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그 동안 미뤘던 exit입니다
유명인터넷에 나오는 어원입니다
[어원] ex (밖으로) + it (가다) ⇒ 밖으로 나가다 |
좀 그렇지요?
제가 보기엔 그저 “(나가고) 없었다”로 보입니다
어원은 분리해서 보면 해결점이 없습니다
한 방에 의미를 찾아야 제 맛이 나니까요
그런데 우스운 것은 남아프리카,
네덜란드, 덴마크어 등인데요
"(나가고) 없다깽"으로 보입니다
완전히 전라도 사투리로 보입니다. ㅎ
제가 "영어는 경상도사투리"라고 했는데요
조금은 이렇게 전라도 사투리도 존재했습니다
아마도 추측이지만
영어에 있는 현재진행형 "~ing"는
전라도 사투리 "(했지) 어잉"과
거의 쓰임새가 같아 보였습니다
쉽게 말해 전라도 사투리에서 나온
현상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리고 "영어는 우리말의 동사가
명사화된 언어"라고 수도 없이 말씀 드렸습니다
이 exit도 그렇게 만들어져 보입니다
3210. exit (엑시트, 출구, 나가다, 퇴출되다):
(나가고) 없었다,
⇒ (나가고) 없다가 어원
* 인도네시아,
라틴어, 말레이시아: exitus [엑시투스⇒ 출구, 나감]
((나가고) 없었댔어)
* 핀란드: irtautua [이르따뚜아⇒ 탈퇴하다, 나가다]
((가고) 없댔다)
* 이탈리아: uscita [우시이따⇒ 퇴출, 나감]
((나가고) 없었다)
* 노르웨이: exit [엑시트⇒ 출구]
((나가고) 없었다)
* 남아프리카: uitgang [유잇깽⇒ 출구, 외출]
((나가고) 없다 깽)
* 네덜란드: uitgang [아트항⇒ 출구, 외출]
((나가고) 없다 함)
* 스웨덴: utgang [우트꽁⇒ 출구, 나감]
((나가고) 없다 깽)
* 덴마크: gå ud
[고우오드⇒ 외출하다, 죽다, (불이) 꺼지다]
((불이, 맛이, 외출한다고) 가다)
* 독일: Austritt [아우스트리트⇒ 나감, 퇴장]
((나가고) 없었더랬다)
* 포르투갈: saida [쓰이다⇒ 반출 상품, 출구, 수출]
((상품들이) 쓰이다)
* 스페인: salido [살리도⇒ 나오기, 출발]
(움직이게) 살리도)
* 튀르키예: geçmek
[게츠메크⇒ 지나가다, 통과하다]
((지나) 갔습니까)
* 크로아티아: izlaz [이즈라즈⇒ 출구, 결과, 나감]
((가고 없으니) 잊으랬지)
* 폴란드: wyjscie [비이스체⇒ 나감, 퇴거, 구멍]
((나갈 구멍이) 보였었제)
* 체코: vystup [비스톱⇒ 떠남, 퇴장, 탈출구]
((떠날려고) 피했었다삐)
* 프랑스: sortie [솔티⇒ 나들이, 외출]
((앞장) 서랬지)
* 헝가리: kijarat [키야로트⇒ 출구]
((집에) 가랬다)
* 베트남: xuất khẩu [쑤얻 커우⇒ 출구]
(출구(出口))
* 중국: 出口 [추카어⇒ 출구, 수출하다]
(출구)
* 일본: 出口(でぐち) [데구찌⇒ 출구]
((나가면) 되겠지)
* 한국: 출구
* 우즈베키스탄: chiqish [체이크쉬⇒ 출구, 퇴직]
(찍혀서 (나갔어))
* 히브리(현대): יציאה [외쯔야⇒ 외출, 나가기]
(외출)
* 아랍: مَخْرَج [머라하지⇒ 변명거리, 출구]
((변명하는 것을 보고) 뭐라하지?)
* 힌디: तोरण [토란⇒ 탑문, 아치형의 문]
((문으로) 들어온)
* 페르시아: مخرج [바까세⇒ 출구, 분모]
(바깥에)
* 네팔: निकास [니카스⇒ 출구, 배출구]
((밖으로) 나갔어)
* 몽골: ГАРЦ [가르치⇒ 출구, 탈출구]
((다른 데로) 갔지)
* 태국: ทรวาร [터레안⇒ 문, 출구]
((문으로) 들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