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액 5조7747억…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논란
코로나로 날개 단 지역화폐… 지자체 94%가 발행
올해 5월 20일 오전 6시 40분. 서울 송파구에 사는 직장인 장모 씨(40)는 눈을 뜨자마자 동네에서 쓸 수 있는 지역사랑상품권을 사기 위해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앱)을 실행했다. 하지만 화면에는 ‘서비스 접속 대기 중입니다. 대기열은 4167명입니다’라는 안내 메시지가 떴다. 앱이 자동으로 꺼져 다시 켜기를 반복하다 보니 판매가 종료돼 버렸다.
장 씨는 이달에는 서둘러 월 100만 원 한도를 채워 상품권을 구매했다. 100만 원어치 상품권을 실제로는 93만 원만 주고 구입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장 씨는 “어차피 아이들 학원비로 나가는 돈이고 지출에 대해선 소득공제도 추가로 해주니 이득”이라고 했다.
○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지역화폐
지역사랑상품권 열풍이 뜨겁다.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상반기(1∼6월) 지역사랑상품권 판매액은 5조7747억 원으로 이미 지난해 전체 판매액(3조2000억 원)을 넘어섰다. 2년 전과 비교하면 15배가 넘는 증가 폭이다.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고 있거나 올해 안에 발행할 예정인 전국 광역·기초지자체는 모두 229곳이다. 1년 만에 52곳이 늘어나 전국 지자체 243곳의 94%가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하게 됐다.
지역사랑상품권은 해당 지역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으로 지역화폐의 공식 명칭이다. 앞 두 글자 ‘지역’에 지역화폐를 발행하는 지자체의 이름을 붙여 ‘강진사랑상품권’ ‘포항사랑상품권’ 등으로 발행되는 경우가 대다수다. 지역소득의 역외유출을 막고 지역경제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자체들이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지역화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큰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코로나19로 급격히 얼어붙은 소비에 온기를 더해 소상공인을 지원하겠다며 지역화폐 발행 규모를 총 9조 원까지 확대했다. 지자체들도 할인율을 5%에서 10∼20%까지 올렸다. 정치적 셈법도 한몫했다. 총선까지 겹치면서 지역 표심을 겨냥해 각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지역화폐라는 사실상의 현금을 나눠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