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브랜드와 상관없이 비씨카드 마크가 찍힌 카드(신한BC, 하나BC, 국민BC, 농협BC, 제일BC 등)는 전부 비씨카드로 취급한다.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참고로 케이뱅크 체크카드는 비씨카드 위탁이다. 즉 전표매입, 카드 발급 업무 등은 비씨카드에서 담당하므로 사실상 비씨카드의 조건과 100% 동일하다. (즉 비씨에선 되는데 케이뱅크에선 안되고, 케이뱅크에선 되는데 비씨에선 안되는 일은 없다고 보면 된다.)
2.2. 새마을금고
소액신용결제의 일부로 후불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새마을금고 창구에서만 발급이 가능하다.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탑재되는 카드 규격은 payOn이다.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청송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KB국민카드의 신용카드 상품은 대부분 후불교통이 필수로 탑재된다.[3][4] 또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노선번호는 실제 버스 번호가 아닌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4자리 ID로 나온다.[5]
탑재되는 카드 규격은 payOn이다.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참고로 카카오뱅크 체크카드는 KB국민카드 위탁이다. 즉 전표매입, 카드 발급 업무 등은 KB국민카드에서 담당하므로 사실상 국민카드의 조건과 100% 동일하다. (즉 국민에선 되는데 카카오에선 안되고, 카카오에선 되는데 국민에선 안되는 일은 없다고 보면 된다.) 다만 카카오뱅크 앱에서는 KB국민카드와 달리 후불교통카드 이용 내역에 시내버스 번호 및 코드는 안 나오고, 사용자의 승하차역 및 승하차 정류장만 조회된다.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참고로 토스뱅크 체크카드는 하나카드 위탁이다. 즉 전표매입, 카드 발급 업무 등은 하나카드에서 담당하므로 사실상 하나카드의 조건과 100% 동일하다. (즉 하나에선 되는데 토스에선 안되고, 토스에선 되는데 하나에선 안되는 일은 없다고 보면 된다.)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탑재되는 카드 규격은 payOn이다.
Tmoney 교통카드(=티머니 후불교통카드, T형)와 후불 교통카드(=마이비 후불교통카드, M형)로 사용 지역이 나누어져 서로 호환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교통카드(=멀티후불교통카드, MT형)라는 이름으로 두 지역을 아우르는 방식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일부 구형 제휴카드를 제외하고[6] 모두 지역 모두 사용 가능 가능한 형태로 대부분 발급된다. 이 명칭은 카드 뒷면에 후불교통 결제가 가능함을 알리는 문구로도 들어가 있다.
교통카드(=멀티후불교통카드, MT형)
T과 M형을 합쳐놓은 것으로 아래 두 카드의 사용가능 지역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다.
티머니 후불교통카드 (T형)
마이비 후불교통카드 (M형)
이외에는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 않는 경상북도 군위군, 영양군, 전라남도 진도군과 교통카드제를 실시하지만 후불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한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장흥군 빼고 모두 사용 가능하다.
티머니 후불교통카드(T형)와 마이비 후불교통카드(M형), 멀티후불교통카드(MT형)가 있으며,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이전에는 일본 전용 PiTaPa형도 있었는데, 단종되었다.
멀티후불교통카드(MT형)
T형과 M형을 합쳐놓은 것으로 두 카드의 사용가능 지역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다.
티머니 후불교통카드 (T형)
마이비 후불교통카드 (M형)
PiTaPa형 (현재 단종)
영업점이 수도권에 주로 몰려 있다 보니 사용 범위가 매우 좁았지만, 점차 확대된 편. 하지만 여전히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울산광역시, 충청북도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 2020년 7월 기준이며 자세한 사용가능 지역은 여기를 참고하면 된다. 단, 씨티BC카드는 비씨카드 항목을 참고할 것.
2016년 9월 이후 발급된 교통카드부터 다음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부산광역시(동해선 제외, 부산김해경전철 사용가능)
강원도(춘천시를 제외한 전 지역)
경상북도 (구미시, 경주시, 김천시, 문경시, 상주시, 영주시, 예천군, 울진군, 의성군, 경산시, 고령군, 영천군, 성주시, 칠곡군, 청도군, 울릉군)
충청북도 (청주,충주,제천,영동,옥천,보은,음성,진천,괴산,단양)
전라남도 (목포,광양,여수,나주,화순,장성,담양,함평,신안,해남,보성,순천,무안,영암,고흥,완도)
카카오페이 체크카드 이후에 나온 체크카드 등은 BC 후불교통카드의 범위에 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