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급된 켄트지는 받침용으로 사용한다.
(참고: 받침용 깔지로 켄트지가 1장, 도면용 A2 투사지가 3장 지급된다)
2) 명기되지 않은 조건은 각종규정, 건축구조, 제도통칙에 따른다.
3) 도면에 사용하는 용어는 국문, 영문을 혼용해도 된다.
4) 실내투시도의 채색 작업은 반드시 해야 하며 채색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5)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는 사용할 수 없으며 수검 중 재료 교환은 일체 허용하지 않는다.
6) 다음과 같은 경우 오작 및 미완성으로 채점 대상에서 제외한다.
。 요구한 도면의 전 도면을 완성하지 못한 경우
。 구조적 또는 기능적으로 사용 불가능한 경우
。 각 부분이 미흡하여 시공제작할 수 없는 경우
。 주어진 조건을 지키지 않고 작도하는 경우
7) 주어진 표준시간을 초과한 경우 초과된 시간 10분 이내마다 전체 득점에서 5점씩 감점한다.
(연장시간 30분을 초과한 경우 채점대상에서 제외된다)
8) 각각의 도면명은 아래의 표시와 같이 도면의 중앙 하단에 기입하고 일체의 다른 표기를 하여서 는 안된다.
가) 이론시험의 학습
이론시험은 위의 3과목으로 (실내디자인 및 실내환경).(실내 건축재료) (건축일반)으로 출제되는 책은 주로 공업고등학교의 실내디자인, 건축구조시공, 건축재료, 건축제도, 건축계획, 조형 등의 교과서에서 출제됩니다.
교과서의 전 과정에 걸쳐 출제됨으로 고루 학습해야 합니다. 시간을 절약하고 능률적으로 학습하려면 참고서를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거두리라 봅니다.
문제의 출제 및 난이도는 '전산응용건축제도 기능사' 문제보다 많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거의 유사한 문제가 많으므로 전산응용건축제도 시험을 봤던 사람은 매우 유리합니다.(경험적으로 기출문제를 충분히 암기한다.)
출제 비율은 각 과목 20문제 이며 60문제가 출제됩니다. 출제 문제가 참고서 밖에서 나올 때가 많으며,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데 이곳 카페의 (과목별 요점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세요.
나) 실기시험의 준비
1) 도구 준비
시험장에서 기본적으로 제도판을 제공하지만 질이 나뿐 것이 많아 휴대용 제도판을 가지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제도판: 휴대용 제도판은 중판(90cmX60cm)이 적당하다. 제도판에는 I자가 달려있는데 I자는 기동성이 떨어지므로 T자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자석식 제도판은 무게가 무거우므로 가벼 운 목재 제도판을 구입한다.)
T자: I자로 숙달된 사람은 I자가 편리할 수도 있지만, 투시도를 그릴 때는 매우 불편하다. T자 (90cm)는 나무로 된 것이 편리하므로 구할 수 있으면 사용하도록 한다.
단, 알루미늄T자는 사용불가.
삼각자: 30cm 제도용 삼각자(45도 자 기준)가 가장 좋으며 45도자와 30도자를 두 개 사용한다. 오히려 값비싼 물매자는 기동성이 떨어진다.
샤프: 노란 뚜껑의 Pentel 0.5mm를 권장한다. 샤프심은 Pentel이나 STAEDTLER가 우수하나 값이 비싸다. 짜가 Pentel 심도 쓸 만하며 값이 싸다.
지우개: 국산 잠자리표 제도용 지우개가 최고다.
지우개판, 브러쉬 등을 반드시 사용한다. 도면이 깨끗해진다.
색연필: 채색에서 색연필의 효과는 미미하다. 국산 동아나 문화 24색 색연필을 사용해도 무난하다.
마카펜: 마카펜의 채색 효과는 매우 크다. 수성 마카펜을 사용한다. 채색에서 많은 색을 사용한다 고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많은 색을 사용하면 조잡한 도면이 된다. 낫 개로 살수 있으므 로 색연필을 먼저 구입하여 투시도에 채색을 해보고 색상을 결정해 5-6자루 정도 구입한 다. 진한색 위주보다는 연한색을 선택해야 실패하지 않는다.
2) 실기 시험 내용
실기 시험은 < 주택에서 방, 부엌, 거실, 원룸 중에서 하나가 출제되며, 약식 평면도>를 주고 5시간동안 < 평면도, 입면도, 천장도, 투시도>를 각각 1개씩 트레이싱지(A2용지 3장)에 연필(샤프)로 그리는 문제입니다. 평면도를 보고 도면을 그려보는 연습이 제일 중요합니다.
평면도와 입면도는 기본적으로 선이 좋아야 합니다. 또한 가구의 배치는 특별한 것 보다는 합리적인 배치가 되어야 합니다.
투시도가 가장 중요한 도면입니다. 작도 도법에 충실하다보면 시간을 초과하기 쉬운데 완성을 목표로 웬만한 것은 눈짐작으로 처리하여 전제적인 완성도가 우수한 투시도를 그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