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장 아들들에게 지혜와 명철을 얻으라는 권고.
1절. 아들들아 아비의 훈계를 들으며 명철을 얻기에 주의하라
내 아들에 관하여는 1:8절을 참조할 것
“아비의 훈계를 들으며”
“아비”는 히브리어로“아브”인데 일반적으로 자기를 낳은“아버지”를 말한다.
또한 이 말은“조상, 창조자, 양육자, 교사, 인척”으로도 번역되어 있다.
“훈계를 들으며”는 히브리어로“무싸르”인데“잘못을 고치다, 꾸짖다, 나무라다,징계하다, 매질하다, 벌하다, 고치다, 정정하다, 훈계하다, 타이르다, 깨우치다, 충고하다, 가르치다, 권고하다, 교육하다, 훈련한다”을 뜻하는“야싸르”에서 유래한 것으로“교정, 훈계, 훈련, 교리”을 뜻한다.
“명철을 얻기에 주의하라”
“명철”는 히브리어로“비나”인데“구별하다, 분리하다, 숙고하다, 이해하다, 식별하다, 인식하다, 깨닫다, 알다, 통달하다, 통찰하다, 익숙하다”을 뜻하는“빈”에서 유래한 것으로“이해, 총명, 통찰, 지식, 명철”을 뜻한다.
“얻기에 주의하라”은 히브리어로“야다”인데, 이 말은“보다, 깨닫다, 이해하다, 알다, 인지하다, 자각하다, 이해하다, 생각하다, 기억하다”를 의미한다.
특별히 이말은 첫째는 감각기관을 통해 아는 것, 둘째는 마음이나 정신을 통해 아는 것. 또는 눈으로 봄으로, 귀로 들음으로 아는 것을 말한다, 흠정역은“아버지의 가르침을 잘듣고 주의해 깨달음을 얻으라”고 번역했다.
2절. 내가 선한 도리를 너희에게 전하노니 내 법을 떠나지 말라
“선한”은 히브리어로“토보”인데“선하다, 훌륭하다”에서 유래한 것으로“좋은 선한 아름다운”이란 뜻으로,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운 일이나 호의적인 평가를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일을 가리킨다.
“도리”는 히브리어로“레카흐”인데“잡다, 쥐다, 붙들다”을 뜻하는“라카흐”에서 유래한 것으로“교리, 주의, 신조, 지식, 교훈”을 뜻한다.
“너희에게 전하노니 내 법을 떠나지 말라”
“전하노니”는 히브리어로“나탄”인데““주다, 가르치다, 건네주다, 반포하다, 가르치다, 퍼뜨리다, 선포하다, 전하다, 전달하다”을 뜻한다,
즉 이말은 그 선한 교리와 법이 아버지로 상징하는 스승의 지혜나 명철이나 지식이나 말이 아니라,
지혜의 근본 되시는 하나님의 말씀이(1:7, 9:10) 과거에서부터 지금 교훈을 듣는 자들에게까지 계속 전달하여 내려오는 것을 시사한다.
“내 법을 떠나지 말라”
“내 법”는 히브리어로“토라”인데“지적하다, 보여주다, 지시하다, 가르키다”을 뜻하는“야라”에서 유래한 것으로“교훈, 교리, 계명, 율법, 법”을 말한다.
이말은 솔로몬이 말하는 자신이 정한 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율법(성경=모세오경)을 말한다. “떠나지 말라”는 히브리어로“아자브”인데“끈을 늦추다, 짐승을 놓아주다”을 말하며,
은유적으로“사람을 남기고 가다, 떠나다, 어떤 사람을 어느 곳에 두고 떠나다, 버려두다”을 말하는데 너는 그러지 말라는 충고다.
훈계 νουθεσία, ας, ἡ [노우데시아] ~~~~~~~~~~~~~~~~~~
< 훈계, 경고, 간언, 견책, 고전10:11, 엡6:4, 딛3:10.마음(롬7:23, 고전2:16, 딤전6:5), 영(살후2:2), 총명(계13:18), 뜻(계17:9).두다(마5:15, 눅1:66, 고전16:2), 주다(마12:18), 가두다(마14:3, 행4:3, 12:4), 처하다(마24:51, 눅12:46), 넣어두다(마27:60), 장사하다(막6:29, 눅23:53), 떠나다(행27:12), 절하다(막15:19), 놓다(눅5:18, 6:48), 담아두다 (눅9:44), 쌓다(눅14:29), 닦아두다(고전3:11), 버리다(요10:11,18), 벗다(요13:4), 세우다 (요15:16, 살전5:9, 히1:2), 붙이다(요19:19), 누이다(행5:15), 장사되다(행7:16), 꿇다(행9:40, 21:5), 삼다(행13:47), 작정하다(행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