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견&문의 이용 안내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전체메뉴
보림사 (寶林寺)
글자 크기
의견 제시
URL 복사페이스북 공유트위터 공유
장흥 보림사 전경
장흥 보림사 전경
불교 유적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迦智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체징이 창건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접기/펼치기
목차
정의
개설
역사적 변천
내용
접기/펼치기
정의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迦智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체징이 창건한 사찰.
접기/펼치기
개설
신라 선문구산(禪門九山) 중에서 제일 먼저 개산(開山)한 가지산파(迦智山派)의 중심 사찰이었으며,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이다.
접기/펼치기
역사적 변천
이 절은 가지산파의 법맥을 이어받은 체징(體澄)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신라 헌안왕의 권유로 체징은 이 산에 들어와 터를 잡고, 860년에 대찰을 창건하여 가지산파의 중심사찰로 발전시켰다.
그 뒤 끊임없는 중창과 중수를 거쳐 6·25전쟁 때 소실되기 전까지는 20여 동의 전각을 갖춘 대찰이었다. 그러나 공비들이 소굴로 이용하였던 이 절에다 도주하기 전에 불을 놓아 대웅전 등 대부분의 건물들이 불타고, 단지 천왕문(天王門)과 사천왕(四天王) · 외호문(外護門)만 남았다.
불타버린 대웅전은 서쪽을 향하여 세운 정면 5칸, 측면 4칸, 중층팔작(重層八作)지붕의 큰 건물이었다. 외관과는 달리 내부는 2층까지 통해서 한 방으로 만들고, 중앙 단상에는 금동석가여래상과 양협시불을 안치하였는데, 구조양식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중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우수한 수법이다. 이후 주민들은 대적광전을 다시 지어 대웅전에 있었던 비로자나불을 모셨다.
접기/펼치기
내용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적광전과 천왕문 · 영각(影閣) · 요사채 등이 있다. 사천왕문 안에 봉안된 사천왕상은 1780년(정조 4)에 조성된 국내 목각상의 대표적인 것으로, 최근 중수하여 옛 모습을 그대로 복원하였으나, 복장 속의 비장품은 도굴꾼들에 의하여 망가진 상태로 방치되었다. 사천왕문은 1981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중요문화유산으로는 1962년 국보로 지정된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63년 국보로 지정된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보림사 동 승탑, 보림사 서 승탑, 보림사 보조선사탑,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등이 있다.
삼층석탑은 남쪽 석탑이 높이 5.4m, 북쪽 석탑이 5.9m이며, 석등은 높이 3m로서 이들은 모두 870년(경문왕 10)에 건립되었다. 비로자나불좌상은 858년(헌안왕 2)에 김언경(金彦卿)이 자신의 봉급을 모아 조성한 불상이다.
접기/펼치기
참고문헌
『한국의 명산대찰』(국제불교도협의회, 1982)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접기/펼치기
관련 항목
장흥 보림사 동승탑 건축 유적 국가지정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 부도.
장흥 보림사 목조 사천왕상 조각 유물 국가지정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천왕상.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건축 유적 국가지정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보조선사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부도.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서예 유적 국가지정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보조선사 지선의 탑비.
보림사 사천왕문 건축 유적 시도지정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조선시대 맞배지붕 형태의 문(門). 사찰문.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건축 유적 국가지정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조성된 2기의 석조 불탑. 석탑 · 석등.
장흥 보림사 서승탑 건축 유적 국가지정문화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에 조성된 2기의 팔각원당형 불탑. 부도.
더보기
접기/펼치기
관련 미디어
(10)
장흥 보림사 전경
장흥 보림사 전경
장흥 보림사 사천왕문 정면
장흥 보림사 사천왕문 정면
장흥 보림사 대웅보전
장흥 보림사 대웅보전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전경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전경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중 북삼층석탑 정측면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중 북삼층석탑 정측면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중 남삼층석탑 정면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중 남삼층석탑 정면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정면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정면
장흥 보림사 동 승탑 측면
장흥 보림사 동 승탑 측면
장흥 보림사 서 승탑 정면
장흥 보림사 서 승탑 정면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정면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정면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접기/펼치기
집필자
김위석
불교 유적
가산사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 채운산(彩雲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불교 유적
가섭사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가섭산(迦葉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나옹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가토사
북한 황해북도 수안군에 있었던 고려시대에 창건된 사찰.
불교 인물
각민
조선 후기에, 청허계 정관문파로 『해의』 등을 저술한 승려.
불교 인물
각성
조선시대 때, 판선교도총섭, 팔도도총섭, 규정도총섭 등을 역임한 승려.
불교 인물
각우
고려 후기에, 『자경문』을 저술한 승려.
불교 유적
각화사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각화산(覺華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간월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간월산(肝月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감로사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 신어산(神魚山)에 있었던 고려후기 승려 해안이 창건한 사찰.
불교 유적
감로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조계산(曹溪山)에 있는 고려후기 선승 충지가 창건한 암자. 송광사.
다음 슬라이드이전 슬라이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13455]
문의전화 : 031-709-8111
Copyrigh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