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품의 중요성
아브람 링컨은, 사람의 성품은 "역경을 이겨낼 때가 아니라, 권력이 주어졌을 때 가장 잘 드러난다."라고 했습니다.
모든 것을 마음대로 할수 있고 아무도 뭐라고 할수 없는 위치에 올랐을 때 자유 의지로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가장 성품이 적나라하게 나타납니다.
권력을 쥐게 되면, 성품이 좋은 사람은 그 권력을 약자를 보호하는데 쓰는 반면, 성품이 좋지 않은 사람은 남들을 학대하고 자기 지위를 누리는데 쓴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권력을 쥐어주면 성품이 고스란히 드러난다는 얘기입니다.
물가에 서 있던 전갈이 개구리에게 자신을 업고 강 건너편으로 데려다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러자 개구리가 물었습니다.
네가 나를 독침으로 찌르지 않는다는 걸 어떻게 믿지?"
전갈이 말했습니다.
너를 찌르면 나도 익사할 텐데 내가 왜 그렇게 하겠어?"
전갈의 말이 옳다고 판단한 개구리는
전갈을 등에 업고 강을 건너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강 중간쯤에서 전갈이 개구리의 등에 독침을 박았습니다.
둘 다 물속으로 가라앉는 와중에 개구리가 숨을 몰아쉬며 물었습니다.
왜 나를 찔렀지?
너도 죽을 텐데...
전갈도 숨을 몰아쉬며 말했습니다.
그것이 내 본능 이니까."
타고난 성품, 인성을 천성이라 부르고,
타고난 직종이나 직업 등을 천직이라 부릅니다.
사람은 무엇보다 타고 난 성품이 좋아야 합니다.
청나라 황제 강희제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인재를 논할 때 반드시 덕을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
사람을 볼 때 반드시 심보를 본 다음 학식을 봅니다
심보가 선량하지 않으면 학식과 재능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학식,경력,학벌,지위, 환경 등 그 어느 것도 타고난 성품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나라나, 어느 단체나 조직의 지도자는
일단 성품이 진실하고 좋아야 합니다.
"걸레는 아무리 빨아도 걸레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성품(심성)이 곧은 분들과 행복한 하루가 되시길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