空(공)의 의미
공은 비어 있음, 없음, 존재하지 않음, 작동되지 않음을 의미하기도 하고, 무상(無常)과 무아를 의미하기도 함
한국불교에서 空(공)만큼 개념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애매모호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는 것도 없다.
관응 스님이 감수한 불교사전을 보면, “공은 진여(眞如)의 다른 이름이고, 진여는 우주만물에 두루 존재하는 상주불변(常住不變)의 본체인데, 이것은 우리의 생각으로는 미칠 수 없고, 우리의 이지(理智)로는 파악할 수 없는 진실한 경계다. 그러나 이것은 온갖 것들이 다 실체와 자성(自性)이 없다는 空(공)한 이치를 체득할 때 문득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 무비 스님은 공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존재의 실상 그대로가 공(空)이기 때문에 공에 대한 완전한 설명은 매우 어렵습니다. 거듭 강조하지만 ‘공(空)’이라고 해서 아무 것도 없이 텅 빈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해서 있는 것은 더욱 아닙니다. 유(有)와 무(無)를 초월한 존재의 실상이 바로 공입니다.”
위와 같은 말은 한국불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헛소리인데, 이런 이상하고 어려운 말은 석가불교에는 없다. 이와 같이 한국 및 중국불교, 아니 대승불교에서는 전통적으로 ‘공(空)’을 어렵고 추상적인 어떤 개념으로 인식하여, 공에 대해 ‘상주불변(常住不變)하는 우주만물의 본체’, ‘존재의 실상’, ‘설명하기 곤란한 것’,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 ‘깨달아야만 알 수 있는 것’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반야심경에서의 공은 없음, 존재하지 않음, 작동되지 않음의 뜻
그러나 공(空)은 결코 그런 것이 아니다. 반야심경에서의 공은 ‘비어 있음’, ‘공적(空寂)함’, ‘고요함’, ‘아무 것도 없음’, ‘존재하지 않음’, ‘작동되지 않음’ 등을 의미하는 말일 뿐, 그 어떠한 것도 아니다.
반야심경에서의 空(공)은 산스크리트어 Śūnyatā(쑨야타)의 번역어인데, 이것은 비어 있음, 제로(zero), 없음, 존재하지 않음 등의 뜻으로 ‘無(무)’, ‘空無(공무)’, ‘空虛(공허)’, ‘空寂(공적)’, ‘空閑(공한)’, ‘空性(공성)’ 등으로 한역(漢譯)돼 있고, empty(텅 빈), vacant(...이 없는), void(....이 결여된, 비어 있는), nonexistant(존재하지 않는) 등으로 영역(英譯)돼 있다.
공은 또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의 다른 표현
공은 또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의 다른 표현이기도 하다. 초기불교 경전인 아함경에는 공(空)이 많이 나오지 않는데, 그것은 공(空) 대신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를 썼기 때문이다. 잡아함경에서 공(空)이 사용될 때 ‘공’만 단독으로 쓰인 경우는 3~5번밖에 되지 않고, 주로 ‘무상, 고, 공, 무아’의 형태로 쓰였다.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