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와 단계별 추진계획 논의
- 선도지구 선정절차도 함께 진행
◇ 부산시 노후계획도시정비 대상 지역 |
대상지 | 면적 | 준공 년도 |
해운대1·2 | 300만㎡, | 1997년 |
화명2 | 145만㎡ | 2002년 |
다대 | 130만㎡ | 1985~1996년 |
만덕·화명·금곡 | 240만㎡ | 1985~1996년 |
개금·학장·주례 | 120만㎥ | 1987~1999년 |
※자료 : 부산시 |
‘노후계획도시특별법’ 시행에 따라 해운대구 좌동 그린시티와 북구 화명신도시 등 노후한 지역 계획도시의 정비사업을 본격화(국제신문 지난 5월 22일 자 3면 등 보도)하면서 부산시가 기본계획 수립에 박차를 가한다. 시는 2026년 3월까지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본격 사업에 나설 방침이다.
시는 지난 19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2035 부산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 착수보고회’를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보고회는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 추진 방향을 놓고 전문가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시와 국토교통부, 해당 구청, 부산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해 의견을 교환하고 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계획의 추진 방향과 세부 계획을 논의했다.
시는 부산의 노후계획도시를 체계적이고 광역적으로 정비하고자 ‘2035 부산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을 수립 중이다. 기본계획을 통해 ▷노후계획도시의 공간적 범위 ▷기반시설 정비 ▷정비사업 단계별 추진계획 등을 정한다. 기본계획은 지역주민 공람, 시의회 의견 수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국토부 승인 등 행정절차를 거쳐 2026년 3월 확정될 예정이다. 기본계획이 확정되면 특별정비구역 지정과 특별정비계획 수립 이후 개별 법령에 따른 절차를 거쳐 해당 지역의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앞서 택지개발사업 등에 따라 조성 후 20년 이상 경과하고, 면적 100만㎡ 이상인 지역 가운데 개별적인 정비사업만으로는 자급자족 기능 등 기본적인 문제 해결이 힘든 지역을 대상으로 정비를 추진하기로 했다. 대상 지역은 ▷해운대1·2(300만㎡, 1997년 준공) ▷화명2(145만㎡, 2002년 준공) ▷다대 일대(130만㎡,1985~1996년 준공) ▷만덕·화명·금곡 일대(240만㎡, 1985~1996년 준공) ▷개금·학장·주례 일대(120만㎥, 1987~1999년 준공) 등 5곳이다. 총 면적은 940만㎡가량에 달한다. 시는 지난 5월부터 해운대구, 북구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시작했다.
시는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 수립과 함께 선도지구 선정 절차를 추진한다. 선도지구는 ▷주민참여도 ▷노후도 ▷주민 불편 ▷주변 지역으로의 확산 가능성 ▷대규모 이주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한다. 이 가운데 주민 동의 등이 포함된 ‘주민참여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선도지구에 선정되면 우선적으로 특별정비계획 수립 뒤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후 매년 일정 물량을 선정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다만, 선도지구에 선정되지 않더라도 신속한 재개발·재건축이 가능하며 이후 진행 과정에 따라 사업 추진 속도는 달라질 수 있다. 하성태 시 주택건축국장은 “기본계획으로 노후계획도시의 단계적·순차적 정비계획을 수립해 노후화된 도시 기능 회복과 함께 주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주거환경을 조성할 것”이라며 “주민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