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있었던 시연회 다녀왔습니다.
이번에 tv를 구매 해야하는데 이번 설명회가 도움이 되었네요
(3d LED tv를 살까 아직 3d 컨텐츠도 부족하고해서 그냥 LED TV살까 고민을 많이 했지만
어떤분이 그러시더라구요 3d 는 옵션이라고 생각하고 가격차이가 많이 나지 않으니 최신기술이
들어가있는데 3d led tv 가 낫다고하셔서 3d LED tv 구매하는것으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삼성의 미참석으로 LG 만 보고왔는데 좋은 시간이였습니다
주최하신 이군배 지기님과 LCDFIRST 사장님, LG 직원분들 고생많이 하시고 준비도 많이 하셨더라구요
(지기님과 LCDFIRST 사장님은 생각하면 할 수록 대단하신거 같습니다!! 존경스럽습니다!! )
시연장입구입니다.

어제 있었던 시연회 진행순서입니다.

기자설명회 다녀오신분이 누워서 티비를 볼수있어서 좋다고하였습니다.
그때는 이해 안갔는데 설명들어보니 이해가 가더라구요..
방향에 전혀 상관없이 볼수가 있습니다.

요게 스마트티비에 대한 설명 부분인데
UI상을 받았다고하네요!! (삼성꺼랑 비교했을때는 삼성은 좀 꽉찬 느낌 LG는 심플하다는 느낌입니다.)
깔끔합니다.
근데 LG엡 이 앞으로 얼마나 나올지 궁금하네요
삼성은 올해50개 넘는 어플을 제공한다고 하는데 경쟁 있으니 많으 어플들이 나오겠죠
프리미엄 서비스는 IPTV하고 비슷합니다. 예정방송을 쉽게 볼수 있지만 제공 서비스가 현재까지는 적은거 같습니다.
앞으로 많아지겠죠
밑에 웹브라우저 실행하기 누르면 인터넷도 가능합니다.
컴퓨터들이 너무 진화되어서 누르면 바로 떠야한다는 생각이 고정되어버려서인지
좀 느린감도 있고 플래쉬도 지원이 안되더라구요.
다음에 나오는 티비에는 보완이 되겠지만 보완될때 예전 모델들도 지원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보통보면 예전 모델은 펌웨어 안해주는 경향이 있더라구요)
매직리모콘으로 실행이 되고 편리하더라구요.
삼성에는 매직리모콘 없다고 강조를 하시더라구요!
그리고 텍스트를 칠려면 아이폰이나 스마트폰으로 연결하여 치면됩니다.

아이폰에서 찍은 동영상이 티비에 보입니다( DLAN 기능을 이용한거죠 )

자 이세 3d가 어떤지 보시지요
제가 셔터방식으로는 봐본적이 없고 셔터 안경만 만져고 써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셔터안경이 상당히 무거웠는데 편광안경은 진짜 가볍네요!
실제로 3d 안경으로 보았을때 선명하더라구요 !
형광등아래에서도 주파수 간섭없이 잘보인다고합니다.
사진찍을때 안경이 있는지 없는지 구분이 안되어서 깜짝 놀랬습니다.
셔터방식을 체험하고 싶어서 롯데백화점에 갔는데 55lw9500 을 2d만 틀어주더라구요.
넘 아쉬웠습니다.
이번체험때도 삼성제품이 아니라도 LG 에서 나온 제품들중에 셔터방식을 같이 비교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더라구요





3d영화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게 아바타죠.
아바타도 아주 잘나오는데
근데 가까이서 봐서 그런지 영화관에서는 깜쪽같았는데
좀CG티가 나더라구요 ㅋ


편광 안경들입니다.
셔터는 비싸다고했는데 시연회때30명이 쓸정도 가지고 오셨더라구요
가격이 싸서 그런지 고이 간직을 안해도 될거 같습니다. ㅋㅋ

요개 메직 리모콘입니다. 닌테도 위 사용할때 쓰는 리모콘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지기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요 리모콘으로 컴퓨터 화면을 띄어 놓고 사용을 하면 마우스는 움직이는데
클릭은 안됩니다. 클릭도 되면 아주 좋을텐데 말이죠^^

이상 간단후기였습니다.
제가 셔터방식으로 영화를 안보아서 비교를 못하겠지만 이정도면 아주 좋은거 같습니다.
어떤분은 주사선이 보인다고 하였는데 제눈이 막눈이라서 그런지 안보이더라구요
화질도 아주선명하구요. 셔터방식으로 봤을 이정도가 나와야 고민을 더할텐데 이정도 급이 아니면
편광을 선택해야겠죠?
빨리 셔터방식을 보러 돌아다녀야겠습니다.ㅋㅋ
제 점수는 요
3d 재생 : 95점(셔터방식을 못보았지만 이정도면 영화관에서 보는거와 비슷하더라구요,밝고 편함, 셔터는 껌벅임이 있다고 하는데
아주 자연스럽게 나옴, 눈에 피로도는 시연을 5분정도해서 잘모르겠음.
개인적인 생각으로 이정도면 3d tv는 볼만한거 같은데 컨텐츠가 부족하다는데 아쉬운거같습니다.
기술은 발전하는데 소스가 부족해서 발목을 잡지않나 하는 생각도 들더라구요!)
2d : 98점(뭐 2d는 말할것도 없죠 ㅋㅋ)
안경 : 90점(셔터방식 비교시 가벼움,단 디자인을 더 세련되게 만들 필요가 있을거 같아요)
스마트tv : 80점(아직 컨텐츠가 부족하더라구요.인터넷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있다면 고거를 사용하는데 편 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앞으로는 많이 발전하겠죠)
디자인 : 70점(좀 투박함 ,55lw9500 비교시 완전 차이가남, 만약 55lw9500 디자인 정도였으면 구매시 더 아주 좋은 플러스가
될거 같습 니다.
전체적인 평은 좋습니다!!
(셔터방식을 못봐서 편광방식만 보고 생각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6^)
끝으로 다시 말씀드려서 준비하신 지기님, LCDFIRST 사장님, LG담당자분들, 참석하신 회원님들께 박수를 보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감사합니다.
시연회 후기 잘 보았습니다. 전 삼성 55" 3D스마트TV 사용중인데요 셔터방식의 단점인 깜박거림(특히 밝은 낮엔 심함)과 안경 무게로 아직 보지도 않은 3D BD 타이틀이 몇개 있습니다.
어제 LG전자 55" 3D스마트TV(시네마)를 잠깐 시청하였는데 3D 효과는 삼성과 차이를 느끼지 못했구요 안경은 무게가 거의 느껴지지 않을 만큼 편했고 매직 리모콘은 편리함 그 자체였습니다.
편광이 상당히 좋다고 느낌을 받았습니다. 저는 편광방식의 단점이 무어인지 찾고 싶어지네요. 셔터는 깜박임이 심한가요? 제가 직접 접해보지를 못해서요
편광방식의 단점은 상하 시야각입니다. 이것은 화상이 표시되는 pixel 부분과 FPR의 패턴 부분의 거리가 약 1mm (glass 0.7mm+편광판 0.2mm 등)가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기하학적인 문제인데 상하 시야각이 +-13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시청거리(1.5m 이상)에서는 인지되지 않는 문제이나 아주 가까이 접근해서 위/아래서 보면 관찰할 수 있습니다. glass 두께를 줄이면 더 개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외에는 정면 크로스톡, 플리커링, 3D 휘도, 3D 색재현율 모두 원리상 편광안경 방식이 셔터방식 보다 뛰어납니다.
아하 그렇군요 시연회때 참석자 분이 질문을 했는데 크게 고려사항은 아닌걸 같기도 하더라구요. 실제로 봤을때도 상하 시야각에대해서 별차이 모르겠더라구요
충실한 후기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요번에 나온 편광방식 LG전자 55"3D LW 5700 HDTV 다른건 다좋은데 FULL HD가 아니라서 그런지 아직은 같은 LG제품 55"3D LW9500 FULL LED HDTV와 비교시청 해보면 해상도에서 좀많이 차이가 나네요. 왜 FULL HD를 적용않했는지 궁금하군요..
차이가 나나요? 토요일날 같이 비교를 해주었으면 하는 아쉬도 있긴했습니다~~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궁금하네요
편광방식은 실제로 수직해상도를 두배로 늘리지 않는한 이론적으로 1080p 풀 hd를 만들수없죠, LG 가 같은 수직 라인에 두번 주사해서 1080p 풀 해상도 지원한다고 하지만
이것은 눈가리고 아웅하는 소립니다.
예전에 압구정 현대백화점에서 삼성 셔터글라스와 LG 편광 방식을 비교 시청해본적이 있는데 LG의 수직 해상도 저하에 따른 영상밀도감은 도저히 해결이 안되더군요.
예전에 나온 편광과 현재나온 편광의 차이점이라면 유리판 편관을 쓴것을 LG 화학에서 만든 갑싼 편광 필름을 붙인것을 제외하곤 다른것이 없는것 같습니다.
헉 근데 웹 브라우징이 되나요? 제건 아직 안되는데요...
그리고 아이폰으로 사진을 볼 수 있다고요... 헉.. 내가 뭔가를 놓치고 있는듯... 그런데 DVD 대여점에서 블루레이 타이틀을 찾을 수 없네요...TT
웹 브라우징은 3월부터 서비스가 된다고 합니다. 삼성도 지원이 되고요. 다만, PC처럼 원할하게 지원이 되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것 같습니다. 또한 웹브라우저의 글자의 선명도 부분은 아직 양사 모두 좀 더 해결을 해야 할듯... 그리고 BD타이틀은 일부 온라인 대여점이 있지만,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아이폰으로(스마트폰, LG어플이용)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티비에서 볼수 있더라구요~
잘 읽고 참고했습니다~~
참그리고 안경은 진짜 선글래스처럼 만들어도 좋을 듯 하네요. SG야 힘들겠지만 필터 방식은 가능할 것 같은데요. 그럼 진짜 괜찮을 것 같은데요. 운전할때도 쓰고 ... 티브이 볼때도 쓰고.. 참 답변 감사 드립니다. 웹 브라우징도 기대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