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린을 잘하는 사람은 필드에서 결코 잘 칠 수는 없지만
필드에서의 고수는 스크린에서도 쉽게 고수가 될 수 있답니다.
공을 어떻게 보내는지 방법을 알거든요.
스크린은 필드와 조금 다릅니다.
공의 회전수와 페이스의 각도를 적외선으로 읽고 공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적외선을 쏘는 위치까지만 클럽 페이스가 직각이면 공은 똑바로 갑니다.
그냥 앞의 하얀 천막을 향해 보내기만 하면 되는데 보통 사람들은 목표를 너무 멀리 봅니다.
화면이 바로 눈앞에 있고 결과를 곧바로 확인할 수 있으니 벌떡녀, 뒷땅녀, 탑핑녀 등등이 똥꼬치마를 입고 줄줄이 사탕입죠.
필드와는 조금 다릅니다.
아이언은 본인의 평소 거리보다 한 클럽 정도 길게 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필드에서는 잔디를 한삽 떠서 나갈 수 있지만 스크린에서는 매트에 박히면 거리는 짧아지지요.
필드에서 처럼 한 클럽 길게 잡고 부드럽게 3/4 스윙을 하면 거리는 턱도 없이 짧답니다.
아예 한 클럽 길게 잡고 강하게 쳐도 뒷바람만 아니면 그린에 올라갑니다.
러프와 벙커에서는 2~3클럽까지 길게 봐야 합니다.
그린 주변 벙커에서는 두배의 거리를 계산해야 되지요.
본인의 평소 공의 구질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바람의 방향에도 신경써야 합니다.
왼쪽으로 부는 바람은 신경 안씁니다.
뒷바람은 공이 그린에 떨어지면 한클럽 정도 더 굴러가게 됩니다.
그렇다고 짧으면 당연히 그린에도 못가고 러프에 떨어지겠지요.
제일 어려운 것이 퍼팅인데 일단...
때리는 퍼팅을 하는 분들은 적응하기가 어렵습니다.
때리는 순간 강한 임팩으로 공은 사정없이 굴러가기 때문이지요.
굴리는 퍼팅을 해주어야 좋으며 부드러운 팔로우를 꼭 해주어야 합니다.
가장 힘든 것은 2미터 정도의 강한 내리막인데 그냥 붙인다 생각하시고 라인을 많이 본 다음 아주 약하게 쳐야 합니다.
넣으려다가는 왔다리 갔다리 잘해야 3퍼팅 입니다.
퍼팅 할 때에는 필드에서도 그렇지만 항상 '붙인다'는 목표로 하시기 바랍니다.
어려운 곳은 보기로 막고 다음 홀에서 버디를 노려 만회를 해야 하지요.
항상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필드샷과 스크린샷이 달라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어느 곳에서든 똑같은 샷을 일관되게 해야만 연습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스크린에서는 변칙적이고 엉뚱한 스윙을 한다면 나중에 필드에서 분명 악영향을 가져오게 됩니다.
우리 몸의 스윙 근육은 죄송스럽지만 스크린과 필드를 구분할 줄 모른답니다.
스크린을 했더니 스윙을 망쳤다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런 분들입니다.
아직 본인만의 스윙이 없기 때문이지요.
스크린골프는 좁은 공간에서 공기도 안좋고 바닥에 닿는 매트도 팔꿈치에 안좋기 때문에 장시간을 하면 몸에 해롭답니다.
- 펌 -
첫댓글 스크린은 늘 재미삼아~~
전 한번도 안해봤어요.
나중에 한국으로 이사가게 되면 함 시도해 볼꺼에여. ㅎ
포인트님 나름 재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