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보틱스 기술 주목
글로벌 기업, 전략 소개
미국 라스베이거스가 9일 부터 나흘 동안 인공지능(AI) 기술로 물든다.
CES 2024에서 빅테크부터 벤처, 스타트업까지 수많은 기업이 분야를 망라한 AI 기술을 전면에 내세운다.
CES를 시작으로 올해 매가트랜드가 모든 영역의 AI 전환(AX)이 될 것이라는 데 반론의 여지가 없다.
CES 2024를 주관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올해 CES에서 주목해야 할 기술로 AI와 로보틱스를 꼽았다.
CES 2024 참가국은 150여개, 참가기업은 4300여 개에 이른다.
AI 카테고리로 등록한 기업이 898개, 로봇 카테고리로 등록한 기업이 383개다.
여기에
사물인터넷(IoT) 스마트홈.빌딩, 에너지의 효율 관리, 헬스의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 모빌리티의 자율주행 등
각종 AI 융합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면 AI와 로봇 관련 전시기업은 2000여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글로벌 기어브이 AX 각축전이 최대 관심 포인트다.
구글, 아마존, 인텔, 퀄컴, 삼성전자, LG전자 등 지난해 생성형 AI 개발에 집중한 빅샷들은 실험 단계를 넘어
실제 사업 영역에 활용하는 AI 전략을 소개한다.
그 가운데 온디바이스 AI는 기업이 생산성 향성과 업무 효율화을 위해 저체적으로 사용하는 AI를 제품과
서비스로 확장하는 전환점이다.
온디바이스 AI는 클라우드 연결 없이 기기 자체에 생성형 AI 기능을 탑재한다.
일상생활에서도 AI가 스며들는 AX 시대 도랴를 의미한다.
인텔은 최근 개발한 AI컴퓨팅용 차세대 프로세서 '메데오레이크', 퀄컴은 온디바이스 AI용 '스냅드래곤8
3세대 모바일 플랫폼'을 선보이고, 월마트는 AI와 로봇을 활용한 유통 혁신 방안 등을 소개한다.
삼성전자는 '모두를 위한 AI'를 주제로 다양한 온디바이스 AI 가전과 이들을 한데 연결한 'AI 허브' 전략을 소개한다.
LG전자도 '고객과 공감하는 AI'가 스마트홈을 선보이며 고객의 삶을 이해하고 알아서 맞춰 주는 AI를 구현한다.
뷰티 기업으로는 처음 기조연설에 나서는 로레알은 AI를 호라용한 피부 관리 앱을 선보인다.
LG생활건강은 LG의 생성형 AI '엑사원'이 만든 도안으로 문신을 새겨 주는 휴대용 무선 프린터 '임프린투'를 공개한다.
게리 셔피로 CES 회장은 '올해 CES에선 인간 경험의 모든 측면을 개선하는 기술 엯할을 조명했다'면서
'CES는 비지니스 리더들이 만나고 꿈꾸고, 해결하는 허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조정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