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녀 함양 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
제(齊)나라 사람의 말에는,
“열녀(烈女)는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이는 《시경(詩經)》의
‘백주(栢舟)’와 같은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국전(國典)》에 의하면,
“개가(改嫁)한 여자의 자손에게는 정직(正職)을 주지 말라.”
라고 하였으니,
이것이 어찌 뭇 백성을 위해 설치한 것이겠는가.
하지만 우리나라 사백 년 이래로 백성들은 이미 오랫동안 수절을 미덕으로
여기는 도(道)에 교화되었다.
여인이라면
신분의 귀천이나 족벌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과부가 되면 수절하지 않은 자가 없으니,
이는 마침내 풍속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래서 예부터 불려졌던
소위 ‘열녀’ 라는 말이 지금의 과부들에게도
남아 있는 것이다.
농가의 어린 부인네나
위항(委衖)의 청상(靑孀)의 경우에는 망부에 대한 의리를 저버리라고
핍박하는 부모가 있는 것도 아니요, 어차피 정직에 오르지 못하는 신분이므로
자손의 벼슬길에 오점이 될 리도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부로 늙어 가는 것만으로는 절개를 지킨다고 하기에 부족하다.’라고 하여,
때때로 밝은 햇살을 저버리고 남편을 따라 어두운 저승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그래서 물이나 불에 몸을 던지고,
짐주(鴆酒)를 마시고, 목 매다는 등, 스스로 목숨을 끊기를 극락 땅을 밟는
것처럼 즐거이 하였다.
열녀로서야
더할 나위 없는 열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찌 지나치다 하지 않겠는가.
옛날 어떤 형제가 높은 벼슬에 있었다.
장차 어떤 사람의 벼슬길을 막을 일이 있었는데, 형제는 그들의
어머니와 의논했다.
어머니가 묻기를,
“무슨 잘못을 했길래 벼슬길을 막으려고 하느냐?”
“그의 선조 중에 과부가 있어서 바깥 소문이 자못
시끄럽습니다.”
어머니는 매우 놀라서 말하기를,
“규방의 일을 너희가 어찌 안단 말이냐?”라고 하니 아들은 대답하기를,
“풍문(風聞)으로 들었지요.”라고 하였다.
그 어머니는,
“바람이란 소리만 있을 뿐이지 형체가 없는 것이야.
눈으로 보려고 해도 보이지 않고, 손으로 잡으려고 해도 잡히지
않는 법이지.
허공으로부터 생겨나 떠다니며
능히 만물로 하여금 떠다니게 만드니, 어찌 형체도 없는 일을 가지고 이리저리
흔들리는 가운데 사람을 논한단 말이냐?
그리고 또 과부의 아들이라고 했느냐?
너희도 과부의 아들이면서 어찌 과부를 논할 수 있단 말이냐.
기다려라.
내가 너희들에게 보여 줄 것이 있느니라.”
라고 하면서 품 속에서 동전 한 닢을 꺼냈다.
“이것에 윤곽이 있느냐?”
“없습니다.”
“이것에 글자가 보이느냐?”
“보이지 않는군요.”
이에 어머니는 눈물을 흘리며 말하였다.
“이 동전이 네 어미가 죽음을 참을 수 있었던 부적이란다.
십 년 동안 손으로 만졌더니 이렇게 닳고 말았지.
무릇 인간의 혈기(血氣)는 음양(陰陽)에 그 근본이 있고, 정욕(情欲)은
그 혈기에 심어진 것이야.
사상(思想)은 홀로된 설움에서 생기고
상심과 슬픔은 사상에서 비롯되며, 과부란 것은 외로움 속에서 살아가니,
그 상심과 슬픔은 더할 나위 없는 것이지.
게다가 혈기란 것은
때에 따라 왕성해지기도 하니, 과부라고 해서 어찌 정욕(情欲)이
일지 않겠느냐.
가물거리는 등잔불이 그림자를 조문(弔問)하는 고독한 밤에는 새벽도
쉽게 오지 않더구나.
또 처마에 빗물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 때나,
창으로 맑은 달빛이 흘러들 때, 낙엽이 뜨락에 질 때, 외기러기가 하늘에서 끼룩거릴 때,
그리고 멀리서 닭 우는 소리조차 들려오지 않을 때에도, 종년은 코를 골며 잘도 자는데 쓰라린 마음에 잠 못 이루는 이 고통을 그 누구에게 하소연할꼬.
나는 그럴 때면 이 동전을 꺼내서 굴린다.
방안을 두루 살피다 보면 둥근 것이 아무리 잘 굴러도 움푹한 곳을
만나면 멈추겠지.
그러면 나는 그것을 찾아 또 굴리지.
하룻밤에 보통 대여섯 번을 굴리고 나면 동편 하늘이 밝아 온단다.
십 년 동안 해마다 그 굴리는 횟수가 줄어들었고, 십 년이 지난 후에는 혹 닷새에 한 번 굴리기도 하고 혹 열흘에 한 번 굴리기도 했지.
이제는 혈기가 이미 쇠약해졌으니,
나는 동전 굴리는 것을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되게 되었구나.
하지만 나는 이 동전을 여러 겹 싸서 간직하였으니, 그 햇수가
이십여 년이 되었단다.
그 까닭은
동전의 공(功)을 잊지 않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때때로 나 자신을
경계하기 위함이지.”라고 하고는 모자가 서로 부둥켜안고
울고 말았다.
군자(君子)들은 이 이야기를 듣고,
“이야말로 소위 ‘열녀’라고 할 수 있다.”
라고 했다.
슬프도다!
그 인고(忍苦)로써 이룩한 절개의 청수(淸修)함이 이와 같았다.
하지만 이러한 사연이 그 당시에 알려지지 않고, 명성이 스러져 전해지지
않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이는 아마도
과부가 절개를 지키는 것은 나라에서 흔히 있는 일이니만큼, 목숨을 끊지 않는다면
과부들 사이에서 그 절개가 뛰어나 보이지 않기 때문이리라.
내가 안의(安義) 고을의
일을 살피던 그 다음 해인 계축(癸丑) 모월 모일이었다.
새벽 무렵 나는 어슴푸레 잠을 깨었는데, 청사(廳事) 앞에서 몇 사람이 나직이
속삭이는 소리를 들었다.
그리고
또 한숨 섞인 음성으로 슬피 말하는 소리도 들었다.
급한 일이 있으나 나의 잠을 깨울까 봐 걱정하는 듯했다.
마침내 내가 큰 소리로 물었다.
“닭이 울었느냐?”
좌우에서 대답하기를,“이미 서너 번 울었습니다.”
“밖에 무슨 일이냐?”
“통인(通引) 박상효(朴相孝)의
조카딸이 함양(咸陽)으로 시집갔는데, 일찍 과부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삼년상(三年喪)이
끝나자마자 독약을 먹어 숨이 끊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녀를 구하러 오라는 급한 전갈이 왔지만, 상효가 마침 당번이라 황공하여 마음대로 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나는 빨리 가라고 명하였다.
해질 무렵 묻기를,“함양의 과부가 살아났느냐?”
하고 물었다. 좌우에서 대답하기를,
“이미 죽었다고 합니다.”
하였다.
나는 길게 탄식하였다.
“아아, 열녀로구나! 이 사람이여!”
이에 모든 아전들을 불러모았다.
“함양에 열녀가 났다는데,
그 사람은 본래 안의(安義) 출생이라고 하네.
그녀의 나이가 몇 살이며,
함양 어느 가문에 시집 갔는지, 그리고 어려서부터 뜻과 행실이 어떠했는지
아는 사람이 있는가?”
여러 아전들이 탄식하고 아뢰기를,
“박씨 집안은 대대로 현(縣)의 아전이었는데, 그 아비의 이름은
상일(相一)이라고 합니다.
그는 딸 하나만 남기고
일찍 죽었으니, 그 어미 역시 일찍 죽었습니다.
그녀는 이 때문에
어려서부터 조부모 아래에서 자랐는데, 자식으로서의 도리가
극진했다고 합니다.
나이 열아홉에
함양 임술증(林述曾)의 처가 되었는데, 그 집 또한 대대로 군(郡)의
아전이었다고 합니다.
술증은 본래 병이 있어서 허약했는데,
초례(醮禮)를 지내고 돌아간 지 반 년 만에 죽고 말았답니다.
박씨는 남편의 상(喪)을
예법대로 다 지냈고 시부모를 섬기는 데도 며느리의 도리를 다했으니, 양 고을의
친척과 이웃들이 그 현숙함을 칭찬하지 않는 이가 없었습니다.
이제 일이
이렇게 되고 보니 과연 그 행실이 여실히 드러나는군요.”
라고 했다.
또 늙은 아전이 감격한 어조로,
“그녀가 시집 가기 몇 달 전 일입니다.
항간에 ‘술증은
이미 병이 골수(骨髓)에 들어 나을 가망이 없는데 어찌 약속을 물리지 않는가?’
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그 조부모가
가만히 그녀에게 알렸더니 묵묵히 대답이
없더랍니다.
기일이 임박하자
여자의 집에서 사람을 시켜 술증을 살피게 했더니,
술증은 비록 용모가 잘생겼으나 병이 깊고 기침을 자주 해, 버섯이 서 있는 듯
그림자가 걸어다니는 듯하더랍니다.
그 집에서는
매우 두려워하여 다른 중매를 놓으려고 했더니,
그녀가 얼굴빛을 가다듬고 말하기를, ‘앞서 재봉(裁縫)한 옷은 누구의
몸에 맞춘 것이며 또한 누구의 옷이라고 불렀습니까?
소녀는 원컨대
처음 맞춘 것을 지키겠습니다.’라고 하였답니다.
집안에서는 그 뜻을 알고 마침내 약속대로 사위를 맞아들였지만, ‘비록 이름은 합근(合巹)이지만, 그 실제는 빈 옷만을 지켰을 뿐이었다.’
라고 했다는군요.”
그후 함양군수(咸陽郡守) 윤후(尹侯)
광석(光碩)이 어느 날밤 이상한 꿈을 꾸고 느낀 바가 있어 《열부전(烈婦傳)》을 지었고,
산청현감(山淸縣監) 이후(李侯) 면제(勉齊) 또한 전(傳)을 지었으며, 거창(居昌)의 신돈항(愼敦恒)은 글을 쓰는 선비였는데 박씨를 위하여 그 절개를 기록했다.
그 마음은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 같았으니,
어찌 스스로 ‘나이 어린 과부로서 세상에 오래 남아 있는다면 오랫동안 친척의 연민도 받겠지만, 또한 이웃 사람들의 망령된 생각도 면치 못할 것이니 속히 이 몸이 죽어 없어지는 것만 못할 것이다.’라고 생각하지 않았으랴.
슬프도다!
성복(成服)을 하고도 죽음을 참는 것은 장례가 남았기 때문이요,
장례가 끝나고도 죽음을 참는 것은 소상(小祥)이 남았기 때문이요, 소상이 끝나고도 죽음을 참는 것은 대상(大祥)이 남았기 때문이다.
이제 대상을 지내서
상기(喪期)를 마치자, 같은 날 같은 시각에 죽음으로써 마침내 처음의 뜻을 이룬 것이다.
어찌 열녀가 아니겠는가.
―연암집권1․연상각선본―
♠작품 해설
‘열녀 함양
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은 연암의 작품 중 가장 말기작이다.
연암이 이 작품을 쓴 시기는
본문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의 나이 57세
때인 1793년이다.
연암은 국전(國典)에 의하여
너무 많은 수절과부가 있음을 논평하며 한 노모(老母)와 두 아들의 문답을 에피소드
형식으로 처리한 후 본 내용으로 들어갔다.
그 내용은 매우 단순하다.
주인공인 함양 박씨는
연암이 안의 현감(安義縣監)으로 부임할 당시 아전의 조카딸로
이미 죽을 병에 걸린 사람에게 출가한 후, 남편의 삼년상이 끝나는 날 독약을 마시고
자살하였고, 몇몇 명사들이 그 일에 관한 기록을 하였다는
것이 이 소설의 전부이다.
이 작품을 통해
나타나는 연암의 사상 또한 매우 명확하다.
정절을 지킨 함양 박씨의 행실은
칭송받아 마땅하고, 연암 또한 그 수절을 칭송함에
아낌이 없었다.
하지만 다시 서두에 제시한
논평을 음미한다면, 그런 터무니없는 정절을 강요하는 봉건적 제도․관습에
대한 탄식이 강하게 배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작품 중
여인의 감정이나 정욕에 관한 대목은 ‘광문자전’과 서로 통하는 면이 많다.
두 작품을 병행하여 읽어 본다면 더욱 흥미로울 것이다.
[출처] 열녀 함양 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