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화혼의 차이 결론적으로 보통은 여자한테는 축 화혼(華婚), 남,여공통으로는 축 결혼(結婚)이라고 쓰고있다. 그러나 ♡혼인(婚姻) 우리나라에선 남자가 장가가고 여가자 시집가는 걸 '혼인(婚姻)'이라고 하며, '혼인신고서'에도 보듯이 모든 법적 용어에서도 결혼이란 말은 없으며, '혼인'으로 되어 있다.
♡혼(婚) : 옛부터 화촉을 밝힐 때 낮과 밤이 만나는 시간, 해질무렵(昏)에 남자가 여자(女)의 집으로 찾아갔다고 한다. 그래서 본디 식은 저녁에 올렸다하며, 혼(婚)은 남자 입장에서 여자에게 장가간다는 표현이라 한다.
♡인(姻) : 여자 쪽에서 남편을 찾을 때엔 중매 역할을 하는 부인인 매씨를 통했기 때문에 여자(女)인 매씨로 말미암아(因) 남편감 을 만난다 해서 인(姻)이라한다고 하는 것. 그래서 인(姻)은 여자 입장에서 남자에게 시집간다는 표현이라 한다. 중매(中媒)라는 말도 여기서 비롯되었음 을 알 수 있다. 혼인(婚姻)이야말로 남자와 여자가 가시버시를 맺는 데에 가장 어울리는 표현인 것이고, 바로 이런 연유로 우리나라에서는 법률 어디에도 결혼이란 표현을 쓰지 않는다. ♡결혼(結婚) : '결혼(結婚)'이란
일본어 겟콘(結婚)이란 일본식 한자 표현을 그대로 받아들인 것으로 남자 입장에서 장가를 간다는 혼(婚)에다 맺는다는 결(結)을 붙인 표현으로 남자가 장가드는데 여자는 곁 붙dj서 따라간다는 의미로 표현 자체가 남자가 주도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결혼이란 말 자체가 부적절한 말이며 남녀평등정신에 비추어볼 때 장가들고 시집가서 부부가 된다는 의미인 혼인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맞다.
♧ 華婚(화혼) : 華 빛날 화, 婚 혼인할 혼 '남의
혼인을 아름답게 표현한 말'. 축 화혼(祝 華婚)은 화려한 결혼, 즐거운 결혼을 강조하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 혼인(祝 婚姻)'이라 하는 것이 가장 바른표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