050)
설계 대상물에 적용하는 용지 크기는 A1, A2 등 비교적 다양합니다. 대형 구조물은 물론, 아주 작은 대상도 제치수로 그리게 되
면 설계 내용을 판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수작업 도면의 경우, 종이 크기를 정하고 축척을 정하고 그리기 시작합니
다.
‘대상의 크기에 비해 용지 크기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축척변경이 필요하게 됩니다. 설계자에게 매번 축척을 생각하면서 도면
을 그리는 상황을 이상적인 환경이라고는 할 수는 없습니다. 설계 변경으로 설계 대상이 종이 범위에서 밀려 나오게 된다면 수
정해 다시 쓰거나 복사기로 축척을 변경한 후 자르고 붙이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것도 가능하지 않다면, NOTE 스케일
로 표기하게 됩니다. 이러한 번잡한 작업이나 불규칙한 도면은 설계의 부적합으로 연결될 수도 있습니다.
설계 대상을 원치수로 그리고, 형태가 결정되고 난 후 인쇄하는 것이 당연한 순서입니다. 형태를 결정하고 인쇄상의 종이 크기
를 정했다면 그 다음으로는 거기에 맞는 적절한 축척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 설계 변경으로 종이 범위 외로 밀려나오는
경우에도 적절한 축척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AutoCAD 에서는 이 모형(설계 대상)을 원치수로 작성하는 장소를 「모형 공
간」이라고 부릅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59/14_cafe_2008_02_20_11_29_47bb90865c19e)
![](https://t1.daumcdn.net/cafefile/pds59/11_cafe_2008_02_20_11_29_47bb90868bb3d)
‘모형 공간’에 작성한 제치수의 모형을 종이 위에 배치하고, 출력 결과를 결정하는 장소를 ’배치공간’이라고 부릅니다. 도면 테
두리가 그려진 종이에 도형을 적절한 축척으로 변경해서 붙이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 조건에 맞는 것이 바로
‘배치 공간’입니다. 붙이는 도형은 모형 공간에서 작성한 모형인 것이죠. 공간은 한 장의 배치 즉, 종이도면에 해당합니다. ‘모형
공간’ 과 ‘배치 공간’의 표시 전환은 설계 영역의 좌측 밑에 있는 탭에서 바꾸면 됩니다. AutoCAD2008 에서는 설계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하기 위해서 도면 공간 탭의 표시/비표시의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59/13_cafe_2008_02_20_11_29_47bb9086c1e53)
![](https://t1.daumcdn.net/cafefile/pds59/9_cafe_2008_02_20_11_29_47bb9087480e4)
모형은 ‘뷰포트’를 지정해 ‘도면 공간’에 붙입니다. 뷰포트는 도면 공간에 모델을 배치하기 위해서 준비한 표시 테두리이며, 표
시 범위와 스케일 등의 표시 방법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뷰포트의 크기와 축척 설정에 의해 모델의 전체나 부분을 표시를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도면 공간에는 여러 개의 뷰포트를 배치할 수 있고, 각 뷰포트는 고유한 축척을 가지므로 하나의 도면 공간,
즉 한 장의 도면에 같은 모형으로부터 전체와 부분 도면이 표시되고, 따라서 복합 축척 도면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afefile/pds59/3_cafe_2008_02_20_11_29_47bb90876b735)
리뷰 2부_ 6편-2회 끝
* 출처 *
상상그이상의 현실 http://blog.naver.com/myautocad
![](https://t1.daumcdn.net/cafefile/pds61/7_cafe_2008_02_01_15_20_47a2ba180465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