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하이 눈(High Noon)" ]
4대 고전 서부극(역마차,황야의 결투,셰인,하이눈) 중의 하나인 <하이 눈>을 소개합니다. 1950년대에는 수입 영화의 70% 이상을 할리우드 영화가 차지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비중이 컸던 장르는 서부극이었습니다.
<황야의 결투>, <수색자>, <베라크루즈> 등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서부극들이 한국전쟁 직후부터 속속 개봉되어 대중의 열렬한 사랑을 받았습니다.(사진, 보좌할 사람을 찾고 다니는 보안관 케인)
이 영화들은 서부의 광활한 평원을 배경으로 선량한 총잡이가 악당들을 쳐부수는 통쾌한 액션을 보여줌으로써 당시 우리 영화에서는 결코 볼 수 없었던 시원한 감동을 선사했던 것이죠. 그런데 동시대의 같은 서부극이면서도 그냥 액션물이 아닌 심리물로 받아들여진 영화가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하이 눈>이었습니다. <하이 눈>은 정오를 뜻하는 말인데, 영화에서는 결투의 시간을 의미하지요.
영화는 헤이드리빌이라는 작은 서부 마을의 일요일 오전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우선 불량해 보이는 세 명의 총잡이가 평원에서 만나 어딘가를 향해 달려갑니다. 그리고 그들은 헤이드리빌 마을의 기차역에서 누군가를 기다립니다.
한편 마을에서는 보안관 윌 케인(게리 쿠퍼)이 결혼식을 올리고 있습니다. 그는 5년간의 보안관 생활을 접고 에이미(그레이스 켈리)라는 아름다운 여인을 아내로 맞이하여 평범하게 살아가려고 합니다. 그런데 결혼식이 끝나자마자 윌이 5년 전에 체포했던 악당 프랭크 밀러(이안 맥도날드)가 감옥에서 풀려나서 12시 기차로
이 마을에 도착한다는 소식이 들립니다.(사진, 마을을 떠나자고 재촉하는 아내 에이미)
그가 오는 이유는 자신을 잡아넣은 보안관 윌에게 복수하기 위해서입니다. 마을 사람들은 윌 때문에 자신들까지 피해를 볼까 전전긍긍하며 윌에게 마을을 떠나라고 말합니다. 5년 전 윌은 마을의 안전을 위해 무법자를 체포했지만, 무정하게도 이제 그것은 윌 개인의 문제가 되고 맙니다.
게다가 신부인 에이미까지도 윌이 악당들과 무모하게 맞서는 것을 반대하며 12시 기차로 혼자 떠나겠다고 나섭니다. 그녀는 총을 사용하는 것 자체를 거부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퀘이커 교도였던 것입니다. 그러나 윌은 떠날 수가 없습니다. 당장 떠난다 하더라도 악당들의 추격에 그의 삶은 항상 불안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그의 손으로 5년 동안 지켜온 마을을 그냥 내버리고 간다는 것도 자존심이 용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영화는 10시40분경부터 정오까지 1시간 남짓한 시간 동안 윌이 마을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러 다니는 절박한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상영시간이 87분인데, 영화 속 시간이 상영시간과 동일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영화에서 결정적인 순간마다 삽입되는 시계는 결투의 시간이 바짝바짝 다가오고 있음을 관객에게 실시간으로 환기시킴으로써 긴장과 서스펜스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습니다.
결국 프랭크 밀러가 마을에 당도하여 악당은 네 명이 되고, 윌은 혼자 그들과 맞서게 됩니다.(사진, 외로운 보안관 케인)
윌이 정오의 작열하는 태양 아래서 결투를 위해 홀로 걸어 나오는 모습은 이 영화의 대표적인 장면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장면에서 게리 쿠퍼의 큰 키와 진중한 얼굴은 윌의 불안한 심리를 효과적으로 보여줍니다.
이 영화가 개봉 당시 모 신문에서 “인간 심리의 드라마”로 불렸던 것에는 게리 쿠퍼의 연기가 큰 몫을 합니다. 여느 서부극과 마찬가지로 이 영화도 주인공의 승리로 끝나기는 합니다. 그러나 그 누구의 축하도 받지 못하는 고독한 승리는 이제 서부 영웅의 시대가 끝나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런데 그 쓸쓸함이야말로 이 영화가 전후(戰後) 한국 관객에게 감동을 준 이유이기도 했습니다. <하이눈>이 <셰인>과 함께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서부극으로 꼽히는 것도 바로 일반적인 서부극 특유의 폼생 폼사 없는 고독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아래 사진, 악당들을 처리하고 난 다음의 케인과 에이미)
[ 명배우 제조감독 프레드 진네만 이야기 ]
1907년 오스트리아 비엔나 출생의 유태인인 진네만은 처음엔 바이올리니스트를 꿈꾸다 대학을 진학해선 법률을 전공했습니다. 하지만 비엔나 대학 시절 에릭 폰 스트로하임의 <탐욕>과 킹 비다의 <대행진>를 보고 영화의 매력에 빠져버린 그는 1927년 대학 졸업 후 결국 파리의 사진 영화 기술학교의 1기생으로 입학하게 됩니다. 영화수업을 위해 미국으로 떠나기 전 1년 반 동안 베를린에서 촬영조수 생활을 했습니다.
1928년 빌리 와일더, 오이겐 쉬프탄과 함께 로베르트 시오드마크의 <일요일의 사람들>의 작업에 같이 참여했는데, 이듬해 할리우드로 건너가 <서부전선 이상 없다>에 엑스트라로 출연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베르톨트 비어텔의 카메라 조수 겸 편집자로 일하다
<북극의 나누크>로 유명한 다큐멘타리 감독 로버트 플래허티에게 소개되어 베를린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플래허티는 그의 영화의 작품경향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록영화의 거장인 스승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프레드 진네만 감독의 작품들에는 사실주의가 짙게 배어나옵니다. 감독으로서 최초로 일을 맡은 것은 멕시코 베라크루즈의 어촌을 세미 다큐멘타리 터치로 그린 <파도>였는데, 멕시코의 현지인들을 모집해 영화를 완성할 만큼 다큐멘터리적 요소에 강한 비중을 두었습니다.
그후 진네만은 1937년부터 MGM 영화사의 극장용 단편영화를 찍는 프로젝트를 맡았는데, 1938년에는 아카데미 단편영화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장편 데뷔는 <벙어리 장갑 살인자>로 했는데 반골기질이 있어, 전속 감독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번 회사 수뇌부와 충돌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프레드 진네만 감독은 그 뒤 <지상에서 영원으로>, <수녀 이야기>, <사계절의 사나이>, <줄리아> 등 많은 걸작을 남긴 그의 연출 패턴은 극히 고전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프레드 진네만은 총 22편의 극영화와 19편의 단편영화를 남겼습니다.(사진, 영화 '사계절의 사나이'에서...)
이중 <지상에서 영원으로>,<사계절의 사나이>는 진네만 감독에게 아카데미상을 안겨준 작품이기도 합니다. 프레드 진네만 감독은 인물묘사에 세심한 관심을 두고, 이와 관련하여 배우들을 발굴하고 적절하게 배치하는 데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습니다.
그가 이른바 스타제조기 감독으로 유명한 것도 바로 이런 재능 덕분인데, 몽고메리 클리프트의 경우 진네만의 48년 작품인 <추적>을 통해 일약 스타덤에 올랐고, <남자들>의 주연을 맡은 말론 브란도 역시 진네만 감독의 수혜자에 속합니다. 이 밖에도 프랭크 시내트라, 존 에릭슨, 피어 안젤리, 존 에릭슨, 셜리 존슨 등을 발굴해 세계적 스타로 키워냈습니다.
수정주의 서부극의 물꼬를 텄던 진네만 감독은, 다양한 소재와 장르로 영화를 만들었고, 그의 진지한 영화정신은 미국개척사를 논할 때(사진, 영화 '지상에서 영원으로'에서 몽고메리 클리프트)
더욱 빛을 발합니다. 66년 아카데미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사계절의 사나이> 이후 진네만은 <자칼의 음모>, <줄리아>, <어느 여름의 닷새> 등 단 세편만을 만들었으나 모두 걸출한 장인의 경지를 보여주는 수작들이었고, 92년에 자서전을 출간한 다음, 98년 노환으로 숨졌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한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