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3 |
백두진1908. 10. 31 황해 신천~1993. 9. 5 서울. |
조선은행 |
조선은행 이사, 재무부 장관, 국회의장 국무총리
조선은행 이사, 재무부 장관, 국회의장 국무총리,최근경력 : 안중근의사 여순순국유적 성역화사업추진위원회 고문 |
4 |
박희현 |
일본 관리 |
재무부 장관, 상공부 장관 |
7 |
인태식 |
홍천세무서장, 청주세무서장 |
재무부 장관 |
9 |
송인상 1914년 03월 06일~생존 |
식산은행
배우자 최연순(崔連順) 1914.08.18 |
한국은행 부총재, 재무부 장관, 부흥부 장관
1947. 식산은행 심사부장 최근경력 :한국능률협회회장 송인상 회남경제과학연구원 원장
|
11 |
![]() 김영선 1918년 4월 25일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진도 군수 |
내무부 장관, 통일원 장관, 주일대사 |
16, 23 |
![]() 황종률 1909년 9월 3일~사망 |
만주 대동학원(3기) |
재무부 장관, 무임소 장관, 체신부 장관 충북 도지사 |
역대 법무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3 |
이우익 |
재판소 통역생․서기, 부산지법 밀양지청 판사, 함흥지법․대구복심법원 판․검사 |
법무부 장관 |
5 |
조진만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해주지법 판사 대구지법 부장판사, 대구복심법원 판사 |
법무부 장관, 대구지법, 지방판사 |
8, 20 |
이 호 1914년 2월 7일 출생 (*사망)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경성지법․고검 검사 |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대사 |
9 |
홍진기(洪璡基)1917년 3월 13∼1986 (*사망) |
전주지법 판사 |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
11 |
조재천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판사 |
내무부 장관, 경북 도지사 |
12 |
이병하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법무부 장관 |
13 |
고원증 |
만주 고등문관 |
법무부 장관 |
16, 17, 18 |
민복기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경성지법 판사 |
대검찰 총장, 대법원 판사, 법무부 장관 대법원장 |
19 |
권오병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법무부 장관, 문교부 장관 |
21 |
배영호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법무부 장관 |
24 |
황산덕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행정과 |
성균관대총장, 문교부장관, 법무부장관 |
26 |
![]() 김치열 1921년 09월 15일~생존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검찰총장, 내무부 장관, 법무부 장관 |
27 |
백상기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서울지검 검사장, 법무부 장관 |
역대 문교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2 |
백낙준 |
‘미영타도좌담회’ 참석, 대동아 성전 선전. 친일 논객으로 활동 |
문교부 장관, 연세대 총장 |
4 |
이선근 |
만주국 협화회 협의원 |
문교부 장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성균관대 총장, 영남대 총장 |
7 |
이병도 |
조선총독부 중추원 산하 조선사편수회 활동. 식민사학자 今西龍의 수사관보로 근무하면서 식민사관 형성에 기여 |
문교부 장관 |
12 |
박일경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문교부 장관 |
14 |
고광만 |
조선총독부 시학관(학무국) 충주공립중학교 교장 |
문교부 장관, 부산대 총장 |
16, 18 |
권오병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문교부 장관, 법무부 장관 |
22 |
황산덕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
성균관대총장, 문교부장관, 법무부장관 |
역대 농림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5 |
임문환 1907년 06월 11일~1993년 06월 19일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용인 군수 조선총독부 식산국 사무관 조선총독부 광공국 서기관․민정관
배우자 최복순(崔福順) . .
|
1950.12-1951.05 제2대 보건부 차관 |
11 |
임철호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한일회담 대표, 농림부장관, 국회부의장 |
13 |
정운갑 |
충남 군속,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농림부 장관 |
15 |
이근직 |
원주 군수 |
내무부 장관, 농림부 장관 |
16 |
이해익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개성 군수 |
경기도 도지사, 농림부 장관 |
18 |
장경순 |
일본군 장교 |
농림부 장관 |
역대 상공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1 |
임영신 |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발족 |
상공부 장관, 중앙대 총장 |
5 |
이재형 1914년 ∼ 1992년 |
금융조합 이사
1992년 1월 30일에 별세하였으며 산본 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고향에 안장되지 못하고 화성군 장안면 서포4리 232번지의 자족묘지에 묘가 있다.
|
상공부 장관, 국회의장
제헌 국회의원(1948), 2대 국회의원(1950), 국회재경위원장(1951), 상공부장관(1952), 4대 국회의원(1958), 국회부의장(1960), 5대 국회의원(1960), 민주당.민중당 지도위원(1964), 신한당 정책위의장(1966), 7대 국회의원(1967), 신민당 부총재(1968), 신민당 고문(1970), 국정자문위원(1980), 제헌동지회장(1981), 민정당 대표위원(1981∼ 1983), 11대 국회의원(1981), 한일의원연맹 회장(1981∼1985), 한일친선협회장(1981), 민정당 상임고문(1983), 민정당 전당대회 의장(1985), 12대 국회의원(1985), 국회의장(1985∼1988) 상훈으로는 일본 훈1등욱일수교훈장(日本勳一等旭日修交勳章)을 수상 |
7 |
박희현 |
일본 관리 |
재무부 장관, 상공부 장관 |
9 |
김일환(金一煥)1914년 08월 15일~(*사망) |
봉천무관학교(5기), 만주군경리학교 만주군 장교 |
국방부 장관, 상공부 장관, 내무부 장관 교통부 장관 |
10 |
구용서 |
조선은행 동경지점 근무 조선은행 대판지점 서구출장소 지배인 |
한국은행․산업은행 총재, 상공부 장관 |
13 |
오정수 |
조선곡물사․만주곡물사 사장 |
체신부 장관, 상공부 장관 |
14 |
이태용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
상공부 장관 |
15 |
주요한 |
조선문인보국회, 조선임전보국단 임원 친일문필 활동 |
부흥부 장관, 상공부 장관 |
17, 19 |
정래혁 |
일본 육사(58기), 일본군 장교 |
상공부 장관, 군사령관 |
21 |
이병호 1916년 02월 12일~?? |
동양척식회사 근무
배우자 한경선(韓京善) . . |
상공부 장관
최근경력 : 국제로터리375지구 총재 |
역대 건설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3 |
박임항 |
만주신경군관학교, 일본 육사 |
국방대 총장, 건설부 장관 |
6 |
전예용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광주 군수 조선총독부 사회과장, 학무국 원호과장 |
한국은행 총재, 부흥부 장관건설부 장관 |
9 |
이한림 |
일본 육사(57기), 만주신경군관학교 |
육사 교장, 건설부 장관 |
역대 부흥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3 |
송인상 |
식산은행 |
한국은행 부총재, 재무부․부흥부 장관 |
4 |
신현확 1920년 10월 29일~ 생존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일본 상공성(이후 군수성) 근무 |
국무총리,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부흥부 장관
국무총리,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부흥부 장관,최근경력 :현재 박정희전대통령기념사업회 회장 ,91년까지 삼성물산 회장과 삼성미술문화재단 이사장 |
5 |
전예용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광주 군수 조선총독부 사회과장․원호과장 |
한국은행 총재, 부흥부․건설부 장관 |
6 |
주요한 |
조선문인보국회, 조선임전보국단 임원 친일문필 활동 |
부흥부 장관, 상공부 장관 |
역대 보건사회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5, 16 |
신현확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일본 상공성(이후 군수성) 근무 |
국무총리,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부흥부 장관, 보사부 장관 |
13 |
김태동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조선총독부 전매국 총무과 사무관 |
보사부 장관 |
14 |
이경호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보사부 장관, 한일회담 대표 |
15 |
고재필 |
만주 고등문관 만주 대동학원(11기) |
보사부 장관, 무임소 장관 |
18 |
진의종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일본 북해도청 농무과장 |
국무총리, 보사부 장관 |
역대 교통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8 |
김일환(金一煥)1914년 08월 15일~(*사망) |
봉천무관학교(5기), 만주군경리학교 만주군 장교 |
국방부 장관, 상공부 장관, 내무부 장관 교통부 장관 |
20 |
장성환 |
항공학교 장교 |
공군 참모총장, 교통부 장관 |
22 |
최경록 |
육군 지원병, 일본 예비사관학교 |
헌병사령관, 육군 참모총장, 교통부 장관 |
역대 체신부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4 |
조주영 |
일본 변호사시험 합격 |
체신부 장관 |
7 |
이응준 |
일본 육사(26기), 일본군 장교 |
육군 참모총장, 체신부 장관 |
8 |
곽의영 |
괴산, 청원군수 |
체신부 장관 |
13 |
한통숙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체신부 장관 |
16, 17 |
홍헌표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강서 군수 평남도이사관, 함북도사무관 조선금융조합연합회 함북지부 감리관 함북 농상부장 |
체신부 장관, 성균관대 부총장 |
18 |
김홍식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행정과, 양덕 군수 |
충남 도지사, 무임소 장관, 체신부 장관 |
21 |
![]() 황종률 1909년 9월 3일~사망 |
만주 대동학원(3기) 졸 |
충북 도지사, 재무부 장관, 무임소 장관 체신부 장관 |
24 |
신상철 |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 졸 |
육군헌병 사령관, 체신부 장관 |
31 |
김기철 |
강원도공립보통학교장, 神仙공립교장 |
체신부 장관 |
역대 무임소 장관
임기(대) |
이 름 |
식민지 시기 경력 |
해방 이후 경력 |
5 |
김선태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무임소 장관 |
6 |
신현확 |
일본 고등문관 행정과 일본 상공성(이후 군수성) 근무 |
국무총리, 부흥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
12, 13 |
김홍식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행정과 양덕 군수 |
충남 도지사, 무임소 장관, 체신부 장관 |
17 |
![]() 황종률 1909년 9월 3일~사망 |
만주 대동학원(3기) |
충북 도지사, 재무부 장관, 무임소 장관 체신부 장관 |
18 |
김원태 |
일본 고등문관 사법과 |
무임소 장관 |
27 |
장경순 |
일본군 장교 |
농림부 장관, 무임소 장관 |
28 |
고재필 |
대동학원(11기), 만주고등문관시험 합격 |
보사부 장관, 무임소 장관 |
첫댓글 허허 김창숙 선생 세째아들은 남대문에서 지게꾼생활하면서 연명했다하져,,허허
나쁜놈들 지만 잘살겟다고 그러니 나라가 ..................
민족 반역자 를 처단하자고 한지도 벌써 66년이 되었다.
지금까지 말로만 떠들뿐 행동으로 옮긴자는 없다. 행동으로 옮겨야 만 진정 처단한다는 목적이 이루어 질것이다.
지금 생존한 민족 반역자는 한명도 없다. 누굴 처단하겠다는 것인가?. 입으로만 떠드는자들만 있을뿐 행동으로 옮기는자는 없다.
일본인은 일본 공산당이 천황을 폐위하자고 말을하자 천황폐위를 주장 한자가 살해 당하였고 그 가족까지 살해 된것을 알고 있다.
한국도 반민족 후손들을 모두 살해 하여도 결코 지나치니 않다고 생각 한다.
왜냐하면, 민족을 배신한 혈통은 반민족행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종을 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