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산지몽(巫山之夢)
무산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밀회나 정교를 이르는 말, 특히 미인과의 침석(枕席)을 말하기도 한다.
巫 : 무당 무(工/4)
山 : 뫼 산(山/0)
之 : 갈 지(丿/3)
夢 : 꿈 몽(夕/11)
(유의어)
巫山夢무산몽()
무산우(巫山雨)
무산운(巫山雲)
무산지우(巫山之雨)
무산지운(巫山之雲)
운우락(雲雨樂)
운우지락(雲雨之樂)
운우지정(雲雨之情)
조운모우(朝雲暮雨)
출전 :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
문선에 수록된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서 비롯된 말이다. 송옥(宋玉)은 전국 말기 초(楚)나라 대부로 굴원(屈原)의 제자다. 그는 초사(楚辭)에 있는 구변(九辯)과 초혼(招魂)의 작자로, 이 고당부(高唐賦)의 서문은 초회왕(楚懷王)이 운몽(雲夢)에 있는 고당으로 갔을 때 꿈에 무산 신녀와 만나 즐겼다는 옛이야기를 말한 것이다.
전국시대 초(楚)나라의 양왕(襄王)이 송옥(宋玉)과 함께 운몽(雲夢)이라는 곳에서 놀다가 고당관(高堂館)에 이르게 되었다. 문득 하늘을 보니 이상한 형상의 구름이 피어오르고 있어 송옥에게 무엇인지를 물었다. 그러자 송옥은 그 구름이 조운(朝雲)이며, 다음과 같은 사연이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옛날 어떤 왕이 고당관(高堂館)에서 연회를 열고 즐기다가 잠시 낮잠을 자게 되었는데, 꿈속에 아름다운 여인이 찾아와 말하기를 “저는 무산(巫山)에 사는 여인이온데, 왕께서 고당(高堂)에 오셨다는 말을 듣고 잠자리를 받들고자 왔습니다”고 하였다.
왕은 그녀의 아름다움에 빠져 스스럼없이 운우의 정(雲雨之情)을 나누었다. 헤어질 무렵이 되자 그 여인은 이런 말을 하였다. “저는 무산 남쪽의 험준한 곳에 살고 있는 여인이온데,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서 아침 저녁으로 당신을 그리워하고 있을 것입니다.” 말이 끝나자 여인은 자취를 감추었고, 왕은 퍼뜩 잠에서 깨어났다.
다음날 아침 왕이 무산 쪽을 바라보니 여인의 말대로 산봉우리에 아름다운 구름이 걸려 있었다. 왕은 여인을 그리워하며 그곳에 조운묘(朝雲廟)라는 사당(祠堂)을 세웠다. 그후로 무산의 꿈이 남녀간의 정교를 의미하게 되었다.
여기서 양대(陽臺)란 해가 잘 비치는 대(臺)라는 뜻인 동시에 은밀히 나누는 사랑을 말한다. 그래서 양대불귀지운(陽臺不歸之雲)이라 하면 한 번 인연을 맺고 다시 만나지 못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무산지운(巫山之雲), 무산지우(巫山之雨), 운우지락(雲雨之樂), 운우지정(雲雨之情)과 같은 말이며, 운우지교(雲雨之交)도 이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
무산지몽(巫山之夢)
무산지몽(巫山之夢)은 '무산의 꿈'이라는 뜻으로, 꿈속에서 이루어진 짧은 만남을 상징하며, 현실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사자성어입니다. '무산(巫山)'은 중국의 전설 속 산의 이름으로, '몽(夢)'은 꿈을 의미합니다. 이 사자성어는 주로 꿈에서 짧은 만남을 가졌으나, 현실에서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나 관계를 나타냅니다.
유래와 역사적 배경
이 사자성어는 중국 고전 초사(楚辭)의 한 구절에서 유래했습니다. 초나라의 양왕이 무산에서 꿈속에 나타난 신녀(神女)를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냈으나, 깨어나고 나니 그 만남은 꿈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었음을 깨닫게 된다는 이야기가 이 사자성어의 바탕이 되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주로 남녀 간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상징하며, 꿈속에서만 가능한 이상적인 사랑이나 즐거움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교훈과 적용
현대 사회에서도 무산지몽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사랑이나 관계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지만, 결국에는 환상에 불과함을 깨닫게 되는 상황에서 이 표현이 적절합니다. 또한, 일시적으로 누렸던 즐거움이 깨어지고 나서 다시는 그 행복을 누릴 수 없음을 표현하는 데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 사자성어는 이상적인 환상과 현실의 괴리감을 상징하며, 현대인들이 겪는 상실감과 비현실적인 기대를 경고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적 사례
예를 들어, 사랑하는 사람이 있지만 그 사람과는 현실적으로 함께할 수 없는 상황에서 느끼는 감정을 무산지몽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시적으로 누렸던 성공이나 즐거움이 더 이상 지속될 수 없을 때 느끼는 상실감과 비현실적인 기대감을 묘사하는 데도 이 사자성어가 적합합니다. 이는 현대인들이 목표나 사랑에서 겪는 비현실적인 기대와 그로 인한 실망을 잘 나타냅니다.
마무리
무산지몽은 꿈속에서만 이루어지는 이상적인 사랑이나 환상을 상징하는 사자성어로, 현대에서도 현실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운 사랑이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이는 사람들의 비현실적인 기대와 환상 속에서 누렸던 행복이 결국 현실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고당부(高唐賦) / 송옥(宋玉)
중국 초(楚)나라 때의 시인 송옥(宋玉)이 지은 부(賦).
초나라 양왕(襄王)이 송옥과 함께 운몽택(雲夢澤)에서 놀 때 양왕의 '운우(雲雨)' 이야기를 발단으로 지은 작품이다. '旦爲朝雲 暮爲行雨' 얘기는 '고당부'의 서문에 나오는 말이다.
옛날 양왕의 부친인 회왕(懷王)이 고당에서 놀 때, 낮잠을 자는 꿈 속에 나타난 무산(巫山)의 신녀(神女)와 동침한 일과 고당의 모습 등을 서술하였다. '운우'라는 말이 남녀의 정교(情交)를 뜻하는 말로 쓰이게 된 것은 이 부에 "꿈에 한 부인을 보다. 그녀가 말하기를, 첩은 무산의 여자로서 이 고당의 객이온데 듣자하니 군자께서 고당에 머무신다 하오니 원컨대 침석(枕席)을 권하게 하여 주소서. 왕이 이를 허락하였다. 자리에서 떠날 때 이르기를 첩은 무산의 양(陽), 고구(高丘)의 저(岨)에 있어 아침에는 행운(行雲)이 되고 저녁에는 행우(行雨)가 되어 조조모모(朝朝暮暮) 양대(陽臺) 밑에 있습니다"라고 적혀 있는 데서 유래되었다.
무산은 지금의 쓰촨성[四川省] 쿠이저우부[夔州府] 우산현[巫山縣]의 동쪽에 있다.
高唐賦 竝序 / 文選卷十
-宋玉
昔者楚襄王與宋玉遊於雲夢之臺, 望高唐之觀, 其上獨有雲氣, 崒兮直上, 忽兮改容, 須臾之閒, 變化無窮.
옛날 초나라 양왕이 송옥과 운몽대에 노닐고 있었는데, 고당의 관을 바라보니 그 위에 구름이 홀로 있어 바로 치솟기도 하고 홀연히 모습을 고치며 순식간에도 끝없이 모습이 바뀌고 있었다.
王問玉曰: 此何氣也.
왕이 송옥에게 묻기를, "저것이 무슨 기운인고?" 하였다.
玉對曰: 所謂朝雲者也.
송옥이 아뢰기를, "아침구름(朝雲)이라 하는 것이옵니다"고 하였다.
王曰: 何謂朝雲.
왕이 묻기를, "무엇을 아침구름(朝雲)이라 하는고?" 하였다.
玉曰: 昔者先王嘗遊高唐, 怠而晝寢, 夢見一婦人, 曰妾巫山之女也, 爲高唐之客, 聞君遊高唐, 願薦枕席, 王因幸之. 去而辭曰; 妾在巫山之陽, 高丘之阻, 旦爲朝雲, 暮爲行雨, 朝朝暮暮, 陽臺之下.
송옥이 아뢰기를 '옛날, 선왕(懷王)께서 고당(高唐)에서 노니실 때, 피곤하여 낮잠을 주무시는데 꿈에 어떤 부인이 나타나서 말하기를, '이 몸은 무산의 여자로서 이 고당에 들렀다가 듣건데 임금께서 고당에 노닌다고 하여 (찾아 뵙나이다.) 원컨데 잠자리를 돌보게 하여 주소서' 하니 왕이 정분을 소통하였습니다. (신녀가) 자리에서 떠나면서 이르기를, '이 몸은 무산의 남쪽, 고구의 북쪽에 있어, 아침에는 아침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내리는 비 되어, 아침마다 저녁마다 양대(陽臺)에 있나이다'고 하였습니다.
旦朝視之如言, 故爲立廟, 號曰朝雲.
아침에 보니 (과연 그녀의) 말과 같은지라, 그리하여 사당을 세우고 부르기를 조운묘(朝雲廟)라 하였다" 고 하옵니다.
▶️ 巫(무당 무)는 상형문자로 무당이 춤출 때 소매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그래서 巫(무당 무)는 ①(여자) 무당(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 ②무녀(巫女) ③의사(醫師) ④고을의 이름 ⑤산(山)의 이름 ⑥망령되다(妄靈--), 터무니없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의어로는 覡(박수 격)이 있다. 용례로는 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무자(巫子), 무당의 남편을 무부(巫夫), 무당의 노래를 무가(巫歌), 무당과 점쟁이를 무복(巫卜), 무술로써 남을 저주함을 무고(巫蠱), 여자 무당을 무녀(巫女), 무당이 굿할 때 입는 옷을 무복(巫服), 귀신을 섬겨 길흉을 점치고 굿을 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사무(師巫), 억세고 어리석은 무당을 완무(頑巫), 무산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를 이르는 말을 무산몽(巫山夢), 무산우(巫山雨), 무산운(巫山雲), 무산지운(巫山之雲), 무산지우(巫山之雨), 무산지몽(巫山之夢), 선무당이 사람을 잡는다는 뜻으로 미숙한 사람이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을 생무살인(生巫殺人) 등에 쓰인다.
▶️ 山(메 산)은 ❶상형문자로 산의 봉우리가 뾰족뾰족하게 이어지는 모양을 본떴다. 옛 자형(字形)은 火(화; 불)와 닮아 옛 사람은 산과 불이 관계가 깊다고 생각한 듯하다. ❷상형문자로 山자는 ‘뫼’나 ‘산’, ‘무덤’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山자는 육지에 우뚝 솟은 3개의 봉우리를 그린 것으로 ‘산’을 형상화한 상형문자이다. 갑골문에 나온 山자를 보면 가파른 능선이 그려져 있어서 한눈에도 이것이 산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山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산의 이름’이나 ‘산의 기세’나 ‘높다’와 같이 ‘산’에서 연상되는 여러 의미로 활용된다. 그래서 山(산)은 (1)둘레의 평평(平平)한 땅보다 우뚝하게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部分). 메 (2)산소(山所) (3)사물이 많이 쌓여 겹치거나, 아주 크거나, 매우 많은 것에 비유한 말, 또는 그것 (4)산이나 들에 절로 나는 것을 뜻하는 말 (5)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메(산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뫼 ②산신(山神: 산신령), 산의 신(神) ③무덤, 분묘(墳墓) ④절, 사찰(寺刹) ⑤임금의 상(象) ⑥산처럼 움직이지 아니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큰 산 악(岳),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내 천(川), 강 강(江), 물 하(河), 바다 해(海), 물 수(水)이다. 용례로는 여러 산악이 잇달아 길게 뻗치어 줄기를 이룬 지대를 산맥(山脈), 들이 적고 산이 많은 지대를 산지(山地), 산과 물으로 자연의 산천을 일컫는 말을 산수(山水), 물건이나 일이 산더미처럼 많이 쌓임을 산적(山積), 산과 숲 또는 산에 있는 수풀을 산림(山林), 크고 작은 모든 산을 산악(山岳), 산 꼭대기를 산정(山頂), 산 위에 쌓은 성을 산성(山城), 무덤을 높이어 이르는 말을 산소(山所), 산 속에 있는 절을 산사(山寺), 산과 산 사이로 골짜기가 많은 산으로 된 땅을 산간(山間), 산의 생긴 형세나 모양을 산세(山勢), 산 속에 있는 마을을 산촌(山村), 산에 오름을 등산(登山), 강과 산으로 자연이나 나라의 영토를 강산(江山), 높고 큰 산으로 크고 많음을 가리키는 말을 태산(泰山), 높은 산을 고산(高山), 산에서 내려옴을 하산(下山), 신령스러운 산을 영산(靈山), 연달아 잇닿은 많은 산을 군산(群山), 조상의 무덤이나 조상의 무덤이 있는 곳을 선산(先山), 산에 들어감을 입산(入山), 나무가 무성하여 푸른 산을 청산(靑山), 돌이나 바위가 없이 흙으로만 이루어진 산을 토산(土山), 유용한 광물을 캐어 내는 산을 광산(鑛山), 눈이 쌓인 산을 설산(雪山), 들 가까이에 있는 나지막한 산을 야산(野山), 산을 좋아함을 요산(樂山), 산에서 흐르는 물이 바위를 뚫는다 뜻으로 작은 노력이라도 끈기 있게 계속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음을 산류천석(山溜穿石), 산에서의 싸움과 물에서의 싸움이라는 뜻으로 세상의 온갖 고난을 다 겪어 세상일에 경험이 많음을 산전수전(山戰水戰), 산빛이 곱고 강물이 맑다는 뜻으로 산수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을 산자수명(山紫水明), 산과 바다의 산물을 다 갖추어 아주 잘 차린 진귀한 음식을 산해진미(山海珍味), 경치가 옛 모습 그대로 변하지 않음을 산천의구(山川依舊) 등에 쓰인다.
▶️ 之(갈 지/어조사 지)는 ❶상형문자로 㞢(지)는 고자(古字)이다. 대지에서 풀이 자라는 모양으로 전(轉)하여 간다는 뜻이 되었다. 음(音)을 빌어 대명사(代名詞)나 어조사(語助辭)로 차용(借用)한다. ❷상형문자로 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이다. 之자의 갑골문을 보면 발을 뜻하는 止(발 지)자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발아래에는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발이 움직이는 지점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之자의 본래 의미는 ‘가다’나 ‘도착하다’였다. 다만 지금은 止자나 去(갈 거)자가 ‘가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之자는 주로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래서 之(지)는 ①가다 ②영향을 끼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⑤어조사 ⑥가, 이(是) ⑦~의 ⑧에, ~에 있어서 ⑨와, ~과 ⑩이에, 이곳에⑪을 ⑫그리고 ⑬만일, 만약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이 아이라는 지자(之子), 之자 모양으로 꼬불꼬불한 치받잇 길을 지자로(之字路), 다음이나 버금을 지차(之次), 풍수 지리에서 내룡이 입수하려는 데서 꾸불거리는 현상을 지현(之玄), 딸이 시집가는 일을 지자우귀(之子于歸),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 즉, 어떤 일에 주견이 없이 갈팡질팡 함을 이르는 지남지북(之南之北) 등에 쓰인다.
▶️ 夢(꿈 몽)은 형성문자로 夣(몽)과 梦(몽)은 통자(通字), 梦(몽)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저녁 석(夕; 저녁)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몽(어둡다의 뜻)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본뜻은 저녁이 되어 시계(視界)가 침침하여 뚜렷이 보이지 않는 일이나, 밤이 어둡다의 뜻이다. 꿈의 뜻으로도 쓰인다. 그래서 夢(몽)은 ①꿈 ②공상(空想) ③꿈꾸다 ④혼미(昏迷)하다 ⑤흐리멍덩하다 ⑥똑똑하지 않다 ⑦마음이 어지러워지다 ⑧뒤숭숭하다 ⑨사리에 어둡다 ⑩흐릿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어두울 매(昧)이다. 용례로는 잠을 자며 꿈을 꿈을 몽매(夢寐), 자다가 가위에 눌림을 몽염(夢魘), 꿈에 나타나는 길흉의 징조를 몽조(夢兆), 꿈속의 생각이나 꿈 같은 헛된 생각을 몽상(夢想), 꿈에 여자를 가까이 하여 정액을 쌈을 몽정(夢精), 꿈 또는 꿈속을 몽경(夢境), 꿈속에까지 생각한다는 몽사(夢思), 헛되이 살다가 죽음을 몽사(夢死), 꿈처럼 허망한 세상을 몽세(夢世), 꿈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허황한 생각을 뜻하는 몽환(夢幻), 무섭거나 기괴하거나 불길한 꿈을 악몽(惡夢), 좋은 조짐의 꿈을 길몽(吉夢), 기분이 상쾌한 꿈을 쾌몽(快夢), 무엇에 홀린 듯 생각이나 정신이 똑똑하지 못하고 얼떨떨한 상태를 미몽(迷夢), 아기를 밸 징조의 꿈을 태몽(胎夢), 허황한 꿈을 환몽(幻夢), 꿈에 나타난 일의 좋고 나쁨을 풀어 판단함을 해몽(解夢), 죽은 사람이나 신령이 꿈에 나타남을 현몽(現夢), 잠을 깨고도 어렴풋이 꾸는 꿈의 세계를 잔몽(殘夢), 잠을 자면서 꿈을 꾸는 동안이라는 몽매지간(夢寐之間), 꿈 속에 꿈이야기를 하듯이 종잡을 수 없는 말을 함을 몽중몽설(夢中夢說), 꿈속에서 꿈 이야기를 한다는 몽중설몽(夢中說夢), 꿈속의 꿈이란 뜻으로 덧없는 세상살이라는 몽중몽(夢中夢), 꿈에도 생각하지 못함을 몽상부도(夢想不到), 천만 뜻밖의 일을 몽외지사(夢外之事), 몹시 그리워서 꿈에서까지 서로 찾는다는 몽중상심(夢中相尋), 꿈과 허깨비나 거품과 그림자와 같다는 몽환포영(夢幻泡影)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