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시설원예 중심에서 마늘 등 노지 품목으로 영역 확대 추진
사과 스마트팜 조감도 [경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승형 기자 = 경북도는 기존 시설원예 중심의 스마트팜을 과수원 등 노지 품목으로 영역을 확대한다. 도는 9일 안동시 임하면 오대리에 1㏊ 규모로 시범 조성된 전국 최초 사과 스마트팜 모델을 공개했다. 이 스마트 팜은 총 61㏊ 규모의 국가공모인 '안동 사과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의 하나로 별도 조성된 표준형 모델이다.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관수·관비 자동화 시설, 에어 포그, 폐쇄회로(CC)TV 등 생육 관리 시스템, 미세살수시설, 자동 방조망, 방상 팬 등 재해방지시설, 병충해 예찰 장비, 인공지능(AI) 카메라 등 다양한 첨단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또 데이터 센터와 과수원이 인터넷으로 연결돼 생육 정보, 기상 데이터, 병해충 자료가 AI를 기반으로 수집·분석·가공되고 다시 농가에 제공된다. 데이터 센터에 설치된 관제시스템으로 과원에 설치된 각종 시설과 장비들을 가동할 수 있고, 드론 등 첨단장비를 동원한 농약 살포·병해충 예찰 등 서비스도 가능하다. 도는 사과 스마트 팜 표준형 모델 등 안동 사과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성과 상품화율은 각각 25%와 10% 정도 향상됐으며, 노동시간(관수·관비)과 병충해 피해는 각각 54%와 50%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도는 성과가 검증된 만큼 사과 스마트 팜의 빠른 확산을 위해 농가 교육 및 컨설팅을 실시하고, ICT 융복합 시설 장비 설치 및 정보시스템 구축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개별농가 과원 상황에 맞는 보급형 스마트 모델을 개발하고, AI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경영하는 표준 영농 기술 정립 등 다양한 실증연구도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또 의성군 사곡면 일원 82㏊에 마늘 스마트팜 단지를 만드는 등 노지 스마트 농업 적용 품목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안동 사과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은 전국 최초로 선정된 국비 사업으로 2020년부터 3년간 총사업비 245억원을 투입해 61.5ha에 스마트 생산·유통단지를 조성하고 데이터 센터, 실증단지 등을 설치했다. 도는 그동안 스마트 농업이 딸기, 토마토, 오이 등 시설원예 품목에 편중됐으나 사과 스마트팜이 실내 온실을 벗어나 농지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노동력이 훨씬 많이 필요한 노지 품목으로까지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노동집약적 전통농업으로는 경영 효율성을 보장할 수 없는 만큼 첨단과학기술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며 "이른 시일 내 실속형 보급형 모델을 개발하고 일반 과수원에 스마트 팜이 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한국에서 스마트팜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1. 인구증가/농지부족 - 한국은 인구가 증가하면서 농지 부족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농지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방법입니다.
2. 기후변화 작물 생산량 감소 - 스마트팜은 기후 조건에 따라 식물의 성장환경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안정적인 농작물 - 스마트팜을 이용한다면 계절에 큰 상관없이 꾸준하고 일정한 작물이 생산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농작물 시장에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져서 시장의 불확실성 감소가 가능합니다.
4. 수익성 증대 - 농약/비료 사용량에 관해 농작물의 가격에 영향이 갈 수 있습니다. 이 때 영향을 비교적 덜 받아 수익성에 관여를 할 수 있습니다.
5. 적절한 비료/농약 - 인공지능의 기술을 활용하여 비료/농약의 비중이 줄어들고 적당량의 약 투입이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첫댓글 농업이라는 분야는 절대로 포기하면 안되는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학우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스마트팜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작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높은 비용(현재 정부의 지원이 있으나 무상 지원이 아닌 융자 지원), 아직까지는 존재하는 ICT 기술에 대한 불신 등 문제점도 많은 상황이어서 얼른 해당 문제의 해결을 통해 스마트팜 산업의 확산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농업에도 규모의 경제가 요구되는 시대란다. 지방에 군소 농가가 산재되어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도 존재하기에 정책적인 한계 역시 존재하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