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화]
사자는 바퀴달린 돼지고기 쫓고, 침팬지는…
‘복지 동물원’ 변신 중인 과천 서울대공원 가보니
서울대공원 동물원에서 우두머리 사자가 돌아가는 바퀴에 달린 돼지고기를 낚아채고 있다.
야생본능을 일깨우기 위해 먹이를 던져주지 않는다.
지난달 29일 오후 과천 서울대공원 동물원 아프리카 사자 사육장.
사육사 함계선씨가 빙빙 돌아가는 회전바퀴 고리에 돼지고기 한 덩이를 끼우자 늘어져 있던 사자 일곱 마리가 자세를 가다듬는다.
이날의 두 번째 식사로 사자들이 아직 배가 고플 시간은 아니다.
그래도 움직이는 살코기를 보니 맹수의 본능이 꿈틀거리는 것 같았다.
무리의 우두머리 격인 놈이 먼저 고기를 향해 달려들었지만 고기는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
사육사 함씨에 따르면 사자들은 서열 순으로 고기에 도전한다.
사자의 사냥을 동물원 식으로 풀어낸 동물 행동 풍부화 프로그램이다.
함 사육사는 “과거엔 고기를 적당한 거리에 던져주었지만 이젠 먹이를 줄 때 사냥감을 쫓는 기분이 들게 사자를 뛰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만히 있어도 먹을 수 있었던 고기는 이제 한참을 뛰어야 얻을 수 있게 됐다.
덕분에 사자의 운동량도 늘었고 행동도 민첩해졌다.
서울대공원 동물원이 변하고 있다. 관람객만이 아닌 동물 중심의 동물원이 모토다.
좁은 우리에 동물을 가둬 놓고 인간의 재미를 위해 구경거리로 삼았던 과거 모습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다.
모의원 대공원 동물원장은 “10년 전 환경운동연합의 ‘슬픈 동물원’ 보고서가 동물원 개혁의 시발점이 됐다”고 말했다.
당시 보고서는 좁은 공간에서 사육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동물들의 실태를 상세하게 기록해 파장을 일으켰다. \
이 일로 대공원장이 사직하고 사육과를 동물복지과로 바꾸는 등 조직개편이 이뤄졌다.
모 원장은 “한정된 재원으로 가장 동물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볼 권리와 구경 당하지 않을 권리
과거 동물원의 존재 이유는 야생동물을 안전하게 격리해 인간이 편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19세기에 등장하기 시작한 근대 동물원은 진귀한 동물을 전시하고 국력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동물의 존엄성 유지, 동물의 복지는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하지만 동물 권익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동물원도 생태·과학 동물원으로 변신하는 추세다.
1984년 창경원에서 이전해 현재의 터에 자리를 잡은 대공원 동물원도 과거엔 오물을 쓸어내기에 편리한 콘크리트 바닥과 튼튼한 쇠창살을 설치한 우리에서 동물을 관리했다.
인간에겐 즐거움을 주었지만 동물의 생태 습성에 맞지 않아 부작용을 낳았다.
곰이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자기 털을 뽑는가 하면 우울증으로 머리를 쇠창살에 부딪치면서 자해를 하기도 했다.
환경단체의 폭로 이후 지난 10년간 대공원 동물원은 보다 ‘동물적인 공간’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공원 동물원의 복지 동물원 실험은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뉜다.
시설 개선과 동물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운영이다.
19만6000㎡에 달하는 동물원엔 현재 320종 320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이들은 30개 사육장에서 나뉘어 관리된다.
2009년 유인원관이 가장 먼저 동물 친화적인 사육장으로 바뀌었다.
부끄러움이 많은 고릴라들이 ‘구경 당하지 않을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내실과 관람객 사이에 일방투명경(매직 미러)을 설치했다.
관람객은 유리를 통해 고릴라를 관찰할 수 있지만 고릴라 쪽은 거울로 돼 있어 인간이 보이지 않는다.
이달 말엔 30년 된 열대조류관을 리모델링해 재개장한다.
1년 동안 27억원을 들여 지상 2층 전시관 내부(1982㎡)엔 야자수 등 열대식물을 심고 나무 횃대와 각 조류에 맞는 새집을 만들었다.
또 유리 천장을 올려 햇볕이 잘 들도록 했다. 새들이 자유롭게 날 수 있는 공간도 배치했다.
운동부족으로 흉근이 쇠약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현재 4958㎡에 달하는 호랑이 사육장도 대폭 커진다.
전문가들과 상의해 공간을 1.5배 확장하고 호랑이 생태에 맞는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현재 호랑이사는 촘촘한 철창으로 막힌 좁은 우리가 줄지어 있는 전형적인 80년대식 시설이다.
강형욱 홍보마케팅팀장은 “지난해 기증받은 백두산 호랑이 등이 좀 더 편하게 지낼 수 있는 지형을 만들고 헤엄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웅덩이를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나머지 27개 사육장도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동물친화적으로 바꿔나갈 예정이다.
동물 행동 풍부화 프로그램은 갇혀 있는 동물이 지루해 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자극을 주는 작업이다.
사자 달리게 하기 등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오랑우탄을 위해 고공 그늘집을 만들고 겨울에도 야외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열선을 설치했다.
내실에서 지내는 시간이 길수록 무력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또 침팬지 타워를 만들어 높은 나무에 오르려는 본능을 살릴 수 있도록 꾸몄다.
바바리양들을 위해선 돌산을 쌓고 먹이를 넣은 공을 매달아 마치 바위 틈에서 자란 키 낮은 나무에서 먹이를 따 먹는 느낌을 받도록 했다.
시설을 개선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자 성과도 나타났다.
마승애 동물운영팀장은 “아직 생태 동물원이라고 하기엔 미흡한 점이 많지만 지난해 동물원에서 태어나기 힘든 황새가 태어나는 등 동물 출산이 늘어난 것은 동물 복지에 신경 쓴 결과”라고 말했다.
그래도 동물원은 어디까지나 동물원이다.
서식지에서 사는 것과 같은 환경을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두고 동물 보호단체들은 “동물원은 사라져야 할 구시대 유물”이라고 주장한다.
이형주 동물자유연대 홍보팀장은 “생태적 동물원은 환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육적 목적을 위해서라면 야생 서식지를 찾아 동물을 관찰하거나 영상물을 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스스로 원하는 것을 말하지 못하는 동물의 복지를
인간의 기준으로 정하는 것은 늘 논쟁거리다.
일부 희귀종의 경우 동물보호단체의 주장과는 달리 인간의 보호가 유용할 수도 있다.
모의원 원장은 “동물을 제한된 공간에 가둬두기 때문에 비인도적이라고 하는 것은 동물원의 기능 중 일부만 보는 것”이라며 “대공원 동물원은 한국 삵 복원 프로젝트, 지리산 반달곰 방사 등으로 생태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무엇이 진정으로 동물을 위하는 것인가를 정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다.
이런 논쟁은 최근 서울대공원이 제주도로 돌려보내기로 한 남방큰돌고래 제돌이로도 이어진다.
불법 포획된 것으로 확인된 제돌이를 고향 제주도로 돌려보내기로 한 결정은 얼핏 동물을 위한 선택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 결정으로 제돌이를 위험에 빠뜨릴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올해 13세인 것으로 추정되는 제돌이는 내년 4월 제주도 방사장으로 이동해 1년간 야생 적응 훈련을 해야 한다.
2014년 4월이 돼야 바다로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돌고래 평균 수명이 20년인 것을 감안하면 제돌이가 고향으로 돌아가 살 수 있는 시간은 5년 정도다.
또 이미 3년 동안 인간 틈에서 산 제돌이가 원래 속했던 무리에게 외면당할 가능성도 크다. 무리에 끼지 못하면 돌고래는 생존할 수 없다.
제돌이가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자주 인용된 영화 ‘프리 윌리’에 출연한 범고래도 논란 끝에 야생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10년 동안 놀이공원 생활을 한 범고래는 결국 적응하지 못하고 사육장으로 돌아와 2003년 생을 마감했다.
현대판 노아의 방주 될 수 있을까
동물원에 전시되는 동물의 이력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동물원 반대론자들이 지적하는 문제점이다.
서울동물원의 경우 근친교배를 막는 등 혈통 관리를 위해 동물 이력 관리를 하고 있다. 주요 동물에 칩을 삽입하거나 인식표를 달아놓는 것이다.
하지만 반입되는 동물이 어떤 경로를 통해 왔는지 정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포획과 구조의 경계도 애매하고 판매자의 말 외엔 달리 알아볼 수 있는 창구도 없다.
제돌이도 포획된 개체였지만 대공원 동물원이 이를 모르고 구입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이 때문에 동물원이 사육할 수 있는 동물에 대한 확실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세계에서 가장 큰 동물원인 런던 동물원이나 야생 종 보존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미국 뉴욕 브롱크스 동물원, 샌디에이고 동물원 등은 동물원에서 직접 키우는 종을 줄이는 추세다.
해외 유수의 동물원은 동물의 서식지에서 동물을 연구하는 프로그램을 병행하는 형식으로 동물원의 역할을 확장하고 있다.
대공원 동물원도 지난해 11월 ‘과학 동물원’(Science Zoo)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선포식을 갖기도 했다.
모의원 동물원장은 “동물원의 연구 기능, 종 보존 기능을 확대해 동물원이 현대판 ‘노아의 방주’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공원동물원이 바람대로 노아의 방주 역할을 하기엔 한계가 있다. 우선 예산 문제가 걸린다.
서울시 산하기관인 서울대공원의 부속시설인 동물원의 한 해 예산은 360억원 남짓이다.
이 돈으론 일상적인 관리와 시설 유지에도 빠듯한 형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돌고래 제돌이를 계기로 해양생태관 시설을 대폭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었지만 수조를 고치는 데만 300억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서울시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동물원의 역할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전영선 기자 .사진=최정동 기자
위로↑
| |
첫댓글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