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의 바로는 누구일까
출애굽에 대한 설교를 들을 때마다 대부분의 목사님들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2백만이 넘는다고 한다. 그러면 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백성에 대하여 성경의 기록을 찾아서 확인을 하여 보자. 특히 출애굽 당시의 이스라엘 백성에 대하여는 학자들 간에도 많은 논란이 있다.
민수기 1장 2절의 “너희는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회중 각 남자의 수를 그들의 종족과 조상의 가문에 따라 그 명수대로 계수할지니”와 민수기 26장 2절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의 총수를 그들의 조상의 가문에 따라 조사하되 이스라엘 중에 이십세 이상으로 능히 전쟁에 나갈 만한 모든 자를 계수하라 하시니”의 말씀처럼 모세에게 싸움에 나갈 만한 자들을 계수하라고 명하신다. 어떤 학자들은 60만명 이상의 수를 기록하고 있는 목록에 여인들과 아이들, 그리고 너무 늙어서 싸울 수 없는 노인들을 합하면 600만명 정도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시는 분들도 있다. 그러나 당시 애굽의 인구가 300만명이 못 된다고 추정하고 있어서, 이 수는 현실성이 희박하다. 특히 애굽에서의 큰 인구 감소를 보여주는 아무런 증거가 없다는 사실로 보아,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조지 멘델흘 교수는 주로 천 ‘1,000’이라고 번역된 히브리어 단어 “엘레프”(복수형은 알라핌)는 가끔 한 부족의 소단위를 가리킨다고 설명을 함으로써 이 문제에 대한 해석을 달리하고 있다. 사사기 6장 15절에서는 똑같은 단어가 가족 또는 집안으로 번역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결코 천 ‘1,000’으로만 번역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멘텔혼 교수는 민수기 1장 23절의 “시므온 지파의 계수함을 입은 자가 59,300명이었더라”는 말씀을 “시므온 지파의 수는 59(알라핌) 단위들로서 300명이었더라”라고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모세 당시의 군사들은 평균 5,000명에서 6,000명이었다. 멘텔혼의 주장에 따르면 모세의 백성들은 5,550명의 군사들과 그 아내들, 아이들, 노인들로 구성되며, 대부분 알고 있는 가정된 수백만보다는 적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주장도 문제는 있다. 이 주장대로라면 민수기 1장 46절을 해석할 수가 없다. 그런데 멘텔혼 교수는 민수기 1장 46절은 “본래 598알라핌(단위들)과 5,550알라핌(군사들)을 기록하였는데, 그 구절을 복사하는 후기의 서기관들이 같은 문장에서 엘레프가 두 개의 의미로 쓰였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채 그저 더하였다면 603,550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민수기 26장 51절에서도 유사하게 한 서기관이 596알라핌과 5,730알라핌을 함께 더하여 601,730의 총계에 도달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만일 알레프가 진실로 하나의 단위로만 번역된다 할지라도 모세와 함께 애굽을 떠났고 또 약속의 땅을 점령하기 위하여 여호수아의 지휘 아래 싸웠던 사람들의 숫자는 여전히 큰 숫자이다. 낮은 숫자라고 가정할 경우 애굽에 있는 동안 예상되는 요셉과 그 형제의 숫자와도 적절하게 맞다. 그리고 그 정도의 숫자라면 그들이 떠났어도 애굽의 인구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았을 것이다. 한 번쯤은 우리가 생각을 하여 보아야 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출애굽 당시의 바로를 아멘호테프 3세라고 추정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집트 연대기에 문제를 제기하는 입장에서 새롭게 출애굽의 바로를 찾아보자. 출애굽의 시점들 중 왕국으로 추정하여 제12대 왕조의 말기를 통치하던 왕들의 기록을 찾아 보면 그 기록들이 남아있다. 세소스트리스 3세, 아메넴헤트 3세, 그리고 소벡네페루(Sobekneferu) 여왕들이 있다. 소벡네페루 여왕의 죽음과 함께 제12대 왕조도 막을 내렸다. 그녀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을 성경에서 찾아 보자. 성경에서는 그녀의 양자로 추정되는 모세가 미디안으로 도망쳤기 때문에 12왕조는 소벡네페르 여왕이 마지막 파라오가 되었고, 13왕조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마 12대 왕조의 몰락과 더불어 한참 동안 불안정한 기간이 이어졌던 것으로 보이는 증거들이 실제로 보인다. 13왕조의 처음 파라오 14명이 숨가쁘게 대를 바꿨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초기에 속하는 왕들은 아마도 제12대 왕조의 몰락 이전부터 나일강의 삼각주 지역을 통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가 있다. 즉 12왕조 말부터 13대 왕조의 왕들은 삼각주의 북동 지역을 이미 통치하기 시작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가 있다는 말이다. 그러던 그들이기에 12대 왕조가 몰락하자마자, 곧바로 권력의 공백을 메우고 제13대 왕조를 열수 있었을 것이다. 온 이집트에 대한 통치 권좌에 등극하기 위하여 이 왕들 간에는 맹렬한 정권 쟁탈전이 전개되어, 한 나라의 군주로서는 짧은 통치기간으로 이어지는 결과들을 초래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정권 쟁탈전은 네페르호테프 1세의 즉위와 함께 가라앉아, 그의 재위 11년의 기간 동안 상당부분 안정을 회복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세가 이스라엘 민족의 해방을 요구하였던 상대자 바로를 18왕조의 아멘호테프 3세라고 생각하고 현지 가이드들도 그렇게 설명을 하고 있지만, 필자는 투디 모세로 추정한다.
그 이유를 찾아보자. 이집트의 역사학자 마네토의 기록에 의하면 13왕조의 마지막 파라오가 투디모세라고 한다. 그리고 투디모세의 사후 ‘어떤 민족인지 알 수 없는 침략자’들이 이집트에 쳐들어왔고, 그 외국인들이 한 번도 저항을 받지 않고 이집트를 압도할 수 있었다는 것은, 그 전에 이집트에 덮친 재앙 때문일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외국에서 쳐들어온 어떤 민족들은 아바리스에서 초대 통지자로 살리티누스를 세우고 이집트를 다스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들을 역사학자들은 힉소스 왕조라고 한다. 그렇다면 전투 없이 이집트를 점령한 것을 어떻게 설명하여야 할까? 그리고 이집트 군대는 어디에 있었을까? 성경의 기록, 즉 출 14:28에 의하면 아마 홍해의 밑바닥에 있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디모세를 출애굽 당시의 바로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의 미이라는 지금껏 발견되지 않고 있다.
우드 교수는 자기의 강의에서 창세기 47:11과 출애굽기 1:11, 12:37에서 언급되는 라암세스(라암셋, Rameses)의 이름을 ‘도로의 출입문’이라는 뜻을 가진 이집트의 단어 ‘RW3TY’22’에 연관시키고 있다. 그는 그것을 텔-엘-다바(Tell eld-Daba)에 있는 새로운 인구 중심지의 Stratum d/222에 연결시킨다. 이곳은 오스트리아의 고고학자 맨프레드 비테크 교수에 의해서 발굴되고 있는 현장이다. 비테크 교수에 의하면 이 지층에는 가나안인들의 요소들에 대한 확실한 증거가 있다고 한다. 우드 교수는 비테크 교수가 발굴한 지층을 이집트에 있었던 이스라엘인들과 연관시키고 있다. 출애굽기에 등장하는 바로를 라암세스 2세로 산정하는 사람들은 ‘라암세스(Rameses)’의 이름을 포함하고 있는 성경 구절들을 인용하면서, 성경의 바로가 이 라암세스와 동일인임을 지지하는 증거라고 한다.
그러나 만약에 라암세스가 출애굽기의 바로라고 하면, 그의 시체는 카이로 박물관이 아닌 홍해의 해저 바닥에 누워 있어야 한다. 우드의 주장은 라암세스의 이름을 성경의 구절에 연결시켜야 할 필요성이 없다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그 때 당시를 올바르게 들여다 볼 수 있다면, 이집트에는 이스라엘 노예에 대한 증거들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스라엘 노예들의 돌연한 실종, 10대 역병과 재앙으로 인한 이집트의 피폐, 이집트 군대의 궤멸 등 여러 가지 고대의 역사를 해석하는 데는 당시가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성경 기록에 의하면 출애굽은 솔로몬왕이 예루살렘 성전의 기초를 놓은 해보다 480년 전에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열왕기상 6:1). 이것은 출애굽이 BC 1446년경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는 근거가 된다. 아브라함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은 430년 앞선 때였기에 (출애굽기 12:40, 갈라디아서 3:16, 17), 그 때는 BC 1850년경이 될 것이며, 노아의 시대로부터 창세기 12-13장에 걸쳐서 주어진 연대들을 따져보면, 전 지구적인 대홍수는 427년 앞선 BC 2302년경에 일어난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집트 연대기에 관한 대부분의 권위자들에 의하면 피라미드들은 BC 2350년경에 건축되었으며, 이집트 최초의 왕조는 BC 3100년경에 통치한 것으로 계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일반적으로 해석되는 이집트의 연대기와 성경 기록 사이에 모순이 있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이집트 최초의 왕조는 물론 피라미드들의 건축도 대홍수 이전에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만약에 내가 믿고 있는 바와 같이 성경이 역사적으로 믿을 수 있는 기록이라면, 일반적으로 해석되고 있는 이집트의 연대기에 오류가 있음이 틀림 없을 것이기에 수 세기를 삭감하여 계산할 필요가 생기는 것이다.
이집트 역사에서 현재 통용되는 연대기를 인정하고 성경의 연대기를 거부하는 것은, 엿새 만에 완성하셨다는 창조의 기록을 포함하여 성경 초기 기록의 잔여 부분에 대한 회의에 문호를 열어주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나 이집트 연대기의 오류가 증명되면, 성경 기록을 인정하는 데 중요한 장애가 제거될 것이며, 그 때에 가서는 창세기 역사가 정당하다는 것을 증명하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출처: 데이비드 롤의 「시간의 풍상」).
*David M Rohl은 현장 고고학자로서 매년 성지순례 그룹을 중앙아시아 및 중동 지역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관광여행의 마감 때 즈음해서는 대부분의 관광객들이 그의 발굴 사역을 지지하는 편에 서게 됩니다. 그의 발굴 사역은 이스라엘 고고학 당국의 지원 하에 진행되고 있으며, 그는 ‘Diggins’라는 월간 고고학 뉴스레터와 전 호주를 커버하는 신문 발행인을 통하여 보급하고 있는 ‘Archaeological Diggings’라는 잡지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그는 또한 Moscow Radio를 포함하여 전 세계에 있는 10여개가 넘는 방송국들을 통하여 주당 15분짜리 고고학 토크쇼를 녹화합니다. 그리고 시드니(Sydney) 소재 Wesley Mission에서 고고학 클럽을 매달 주관하고 있습니다. 그는 시드니 라디오 방송국 2GB를 통하여 Gordon Moyer 박사에 의한 최근의 고고학적 발견 소식을 방송하고 있습니다. 그는 현재 이집트 연대기의 잘못된 점과 새로운 연대기를 고고학적으로 분석하여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내용이 「시간의 풍상」이라는 책으로 우리나라에서 출판되었습니다.
특히 고대 중동에 대하여 창세기의 기록을 고고학적으로 증명하는 논문도 함께 발표하였는데 그것은 「창세기의 문명」이라는 책으로 발간되었음을 알려 드림니다. 이와 더불어 출애굽과 이스라엘의 역사를 다시금 조명하기 위하여는 아부 심멜에 있는 람세스 2세의 부조 그림과 룩소의 카르낙신전에 있는 부조 그림 및 라메세움에 있는 고고학적 증거물을 확인하고 고센땅 텔엘다바[아바리스]를 순례함으로써 이 모든 것을 이해하게 될 것입니다. 이 일정의 성지 순례는 없지만 크리스챤 해피투어가 이 내용을 알고 있어서 가능한 이 일정의 성지순례 코스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많은 성원을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용규 목사(령천교회 중동 선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