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번뇌
몸과 마음의 108가지 번뇌
사찰에 가 보면 ‘108 계단’을 비롯해, 108과 관련된 숫자가 많다. 염주의 숫자도 108개가
있고, 절을 할 때도 108을 기본숫자로 한다. 일천배를 한다는 것은 108배를 열번 한다는 것
임으로 정확하게 세면, 1000배가 아닌 1080배가 되는 셈이고, 삼천배는 3000번이 아니라 32
40번 절을 하는 것이 된다.
특히 108이란 숫자와 관련해서는"108번뇌(百八煩惱)"를 자주 듣게된다. 그렇다면 과연 108
번뇌란 무엇인가. 번뇌의 가지 수가 108가지란 의미인 듯 싶은데, 그렇다면 108가지 번뇌에
는 어떤 것들이 있나.
원래 불교에서 108이란 숫자는 매우 많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108 번뇌란 사람이
끊어야 할 번뇌가 그만큼 많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불교 교학이 발달하면서 이 108 이란
숫자의 의미도 더욱 정확하게 산출하게 됐다. 대체로 두 가지 설이 유력하다.
두 가지 설은 모두 "36"을 기본 숫자로 본다. 모든 번뇌를 36가지로 나누고 이것이 과거(전
생), 현재(금생), 미래(내생)에 모두 있다고 해서 3을 곱해 108가지로 설명하는 것이다.
기본숫자가 되는 "36"에 대해서는 첫째, 사람의 감각 (六根)과 감각의 대상(六塵)이 결합해
여섯 가지 작용, 즉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분별작용 등을 하고, 이것이 각각 좋고
(好), 나쁘고(惡), 좋지도 않고 싫지도 않은 (平) 세 가지로 느껴 18 가지의 번뇌가 있으며
또 이 18가지 번뇌는 각각 더러움(染)과 깨끗함(淨)이 있어 36가지(18×2)의 번뇌가 있다고
보는 견해다.
또. 다른 설명은 여섯 가지의 작용들이 각각 좋고(好), 나쁘고(惡), 좋지도 않고 싫지도 않
고(平), 괴롭고(苦), 즐겁고(樂), 괴로움도 아니고, 즐겁지도 않은(捨)은 여섯 가지가 있어
모든 번뇌를 36(6×6)으로 보는 설명이다.
관세음보살()()() ...ㅁ★★★ㅁ..
관세음보살()()(),,,
부처님 가피 가득 하시길...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ㅁ★★★ㅁ..
관세음 보살...()
부처님 가피 가득 하시길...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ㅁ★★★ㅁ..
관세음보살
부처님 가피 가득 하시길...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ㅁ★★★ㅁ..
부처님 가피 가득 하시길...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ㅁ★★★ㅁ..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ㅁ★★★ㅁ..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ㅁ★★★ㅁ..
관세음보살()()() ...ㅁ★★★ㅁ..
관세음보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