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이 줄줄 "기(氣) 빠지셨군요"
땀은 체온을 조절하고 체내의 노폐물을 배설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기가 약해지면 이 같은 조절능력을 잃어 땀을 지나치게 많이 흘리게 된다.
큰 병을 앓고 난 뒤, 혹은 여름에 더위를 무릅쓰고 힘든 일을 하고 난 뒤에는 조금만 몸을 움직여도 땀이 주르르 흘러내린다. 간혹 허약한 사람이 사우나를 자주 해 땀을 많이 흘리면 눈만 감아도 땀이 나는 경우가 있다. 이는 기가 약해져 땀구멍을 여닫는 기능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인데, 이 때는 기를 보충해줘야 땀이 줄어든다. 할머니가 여름에 손자들에게 황기나 인삼 등 기를 보충하고 피부를 단단하게 하는 약재를 닭과 함께 고아먹인 것도 기운을 보태주고 땀구멍을 막아 땀이 조절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땀은 단순히 기가 약해서 오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요인으로 전신 혹은 일정 부위에서 많이 흘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근본적인 원인 치료가 병행돼야 한다. 몸이 피로하고 미열이 있으면서 잠자리에 누웠을 때 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기가 약해진지 오래 됐고 영양물질도 부족해졌기 때문인데, 이럴 때는 영양분을 보충하는 것은 물론 체력의 약화를 부른 다른 요인이 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누런 땀이 나서 옷을 노랗게 물들이는 경우에는 간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다. 또한 얼굴이나 손발에서 땀이 많이 나거나 머리, 가슴, 사타구니, 좌우측의 반신 등 기가 약해진 몸 여기저기에서 땀이 지나치게 많이 나는 경우에도 원인치료가 필수적이다.
몸이 뚱뚱한 사람은 마른 사람에 비해 대체로 땀을 많이 흘린다. 더운 것을 잘 참지 못해 조금만 더워도 찬 것을 찾고 에어컨이나 선풍기 없이는 여름을 나지 못한다.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어도 땀이 많아 밥을 먹을 때도 땀을 많이 흘린다. 심지어는 찬밥을 먹으면서도 땀을 흘린다. 반면에 마르고 위가 약한 사람은 밥 먹을 때 주로 얼굴에서 땀을 흘린다. 손바닥에 땀이 물 흐르는 듯한 경우도 있는데, 이는 지속적인 긴장으로 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중년 이후에는 풍증으로 피부가 마비되어 땀구멍을 닫지 못하게 되면서 일정 부위에서만 땀을 흘리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땀나는 부위의 풍증을 먼저 풀어줘야 땀이 없어진다.
땀뿐 아니라 눈물 콧물 소변 침 등 모든 체액을 총칭하여 '진액(津液)'이라고 하는데, 음식을 먹으면 위에서 소화, 흡수되어 그 영양분이 기와 혈과 진액이 된다. 기는 추동력이 있어 잘 움직일 수 있지만 혈과 진액은 추동력이 없는 물질이라 혼자 힘으로는 움직이지 못하고 기에 의해 전신을 순환하고 작용한다.
이처럼 우리 몸의 진액은 단순한 수분이 아니라 기가 함께 들어 있는 것이므로 땀을 많이 흘리거나 소변을 자주 보면 기도 빠져나가 기운이 없어진다. 따라서 함부로 땀을 내거나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은 좋지 않다. 심지어 침도 함부로 뱉으면 기가 약해진다.
더위로 땀을 많이 흘려 기가 약해지고 갈증이 나면 물을 많이 찾게 되는데, 찬 음료나 얼음물을 단숨에 벌컥벌컥 마시는 것은 기를 더욱 손상시켜 대사를 저하시킨다. 물에 버들잎을 띄워 후후 불며 마셨다는 옛사람들의 지혜를 생각해 보라. 잘 익은 참외와 수박은 진액을 보충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여 입안이 깔깔한 것을 없애주지만 지나치게 차게 먹으면 오히려 양기가 손상되어 배탈이 나므로 적당히 시원해야 한다.
땀은 사람에 따라 많고 적음이 다르다. 평소 땀이 적던 사람이 갑자기 땀을 많이 흘리게 되거나, 담이 많던 사람일지라도 평소보다 더 땀이 많아지는 것은 기가 허해진 까닭이니 모쪼록 몸을 잘 살피기 바란다.
최평락한의원장(02-501-1488)
좋은 콜레스트롤, 나쁜 콜레스트롤
콜레스테롤 때문에 새우나 오징어, 계란을 먹지 않는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정작 콜레스테롤에 대해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콜레스테롤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다. 성호르몬과 담즙산 합성과 세포막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가진 반면 심장병이나 동맥경화증의 원인도 된다.
콜레스테롤은 열량을 내지 않기 때문에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다.
콜레스테롤은 혈액과 식품에 들어 있다, 혈액에 있는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이 직접 만들었거나 식품에서 얻어진다.
대략 혈중 콜레스테롤의 15%는 음식물로부터 온 것이고 나머지는 몸 안에서 합성된 것이다. 그러나 성인과 달리 2살 이하의 영유아는 콜레스테롤을 충분히 합성하지 못해 식사에서 콜레스테롤이 공급돼야만 한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우리나라 식생활에서 콜레스테롤 섭취에 민감할 필요가 없다. 우리가 콜레스테롤을 두려워하는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증가 때문이다.
그런데 식사로 섭취하는 콜레스테롤 양보다는 총지방, 특히 포화지방양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 그러므로 혈중 콜레스테롤에 신경 써야 할 사람은 식품 속 콜레스테롤보다는 지방과 포화지방에 신경을 더 써야 한다.
같은 이유로, 식품 표지에 저콜레스테롤이라고 표시하려면 그 제품은 콜레스테롤뿐 아니라 포화지방이 일정 수준 이하여야 한다.
콜레스테롤은 동물성 식품에만 있다. 동물조직의 세포벽과 달리 식물의 세포벽은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쇠고기, 버터 등은 콜레스테롤과 지방이 모두 많지만 새우나 간 등은 콜레스테롤은 많고 포화지방산은 적다, 계란노른자에는 콜레스테롤이 많지만 흰자에는 전혀 들어 있지 않다.
정 해 랑 / 한국 식품 위생연구원 이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