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도 (茶道, teaism) | ||
| ||
|
개념용어
차를 달여 손님에게 권하거나 마실 때의 예법.
차는 처음 음료수의 일종이나 약용으로 등장하였으나
차차 기호식품화하면서 취미생활과 연결되었고,
다시 일상생활의 도를 끽다(喫茶)와 관련지어 다도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차의 연원은 전설의 시대에까지 소급되지만,
중국의 경우 4, 5세기경 양쯔강(揚子江)유역의 주민들이 애호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다도의 성립은 8세기 중엽 육우(陸羽)가 ≪다경 茶經≫을 지은 때부터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그 뒤 다도는 중국은 물론 우리 나라·일본 등에 널리 유포되었다.
우리 나라에도 삼국시대말에는 차가 있었고,
9세기 전반경에 성행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에는 귀족층을 중심으로 다도가 유행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억불숭유정책으로 다소 쇠퇴하였으나, 사원을 중심으로 그 전통이 이어졌다.
19세기초에 이르러 우리 나라의 다도는 다시 한번 일어났다.
특히, 초의(草衣)는 ≪동다송 東茶頌≫을 지었고 차를 재배, 법제하는 방법 등
다도의 이론적인 면이나 실제적인 면에서 크게 정리하고 발전시켰다.
초의는 그의 ≪동다송≫에서 다도에 대하여 “따는 데 그 묘(妙)를 다하고,
만드는 데 그 정(精)을 다하고, 물은 진수(眞水)를 얻고, 끓임에 있어서 중정(中正)을 얻으면
체(體)와 신(神)이 서로 어울려 건실함과 신령함이 어우러진다.
이에 이르면 다도는 다하였다고 할 것이다.”고 하였다.
즉, 그에 의하면 정성스럽게 잘 만들어진 차로 좋은 물을 얻어
알맞게 잘 우러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차를 끓일 때 물은 매우 중요하다. 물은 차의 체이기 때문이다.
차인들은 물맛의 우열을 평하고는 하였는데 이를 품천(品泉)이라고 한다.
초의는 좋은 물의 여덟가지 덕(德)으로,
가볍고, 맑고, 차고, 부드럽고, 아름답고, 냄새가 없고,
비위에 맞고, 탈이 없어야 할 것을 지적하면서,
급히 흐르는 물과 괴어 있는 물은 좋지 못하고,
맛도 냄새도 없는 것이 참으로 좋은 물이라고 하였다.
고려말의 이행(李行)도 품천을 잘하여
충주 달천(達川)의 물이 제일이고,
금강산에서 시작하여 한강으로 흐르는 우중수(牛重水)가 그 다음이며,
속리산의 삼타수(三陀水)가 세번째라고 평하였다.
신라시대의 다천(茶泉)으로는 사선(四仙)이 차를 달여 마셨다는 강릉 한송정의 다천과
효명(孝明)과 보천(寶川)이 차를 끓였다는 오대산 서대의 우통수(于筒水)가 유명하였다.
이들 우물은 현재까지도 마르지 않고 있다.
고려시대는 이규보(李奎報)가 기문을 쓴 바 있는
냉천정(冷泉亭)의 샘물이 유명하였고,
안화사(安和寺)의 샘물 또한 이름이 있었다.
그래서 이숭인(李崇仁)은 안화사의 샘물 한 병을
차 한 봉과 함께 정도전(鄭道傳)에게 선물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는 속리산 복천암(福泉庵)의 우물이 유명하여
신위(申偉)는 한보정(閑步亭)이라는 차실을 짓고
바위 밑에서 나는 샘물을 길어 차를 끓이고는 하였다.
김노경(金魯敬)은 두륜산 자우산방(紫芋山房)의 유천(乳泉)을 맛보고,
그 물맛을 높이 평가한 바 있고, 초의 또한 이 유천의 물맛을 자랑으로 여겼다.
좋은 샘물은 그때 그때 길어서 쓰면 좋지만,
샘물이 가까이에 없을 경우 물을 길어다 저장해서 쓴다.
물의 저장에는 독이 적당하고, 헝겊으로 입구를 덮는다.
오늘날의 도시인들은 대부분이 수돗물을 쓰는데,
이를 다시 정수시키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수도꼭지를 완전히 열어서 한참 동안 물을 흘려보낸 다음 받아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옛날에는 화로나 풍로에 불을 피우고 철병이나 차솥 등으로 물을 끓였지만,
오늘날은 커피포트 등으로 물을 끓인다. 좋은 차맛을 내기 위하여서는
물을 잘 끓여야 하는데, 이 때문에 차인들은 화력의 상태[火候]나
물이 끓는 정도[湯候]를 정확히 구별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는 한다.
물이 끓는 정도를 분간하는 탕변(湯辨)에는
형변(形辨)·성변(聲辨)·기변(氣辨) 등이 있다.
물거품이 일어나는 정도에 따라 구별하는 것이 형변이고,
물이 끓는 소리에 따른 구분이 성변이며,
김이 나는 정도에 따라 변별하는 것이 기변이다.
완전히 잘 끓은 물을 경숙(經熟), 그렇지 못하고 설끓은 물을 맹탕(萌湯)이라고 한다.
말차(抹茶)와 전차(煎茶)에 따라 우려내는 방법이 다르다.
말차는 찻가루 약간을 찻숟가락으로 떠서 다완에 넣고 끓인 물을 부어
다선(茶?)으로 격불(擊拂)하여 거품이 잘 일게 하여 마신다.
전차의 경우 다관에 차와 끓인 물을 넣고 차가 잘 우러났을 때 찻종에 따른다.
차의 품질에 따라 탕수(湯水)의 온도에 차이를 두는데, 대개 70℃∼90℃가 적당하다.
그리고 차를 넣는 투차(投茶)에는 차를 먼저 넣고 탕수를 붓는 하투(下投), 탕수를 반쯤 붓고
차를 넣은 뒤 다시 탕수를 더 붓는 중투(中投), 탕수를 먼저 붓고 그 위에 차를 넣는
상투(上投) 등의 방법이 있다.
겨울에는 하투, 여름에는 상투, 봄·가을에는 중투를 하는 것이 좋다.
다관에서 차를 우려낼 때는 그 시간을 잘 맞추어야 한다.
빠르면 차가 제대로 우러나지 않고, 너무 늦으면 차의 향기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찻잔에 차를 따를 때 차의 농도를 골고루 하기 위하여 몇 개의 찻잔을 왕복하면서 따른다.
대개 한번에 찻잔의 6분의 1 정도를 따른다. 다관의 찻물은 마지막 한 방울까지 따라야만
재탕 때 좋은 차맛을 보존할 수 있다.
차를 마실 때는 손님이 적은 것을 귀하게 여겨
예로부터 혼자서 마시는 것을 신(神),
손님이 둘일 경우를 승(勝)이라고 하였다.
손님이 많은 경우는 시끄러워 아취가 적기 때문이다.
차는 색(色)·향(香)·미(味)의 세가지가 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것이 좋다.
차의 색은 청취색(靑翠色)이 제일 좋고,
남백색(藍白色)은 다음이며,
그 밖의 황색 등은 품(品)에 들 수 없다고 한다.
차의 맛은 달고 부드러운 것을 상(上), 씁쓰레한 것을 하(下)로 여긴다.
차의 향기는 독특한 것이기에 다른 향을 섞으면 좋지 않다.
차는 천천히 음미하면서 마시는 것이 좋다.
차를 끓여 손님에게 접대하는 일에는 격식이나 예의도 문제가 되지만,
궁극적으로는 물을 끓여 간을 맞게 하여 마시는 일이다.
물론, 간맞는 좋은 차가 되기 위해서는 물과 차 등이 알맞게 조화를 얻어
중정(中正)을 잃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음다의 풍습이 성행한 곳은 주로 선가(禪家)였다.
이것은 졸음을 쫓아주는 차의 약리적 효과 때문이기도 하였지만,
또한 차도의 정신과 선의 정신이 서로 계합하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다선일미설(茶禪一味說)이 생겨나게 된 것도 여기에 기인한다.
이러한 경향은 “덕이 있는 사람이 마시기에 가장 적당한 것이 차”라고 하였던
육우로부터 비롯되었고, 백장(百丈)·조주(趙州) 등의 선사에 이르러 그 깊이를 더하였다.
특히, 조주는 도(道)를 묻는 제자에게 “끽다거(喫茶去)”라고 대답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뒷날 선가의 유명한 화두(話頭)가 되기도 하였다.
끽다는 평상심(平常心)이고, 평상심은 곧 도이자 선(禪)이라는
다선일미사상은 고려시대 이후 우리 나라의 선가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고려의 승려들은 차를 즐겼고, 차를 마시는 일상생활 속에서 진리를 터득하려 하였다.
지눌(知訥)이 “불법(佛法)은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곳에 있다.”고 한 것이 그것이다.
다선일미의 사상은 19세기 초의에 의하여 더욱 강조된 바 있다.
그는 한 잔의 차를 마시되 법희선열식(法喜禪悅食)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는 차란 그 성품이 속되지 않아 욕심에 사로잡히지 않는다고 하면서
“차의 더러움 없는 정기를 마실 때 어찌 대도(大道)를 이룰 날이 멀다고만 하랴.”고
자부하기도 하였다. 흰구름 밝은 달을 벗삼아 마시는 차인의 멋은
바로 푸른 산을 대하여 앉아 삼매에 든 선사의 법열로 통하는 것이었다.
김정희(金正喜)가 초의에게 써보낸 <명선 茗禪>이라는 작품은
차와 선이 한맛으로 통한다는 것을 강조해주고 있다. 또한,
이상적(李尙迪)이 찻잔에 떨어지는 물방울을
부처님의 수많은 화신(化身)으로 읊었던 것도 차를 통하여
선으로 나아갔던 것이고, 차를 마시면서 선열에 젖었던 예이다.
다도는 불을 피우고 물을 끓이며, 그 잘 끓인 물과 좋은 차를 간맞게 하여 마시는
평범하고 일상적인 취미생활이다. 찻잔을 씻고, 물을 길어 나르며,
목마를 때 마시는 일일 뿐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평범하고 일상적인 일을 떠나 도가 있지 않다.
선도 또한 평상심을 떠나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차와 선은 한맛이 된다. → 차
「韓國의 茶道」(崔凡述, 寶蓮閣, 1975)
「韓國의 茶文化」(金雲學, 玄岩社, 1981)
「茶道」(석성우, 한겨레출판사, 1981)
「現代人과 茶」(崔圭用, 국제신문사출판국, 1981)
「우리茶의 再照明」(崔啓遠, 三陽出版社, 1983)
「東茶正統考」(金明培, 探求堂, 1983)
「茶文化學」(鄭相九, 詩文學社, 1983)
「生活茶藝」(金相鉉·김봉호 -太平洋博物館, 1984)
「茶道學」(金明培, 學文社, 1984)
* 차(茶)의 음용방법 |
찻잔을 왼손바닥에 올려놓고 오른손으로 잡고 마신다. 차의 색과 향기, 맛을 느끼며 마시되 3∼4번에 나누어 마신다. 찻잔에 전해지는 차의 온기와 도자기의 질감도 음미한다. 차를 입안에 넣고 머금었다가 삼킨다. 그래야만 차의 다섯가지 맛을 고루 맛보고, 차의 풍취도 느낄 수 있다. 차의 여향은 차맛의 으뜸이므로, 여향을 놓치지 않도록 한다. 녹빛 찻물이 모세혈관까지 퍼진다는 생각을 하며 마시면 심리적 평온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차를 차갑게 마시는 것보다 따뜻하게 마시는 것이 좋고, 그때그때 우려 마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
*다기(茶器)의 명칭 |
1. 차관(차우리개) : 차와 물을 넣고 차를 우리는 용기. 다기를 선택할 때 가장 잘 골라야 하는 것이 차관이다. 기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2. 찻종(찻잔) : 차를 마시는 용기. 찻잔이라고도 하고 찻종이라고도 한다. 위가 벌어진 것을 찻잔이라 하고, 엎어놓으면 종의 형태 또는 종지 모양을 찻종이라 한다. 그 외에도 구( ), 완(碗) 등이 있지만, 사용용도가 다르다. 3. 숙우(물식힘그릇) : 녹차는 물을 끓여 70℃ 정도로 식혀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한 용기이다. 4. 찻잔받침 : 찻종(찻잔)을 올려놓는 용기로, 도자기보다 나무로 만든 것이 편리하다. 찻종이 도자기이기 때문에 받침까지 도자기이면 부딪치고 무겁다. 5. 차시(차측, 차칙) : 차호(차통)에서 차를 덜어 쓰는 도구로, 나무로 만든 것을 주로 사용한다. 6. 차호(차통, 차단지) : 차를 담는 용기. 그때그때 쓸 만큼을 담아 사용한다. 밀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래 담아두면 차맛이 떨어진다. 7. 차수건(차행주) : 다기의 물기를 닦을 때 사용하는 흰 면으로 만든 것. 8. 차상 : 다기를 올려놓고 차를 우려야 하므로, 높이가 낮아야하고 직사각형 형태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9. 탕관 : 찻물을 끓이는 용기. 도자기, 철, 동 등이 있으나, 도자기로 된 것이 많이 유통된다. 전기로 물을 끓이는 것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10. 차화로 : 탕관의 물을 끓일 수 있는 용기로, 요즘은 화로 안에 전기곤로를 넣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 아니라, 차생활의 운치도 배가시킨다. 11. 퇴수기(물 버리는 그릇) : 찻종을 예온한 물을 버리는 그릇. 찻잎 찌꺼기 등도 이 그릇에 버린다. |
*다기(茶器)의 선택 |
1. 차관의 선택 다기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은 불편을 느끼게되는 것은, 물이 차관의 부리를 타고 줄줄 흘러내리는 것이다. 직접 물을 따라보고 사는 것이 좋겠지만, 다기를 고를 때 여건이 그렇지 못하다. 차관에서 물을 따르는 부분인 부리가 몸체에 올려 붙지도 내려 븥지도 않아야 한다. 또 새의 목처럼 생긴 그곳이 알맞은 곡선을 이루어야 한다. 지나치게 휘이면 물줄기가 휘이고, 밋밋하면 반드시 찻물을 끊을 때 물이 흘러내린다. 부리가 몸체보다 길면 차관 입부분에서 찻물이 먼저 흐르고, 부리가 몸체보다 짧으면 물줄기가 세어서 튄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물이 나오는 구멍이다. 구멍이 큰 것보다 작은 것이 좋은데, 자른 각도가 밑으로 많이 쳐지면 물이 흘러내리고, 수평이면 물이 휘어져 내린다. 차관 속의 거름망 구멍이 크면 찻잎 부스러기가 빠져 나오고, 너무 작으면 물이 잘 나오지 않는다. 2.숙우의 선택 녹차는 물을 70℃ 정도 식혀 사용하기 때문에, 물식힘그릇(숙우)이 필요하다. 이것을 고를 때 부리가 밑으로 쳐진 것을 선택하면 물을 따를 때 물이 그곳을 타고 흘러내린다. 따라서 쳐지지 않은 것을 골라야 한다. 또 밑의 굽 높이가 조금은 높아야 뜨거운 물을 따랐을 때 들기가 쉽다. 3. 찻잔의 선택 찻잔은 손에 잡았을 때 느낌이 좋은 것이 중요하다. 위가 벌어진 것, 종지 형태 등 여러 종류가 있지만, 개인의 기호에 맞는 것을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용차와는 달리 녹차는 한잔만 마시지 않고 여러 잔 마시므로,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것을 고른다. |
*다기(茶器)의 종류 |
다기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선택할 때 자신과 잘 맞는 것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고, 싫증이 나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것을 선택하는 것도 고려해야할 중요한 점이다. 현대 우리나라의 다기는 크게 백자, 청자, 분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차례대로 장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백자 백자는 다기의 대명사로 차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백자 한 벌쯤은 갖고 싶어한다. 가격이 비싼 편이며, 겨울에는 좀 차갑게 느껴진다. 백자는 순백색을 띠는 것이 좋다. 2. 청자 청자는 차색인 녹색과 색이 겹쳐 차색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여름에 몇 번쯤 사용해 볼만하다. 3. 분청 분청은 현대인과 가장 잘 부합되는 다기라 할 수 있다. 분청의 거친 질감과 자연스러움이 현대인의 기호에도 잘 맞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즈음에 와서 지나치게 거칠어지고 색도 짙어지는 경향이 있다. 찻종 안은 엷은 색을 칠해, 차색을 볼 수 있게 한 것이 좋다. 분청의 종류는 귀알과 덤벙, 인화문으로 크게 나눌 수 있지만, 각각 특성이 있다. |
*차(茶)의 분류 |
차의 종류는 산지와 제조방법, 찻잎을 따는 시기 등에 따라 분류방법이 다양할 수 있지만, 발효의 유무 또는 정도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불발효차 : 녹차류 ① 불발효차는 발효시키지 않은 녹차로서 한국, 일본, 중국북부지방과 베트남 등지에서 생산된다. ② 제조방법은 증기로 찌는 증차와 가마솥에서 덖는 덖음차로 대별할 수 있는데 한국과 중국은 덖음차가 주종을 이루고, 일본은 증차가 주종을 이룬다. ③ 차를 따는 시기에 따라 차의 등급이 결정된다. 새봄 일찍 딴 차일수록 상품(上品)에 속한다. 우전(雨前), 세작(細作) 등은 4월 말에서 5월 초순에 처음 올라온 새순을 따서 만든 차이다. 2. 반발효차 대표적 반발효차는 우롱차이다. 중국 광동성과 복건성, 대만에서 주로 생산된다. 그러나, 중국차 전체 생산량 45만 톤 중에 우롱차는 제조방법이 복잡해서 약 5만 톤 밖에 생산되지 않고 35만 톤은 녹차, 나머지는 홍차와 보이차 등이다. 우롱차의 생산 비율은 11%에 불과하다. 반발효차도 발효의 정도와 찻잎의 종류,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차의종류의 도표에도 있듯이 백차, 화차, 철관음차 등이 이에 속한다. 이외에도 명칭과 종류는 수없이 많다. 차색도 발효 정도에 따라 노란빛을 띤 녹색에서 자황금까지 다양하다. 3. 완전발효차 홍차는 대표적 완전발효차이다. 홍차는 1610년 전후 중국 복건성 무이산에서 시작되어, 1828년 인도네시아에 전래된 뒤 1834년 인도에 전파되었다. 홍차의 제조방법은 정통식과 비정통식이 있는데, 인도의 다즐링과 스리랑카에서는 대부분 잎차 형태의 정통식 제조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4. 후발효차 후발효차의 대표적인 차는 보이차이다. 원산지는 중국 운남성이며 현재는 광동과 사천지방에서도 생산된다. 시들리지 않고, 녹차처럼 솥에 덖어 수분을 보유시켜 대나무 통이나 상자에 넣고 쌓아 공기 중의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일어나도록 숙성시킨다. 따라서 약간 곰팡이 냄새가 나며, 차색은 붉은색을 띤다. |
*차(茶)의 보관 |
초의선사의 《다신전》에 보면 <점염실진(점染失眞)> 이라 하여, 차는 오염된 것이 점입하면 자신의 참모습을 잃는다는 말이 있다. 차는 흡인력이 매우 강해서 냄새, 습기, 빛, 공기에 노출되면 그것들을 흡수하기 때문에 차의 본래 맛을 잃게 된다. 따라서 보관이 매우 중요하다. 빛이 차단되는 통에 보관하되, 주방이나 다른 냄새가 나는 곳에 놓아두어서도 안되며, 밀봉을 하지 않아 습기가 침투되어서도 안된다. 차통을 한 번 개봉하면 차를 꺼낼 때마다 밀봉을 하여야 좋은 차맛을 볼 수 있다 |
*찻물의 선택 |
당나라 때의 《다경》, 명나라 떄의 《자천소품》, 《전다수기》, 우리나라 초의선사의 《다신전》등에 보면 찻물의 품등과 종류, 선택방법에 대해 많은 기록들이 보이지만, 대부분은 산의 물을 이상적으로 여겼으며, 산의 물 중에서도 산마루의 물을 더 좋은 것으로 간주했다. 우물물은 인가에서 가깝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으며, 강물은 물고기의 비린내 등이 날 수 있으며, 모든 물이 모이기 때문에 좋지 않다고 되어 있다. 현대에 와서는 환경의 변화와 경제발전 등이 물의 선택에도 영향을 미쳤다. 환경오염으로 아주 깊은 산의 물이 아니면 산물을 사용하는 것도 안심할 수 없고, 약수 또한 오염상태가 확인된 것을 사용하되 철분이나 탄산 성분들은 화학성분이 많이 포함된 것은 피한다. 따라서 대부분 정수기나 생수에 의존하게된다.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하루밤 동안 오지 항아리에 가라앉혀 이틀날 사용하되, 위물을 떠서 찻물로 사용한다. 가장 이상적인 찻물은 무미, 무취, 무향의 물이다. |
*찻물 끓이는 방법 |
《다신전》에 찻물을 끓일 때 화후(火候)라 하여 물을 살피는 방법이 있다. 즉, 문무지후(文武之候)가 그것인데, 약한 물을 문화(文火), 센 불을 무화(武火)라 한다. 불길이 약하기만 해도 안되며 세기만 해도 바람직하지 않다. 처음에는 약간 센 불에 끓이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길을 조금 줄인다. 《다신전》에는 또 노수(老水)와 눈수(눈水)라 하여 찻물 끓이는 정도에 대해 기록을 해 놓았다. 찻물을 지나치게 끓이면 물이 늙는다는 뜻에서 노수라고 한다. 노수는 찻물로 적합하지 않고 눈수가 알맞게 끓인 물이다. 찻물이 100℃로 끓기 시작하면 30초 이상 끓이지 않는다. 물을 끊인 후 수기가 완전히 가라 앉은 뒤 따라 쓰도록 한다. 만약 물을 지나치게 오래 끓이게 되면 새물을 첨가해서 다시 한 번 끓이도록 한다. 요즘은 물을 끓일 때 보온까지 되는 전기제품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그것은 찻물이 100℃까지 끓지 않고 그대로 잦아 들고 만다. 가정에서는 화로에 코일로 된 전기곤로를 넣어 사용하면 편리함과 더불어 차생활의 멋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사무실 등에서는 전기포트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
*차(茶) 우리는 방법 |
한국에서는 대부분 녹차류를 마시기 때문에, 녹차를 우려 마시는 방법에 대해서 우선 설명을 하고자 한다.
| ||
|
|
첫댓글 사부님께서 계룡 총본산
제각 옆-수련원에서 다도를 즐기라고
다기세트를 하사해주셔서, 앞으로
다도(茶道)를 조금씩 즐겨보려고 함에
다도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자 소개해 올렸습니다._()_
네 저도 차를 많이 마시니 관심이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