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년의 시간을 넘어… 中 둔황 석굴에서 만난 고구려·신라·고려인들
이 선민 선임기자
입력 : 2013.07.06 03:09
고구려·신라·백제·고려인 인물상 무더기로 확인
동양 고대 문화의 보고(寶庫)인 중국 둔황 석굴에서 삼국시대부터 고려까지 고대 한국인의 복식과 의관(衣冠), 생활상을 보여주는 인물상이 무더기로 확인됐다.

깃털 네 개 조우관 쓴 고구려인, 말을 탄 신라 사신, 사신 따르는 고려 짐꾼… 둔황 석굴에서 확인 된 고대 한국인 인물상. 왼쪽은 막고굴 제138굴의‘유마힐경변’에 들어 있는 고구려인으로 깃털을 네 개 꽂은 조우관(鳥羽冠)을 썼다. 가운데는 막고굴 제61굴의‘오대산도’의 부분 그림인‘신라송공사’에서 말을 탄 사신이다. 오른쪽은 역시‘오대산도’의 일부인‘고려왕사’에서 사신을 따르는 짐꾼이다. /동국대경주캠퍼스박물관 제공
둔황연구원 리신(李 新) 연구원은 5일 경주시 우양미술관에서 경상북도 주최, 동국대경주캠퍼스박물관 주관으로 열린 '제2회 경주 실크로드 국제 학술회의' 발표를 통해 "막고굴·유림굴·서(西)천불동 등 둔황 석굴군(群)의 석굴 중 40개에서 고구려·백제·신라·고려인이 그려진 그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리 연구원은 "주로 불경(佛經)을 소재로 한 둔황 석굴 벽화에는 인접 각국의 왕과 사신, 불교 신자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그들의 관모(冠帽)와 복식·외모 등으로 판단할 때 '열반경' 벽화 7개, '유마힐경' 벽화 29개, '범망경' 벽화 3개에서 고대 한국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둔황 석굴군에서도 가장 큰 벽화인 막고굴 제61굴의 '오대산도(五臺山圖)' 안에서 확인된 '신라왕탑(新羅王塔)' '신라송공사(新羅送供使)' '고려왕사(高麗王使)' '보리지암(菩提之庵)' 등 고대 한국과 관련 있는 그림 4점은 역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라고 말했다. 둔황 석굴에서는 그동안 고대 한반도의 특징적 모자인 조우관(鳥羽冠)을 쓴 인물상과 장구를 치는 모습 등 고대 한국인으로 추정되는 그림이 간헐적으로 발견됐지만 전체적인 실태가 밝혀지기는 처음이다. <펌 글/끝>
첫댓글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 감사합니다.
돈황석굴의 많은 곳에서, 조선인(고구려.신라.백제.고려)으로 추정되는 인물상들이 발견되었고, 지금 발견되고, 앞으로도 발견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이곳은 마한의 영토였고, 후대에는 고구려와 백제, 부여가 영향을 미쳤고, 그 후엔 신라가 차지했던 곳이며, 고려가 또 이곳을 차지했던 것이지요. 이러한 구도를 부인하는 반도사학에서는 "사신"이란 이름으로 얼렁뚱땅 넘기려 합니다. 또 그곳의 학자가 조선인이라고 한 것 까지도 부인하는 듯한 말을 하는데, 이런 자들이 어떻게 사학자라는 것인지 알 수 없는 형태를 보입니다. 줘도 못 먹는 00같은 자들이 아닙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