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학회는 일본의 식민 사학에 대항하지 않은.. 그래서 독립을 쟁취해야 하는 역사 인식에 부재한 역사학이라는 비판을 받고있다... 이런 내용을 책에서 보았는데요,..,. 그럼 진단학회는 청구학회의 식민 사학에 대항하여 진단 학회를 조직하였다고 하면... 옳지 않은 내용인가요? 진단학회에 대해서 명확한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첫댓글1934년 7월 이병도등 재일 유학생출신들이 조직하였으며 실증사관을 표방하는 국학연구단체로 친일적 청구학회의 식민사학의 오류를 비판하였다.-실증사학자들이 일본인 학자들의 주도로 조직된 청구학회에 자극을 받아 연구활동장을 마련하고,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창립한 것이 진단학회였다.
진단학회는 실증사학으로 청구학회를 중심으로 한 일본 어용학자들의 왜곡된 한국사 연구에 반발하여 이윤재, 이병도등은 진단학회를 조직하여 한국사연구에 힘썼다. 청구학회에 대항하여 조직한 단체로 개별적 역사 사실에 대하여 문헌고증을 주된 학문적 방법으로 채택하여 한국사의 실증적 연구에 노력하였다. 민주국사나 탐구함국사 통합한국사 표현을보나 기출문제를 보나 청구학회에 대한 반발로 진단학회가 구성된것은 확실합니다.
첫댓글 1934년 7월 이병도등 재일 유학생출신들이 조직하였으며 실증사관을 표방하는 국학연구단체로 친일적 청구학회의 식민사학의 오류를 비판하였다.-실증사학자들이 일본인 학자들의 주도로 조직된 청구학회에 자극을 받아 연구활동장을 마련하고,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창립한 것이 진단학회였다.
그럼 대항하였다. 이런 표현도 맞는 표현이겠네요? 그럼 순수연구 단체로서 식민 사학에 대항하지 않았다... 이런 표현은 도대체 뭐지... 오기인가요? 정별계고님의 의견말고 다른 의견도 있으신 분은 명확한 선 좀 그어주세요.. 휴...
진단학회는 실증사학으로 청구학회를 중심으로 한 일본 어용학자들의 왜곡된 한국사 연구에 반발하여 이윤재, 이병도등은 진단학회를 조직하여 한국사연구에 힘썼다. 청구학회에 대항하여 조직한 단체로 개별적 역사 사실에 대하여 문헌고증을 주된 학문적 방법으로 채택하여 한국사의 실증적 연구에 노력하였다. 민주국사나 탐구함국사 통합한국사 표현을보나 기출문제를 보나 청구학회에 대한 반발로 진단학회가 구성된것은 확실합니다.
웃긴것은 이병도는 청구학회와 진단학회 두 곳에서 모두 활동 하였습니다. 결국 진단학회의 한계가 드러난거죠...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