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가오리目 Myliobatiformes
색가오리科 Dasyatidae
◎ 노랑가오리 : Dasyatis akajei (Müller et Henle) (= Hemitrygon akajei)
► 방 언: 노랑가오리, 노랑가부리, 창가오리, 간재미, 황금나비, 딱장가오리, 딱장가부리
► 외국명 : (영) Red stingray, Whip stingray, (일) Akaei (アカエイ)
► 형 태 : 크기는 최대 전장 200㎝, 체반 66㎝, 체중 10.7kg까지 자라지만 대개는 전장 100㎝ 정도이다. 체반은 거의 오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주둥이는 연장되어 있지 않고 눈은 작다. 분수공은 크며 보통 눈지름의 2배보다 작다. 이빨은 부석상이며 입안 밑의 이빨 뒤쪽에는 3개의 가지 양쪽에는 톱니가 있다. 꼬리가시 뒷부분의 등쪽 정중선 위에는 가시줄이 있는데 뒤로 갈수록 날카롭다. 꼬리 부분은 회초리 모양이며 몸길이의 1.5~2.0배에 달하고,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없다. 꼬리 등쪽에 1 또는 2~3개의 큰 가시가 있다. 꼬리가 아주 길어서 체반의 길이보다 긴 것이 많으며, 독침이 있어서 찔리면 통증이 매우 심하고 저리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없다. 체색은 녹갈색이며, 배쪽은 담황색이다. 체반의 가장자리는 짙은 황색을 띠고 있다. 배쪽이 보다 선명한 노란색을 띠며, 노랑가오리란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 설 명 : 얕은 바다의 모랫바닥에 사는데 유영력이 강해서 장거리를 헤엄친다. 산호초 지대나 하구 등의 기수역에서도 발견된다. 평소에는 모래 바닥에 얕게 잠수해 눈과 분수공, 꼬리만 모래 위에 내놓는다. 수영할 때는 좌우의 가슴지느러미를 파도에 부딪히게 하고, 해저 근처를 날갯짓하듯 헤엄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패류, 두족류, 다모류, 갑각류, 어류 등 저서생물을 폭넓게 잡아먹는다. 바지락 등 어장에서는 식해가 문제가 되기도 한다. 꼬리에 있는 가시에는 독샘이 있으며, 이는 공격하거나 방어할 때 사용된다. 천적은 인간 외에 상어나 돌고래 등이다. 특히, 귀상어류에게 자주 사냥 당한다. 독침도 귀상어에게는 통하지 않는 듯 T자 모양의 머리로 짓눌려 구타해서 먹어버린다.
번식 형태는 많은 연골 어류에서 볼 수 있는 난태생으로 암컷은 교미 후 체내에서 알을 부화시킨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얕은 바다에서 5~10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새기의 몸길이는 10㎝ 정도이다. 등쪽과 배쪽 모두 담갈색이지만 체형은 부모와 같다.
약한 개체가 해변으로 쏘아 올리거나 얕은 바다에서 모르고 해수욕을 하던 중 밟아 버렸을 때에는 독침을 맞을 위험이 있다. 그러나 만지거나 하지 않는 한 사람을 찌르지 않는다. 태생어로 초여름에 깊은 곳으로 이동해서 10마리 내외의 새끼를 낳는다.
노랑가오리의 고기를 식용할 뿐만 아니라, 껍질로 가공한 가죽은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 장식품, 지갑 등을 만드는 데에 사용된다. 연근해에 7종의 근연종이 있으나 본종이 가장 맛이 좋으며, 여름이 제철이다. 연승이나 정치망에 걸리며, 찜이나 무침 등으로 이용한다. 간은 특히 맛이 좋으며, 날것으로 먹는다.
제철은 여름이지만 맛은 일년 내내 별반 다르지 않다. 얕은 곳으로 이동할 때 모아서 잡을 수 있으며, 여름은 고기잡이의 성수기이기도 하다. 비늘이 없으며, 내장도 작고 깨끗하다. 껍질은 가열하면 부드러워져 그대로 요리할 수 있다. 뼈는 연골이어서 연하다. 살에는 이취가 없고 적당한 섬유질의 백색이며, 부드러워서 입에 넣으면 적당히 풀어진다. 선도가 좋으면 생선회로도 이용한다. 살은 가열해도 단단하게 조이지 않는다. 생선회는 식감이 좋으며, 회덮밥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기름장에 찍어먹는 간은 별미이다. 연골이나 근육에는 젤라틴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조림을 식히면 훌륭한 박대묵과 같은 묵이되며, 어류 중에서는 최상급의 맛이다. 지느러미 부분을 말린 건어물은 본종의 단골 요리이다. 좌우의 얇은 부분을 강하게 말리면 연골의 식감과 그 사이의 근육의 감칠맛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지느러미를 잘라내고 껍질을 벗긴 후 수분을 잘 닦아내고 짜지 않을 만큼 소금을 뿌려 말린다. 소테도 표면의 고소함과 지느러미의 쫄깃한 식감이 어우러져 맛이 매우 좋다. 튀김은 천천히 튀기는 것이 요령이며, 바밧바삭한 표면과 연골의 식감이 어우러져 매우 맛이 좋다.
► 분 포 : 한국(서남부해, 남해안, 제주도), 일본(북해도 이남), 동죽해, 타이완, 남중국해 등 북서태평양 연안에 주로 분포한다. 태국, 필리핀, 피지, 투발루에서도 보고되었지만 본종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 위험성 : 노랑가오리는 맛있는 어종이지만 상당히 위험한 어종이기도 하다. 얕은 바다에 살기 때문에 해수욕을 하러 온 인간과 비교적 쉽게 마주칠 수 있으며, 꼬리에 달린 커다란 침에는 독샘이 있다. 꼬리에 있는 독가시는 길이가 10㎝ 정도로 길고 너비도 있다. 끝 부분은 그다지 날카롭지 않아서 만지다가 찔리는 일은 별로 없다. 갯벌 등을 걷다가 밟거나 고기잡이를 할 때 잘못해서 찔리는 경우가 많다. 자독이 있어 쏘이면 심하게 아프고 붓는다. 얌전한 물고기로 사람을 해야 오거나 공격하지도 않는다. 갯벌 등을 걸을 때 조심해서 밟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그렇게 겁낼 필요는 없다. 노랑가오리의 독은 톡신 계열 화학성분이 아니라 두 가지 효소(phosphodiesterase, 5-nucleotidase)로 생체의 화학반응을 차단하고 에너지 공급이 차단된 세포와 신경을 괴사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게다가 이 독은 노랑가오리가 죽어도 없어지는 게 아니라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죽은 노랑가오리 시체라도 함부로 꼬리를 만져서는 안 된다.
노랑가오리를 잡아먹는 천적들도 독침을 피해 조심조심 잡아먹을 정도이지만 아가미 등이 너덜너덜 해지는 등 피해를 입는다. 성호사설, 우해이어보 등의 한국 고문헌에서도 가오리를 언급할 때 꼬리의 독을 주의 하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유명한 야생동물보호가인 호주의 스티브 어윈(1962~2006)도 이 노랑가오리에 의해 죽었다. 이 때문에 호주 전역에서 노랑가오리 학살 사건이 일어나자 동물 보호가인 어윈을 생각하라며 말려야 했으며, 호주에서도 가만히 있는 가오리는 건드려 죽은 것을 빌미로 가오리를 죽이느냐는 비난도 쏟아졌다. 대부분의 자료에는 찔리면 통증이 있다는 정도로 끝나지만 실제로는 아픈 정도로 끝나지 않으므로 야외에서 가오리를 만나면 죽었든 살았던 함부로 건들지 말고 만에 하나 찔리면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다만 이 독가시에 대한 이야기가 와전되어서 복어처럼 몸 자체에도 맹독이 있는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한다.
실제로 외국에서는 맹독성 가오리에 의한 피해 사고가 뉴스에 자주 나오며, 그 중에 노랑가오리도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