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기름 ( 유압작동유 등)의 점도 유지를 위해 흔히 써머스탓이라고 불리우는
온도조절스위치를 사용합니다. 정확한 명칭은 저도 모르겟네요.
콤프레샤에도 기름이 과열되면 작동을 정지시키는 온도스위차가 달려잇죠.
겨울에 날씨가 추워지면 기름은 점도가 높아져서 한마디로 끈적끈적해집니다.
그래서 유압을 쓰려면 어느정도 기름을 덥혀야 하는데 이걸 위해 유압탱크에 히터가 달려있고
여름에는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팬이 달려있으며 이것들을 작동하기 위해 온도스위치가 달려있습니다.
아래 사진이 온도스위치 실물인데 A B 접점과 공통 접점인 C 접점 합쳐서 접점 3개가 있죠
사진에 1번이 B접점이고 2번이 A 접점입니다.
히터같이 일정 온도 이하면 작동하고 이상되면 꺼지게 설정하려면 C와 B 접점에 연결해야합니다.
이런식으로 결선후 사진에 다이얼에 25도로 맟추면 25도이하면 히터가 작동하고 이상이면 꺼집니다.
반대로 여름철에 기름이 과열되는걸 막는 팬( 선풍기)는 C와 A 접점에 결선해야합니다.
그래야 설정온도 이상이면 팬이 돌아가고 이하면 꺼지죠.
모양은 다르지만 모든 온도 스위치도 결선 하는 방식은 동일합니다.
이게 참 헷갈려서 저도 결선해놓고 퇴근후 불안해서 밤 11시에 공장에 와서 과열되지 않는지 확인한적도 있습니다.
반대로 결선하면 히터가 밤새도록 켜져서 불날수있으니까요.
공장에 유압펌프 히터가 안된다고 해서 확인해보니 전임자가 온도조절기에 선을 빼놧더라고요
뭐가 고장인지 알수가 없어 하나 하나 확인햇는데 처음에 온도조절기 결선을 해두고 보니
어떨땐 되고 어떨땐 안되서 원인을 못찾아서 헤멧는데
알고보니 유압펌프를 가동시켜야만 히터가 작동되게 설정햇더라고요.
결국 화재의 위험때문에 사람이 있을때만 히터를 사용하라는거죠.
온도 설정 게이지입니다. 히터는 25도로 맞추라고 되잇죠.
신형 온도조절기인데 위에 달린게 온도 센서입니다. 이걸 기름속에 담구어야 합니다.
1번이 B 2번이 A 접점입니다.
첫댓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 21년 7월 1일부터 네이버 카페 통합 운영 중으로,
다산에듀 강사진 답변 또한 네이버카페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니 네이버 카페 가입 및 이용바랍니다.
https://cafe.naver.com/dasanp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