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 이것이 진짜 틈새시장! 살균소독기시장을 잡아라 | ||||||||||||||||||||||||||||||||||||||||||||||||||||||||||||||||||||||||||||||
---|---|---|---|---|---|---|---|---|---|---|---|---|---|---|---|---|---|---|---|---|---|---|---|---|---|---|---|---|---|---|---|---|---|---|---|---|---|---|---|---|---|---|---|---|---|---|---|---|---|---|---|---|---|---|---|---|---|---|---|---|---|---|---|---|---|---|---|---|---|---|---|---|---|---|---|---|---|---|---|
작성일 | 2013-03-22 | 국가 | 중국 | 작성자 | 홍세리(샤먼무역관) | ||||||||||||||||||||||||||||||||||||||||||||||||||||||||||||||||||||||||||
중국, 이것이 진짜 틈새시장! 살균소독기시장을 잡아라 - 스모그, 황사 등의 환경문제로 관련 기기 관심 급증 - - 살균소독기시장은 본토 브랜드 독점, 보급형 개발로 틈새시장 공략해야 - □ 개요 ○ 스모그, 황사 등 환경오염으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공기청정기, 살균소독기 등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살균소독기의 관심이 높아짐. ○ 음식점, 호텔, 학교 등 대형장소 위주였던 살균소독기의 사용범위가 가정으로 확대됨. □ 중국 살균소독기시장 현황 중국 살균소독기시장 3대 주요 브랜드
○ 중국 살균소독기시장은 캉바오, 완허, 화디 3개 중국산 브랜드가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그 중에서도 소비자 선호도 37.6%를 차지한 캉바오의 강세가 뚜렷함. ○ 브랜드별 현황 - 2012년 중국 살균소독기시장의 브랜드 현황을 보면 3대 주요 브랜드의 강세가 지속됐고, 기타 브랜드로 이뤄진 제3 진영은 순위 변화가 빈번하며 치열한 경쟁을 보였지만 시장에서의 영향력은 거의 없었음. - 주요 브랜드 중에서도 특히 캉바오가 소비자 선호도의 37.6%를 차지하며 선두를 유지하며 완허와 화디로 이뤄진 제2 진영도 평균 10.0% 이상의 선호도를 차지해 캉바오와 큰 격차를 보이지 않음. 제3 진영에서는 팡타이만이 유일하게 분기별 상승 추세를 보이며 두각 나타냄. - 수량 대비로는 캉바오의 수량이 단연 많았고 매입형에서부터 벽걸이형까지 균형적인 판매 구조 이룸. ○ 제품별 현황 - 2012년 중국 살균소독기시장 제품 선호도 순위 10위까지 중 캉바오의 제품이 4개 자리를 차지함. 캉바오가 인기를 얻는 근본 원인은 중국 최초로 가정용 살균소독기를 발명∙출시하면서 본토 브랜드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기 때문임. 또한 중국 살균소독기시장의 초기단계부터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해왔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안정성과 보장성을 주는 익숙한 브랜드를 선호할 수 밖에 없음. 2013년 3월 중국 살균소독기시장 판매 현황 (단위: 위안)
자료원: 中关村在线 ○ 가격대별 현황 - 2012년 시장 현황을 보면 1001~2000위안의 가격대가 37.3%의 비율을 차지하며, 주된 가격대를 이룸. 501~1000위안 가격대가 23.6%를 차지함. 2001~3000위안, 500위안 이하 가격대가 각각 15.5%, 14.1%를 기록하며 10% 이상의 비율 차지. 3000위안 이상은 9.5%로 비교적 적음. - 1001~2000위안 가격대의 선호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질적으로도 떨어지지 않고 소비자 경제 수준에 부담이 가지 않는 중간가격이기 때문 2012년 중국 살균소독기시장 가격대별 선호도 □ 시사점 ○ 다른 전자제품이나 친환경 제품에 비해 수요도 및 보급률이 낮은 편으로 보급형 제품의 개발 등으로 한국 기업도 충분히 시장 진입이 가능함. - 환경오염 문제가 지속∙심화됨에 따라 살균소독기시장 전망은 매우 밝을 것으로 예상되나 모조품이 다수 존재하고 품질 문제가 빈번히 발생해 생긴 부정적 인식의 개선이 우선임. - 현재 팡타이, 화디, 완허 등의 기업이 기술 혁신 및 제품 연구개발로 발전하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과학연구 성과가 기술로 전환돼야 하며 신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시장점유율이 일정하게 유지돼야 한다고 설명함. 또한 연구개발만으로는 향후 살균소독기시장의 경쟁력 있는 주도 세력이 될 수 없다고 밝힘. 자료원: 百度, 互联网消费调研中心, 中关村在线, 中国青年报, 智慧家电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