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보호, 근육의 피로회복에 효과적
주꾸미는 낙지와 비슷하게 생겨서 금방 구분이 되지 않는다. 낙지에 비해 다리는 짧지만 머리는 2~3배나 크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안의 전북 무안에서 나는 것이 특산물로 취급되고 있다. 주꾸미에는 기능성 성분인 타우린 함량이 1597㎎으로 가장 많으며 비타민 B2 0.18㎎, 철분1.4㎎으로 빈혈 예방에 효과적이다.자세히보기
주꾸미마늘종볶음
만드는 방법
치매 및 당뇨병 예방, 암 발생 억제 등의 효과
숭어는 농어목 숭어과로 전세계적으로 온대와 열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산강 수역에서 잡히는 것을 고급 숭어로 여긴다. 수어(水魚), 수어(秀魚), 출세어라고도 하며 어릴 때에는 모챙이라고 불린다. 또한 숭어의 맛은 계절마다 다르다. 봄·겨울 숭어는 달고, 여름 숭어는 밍밍하며, 가을 숭어는 기름이 올라서 고소하다. 자세히보기
어만두
만드는 방법
단백질 풍부하고 지질이 적은 저칼로리 식품
석피목 백합과에 속하는 대합은 염도 농도가 낮은 모래에 서식한다. 담수가 유입되는 해역의 얕은 모래 뻘을 선호하며, 서식환경이 나쁘면 좋은 곳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어 수질오염이 심각한 지역에서는 어획량이 줄고 있다. 대합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질이 적은 저칼로리 식품이다 자기 껍데기 외에는 맞지 않기 때문에 부부화합의 상징으로 결혼식의 축하음식에 사용하기도 한다. 자세히보기
대합오색찜
만드는 방법
필수 아미노산이 많아 병후 회복기에 좋아
청어는 예로부터 값이 싸고 맛이 있어 가난한 이들이 즐겨 먹는 고기로 알려져 왔다. ‘명물기략(名物紀略)’에서는 청어를 ‘비웃’이라 했는데 서울의 가난한 선비들이 즐겨 먹으므로 선비들을 살찌게 하는 물고기라고 해서 한자어로 ‘비유어(肥儒魚)’라고도 한다. 또한 지역에 따라 동어(東魚), 눈검쟁이, 과미기, 과목이, 갈청어, 울산치, 과목숙구기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 청어는 다양한 명칭만큼이나 인기 있는 물고기다. 자세히보기
청어 다시마 조림
만드는 방법
발육과 원기 회복에 좋은 양질의 단백질 풍부
조기는 경골어류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생선이다. 석수어(石首魚) 또는 석어(石魚)라고도 한다. 사람의 기운을 북돋워준다는 의미에서 조기(助氣)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흔하고 맛이 있는 것은 노란색이 도는 참조기며, 주로 서해안에서 잡힌다. 조기는 다른 생선에 비해 특별히 영양 성분이 많은 것은 아니지만,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질이 많다. 자세히보기
조기조림
만드는 방법
톳에 함유된 칼슘, 골다공증과 여성의 질염 예방
갈조식물 모자반과에 속하는 톳은 보통 10~60㎝로 자라지만 제주에서 나는 것은 1m 이상 자란다. 김, 미역, 다시마와 함께 우리 몸에 유용한 해조식물 중 하나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문진 이남에서 서해안 장산곶까지 생육하고 남해안과 제주도에서도 잘 자란다. 채집해서 날로 바로 먹을 수 있으나 물에 삶아서 건조시킨 것이 많다. 자세히보기
톳무채영양밥
만드는 방법
우수한 단백질 식품으로 콜라겐 함량 높아
가자미는 경골류 가자미목 붕넙치과에 속한다. 편평한 물고기라는 뜻으로 ‘flatfish’라는 영명이 있으며, 한자어로 비목어(比目魚) 또는 첩이라고 한다. 가자미의 단백질은 생선의 평균량인 20%보다 많다.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 트레오닌이 많은 우수한 단백질 식품으로 지질 또한 풍부하게 들어있다. 자세히보기
삼색 채소와 당면을 곁들인 가자미구이
만드는 방법
중금속 배출 및 콜레스테롤의 혈관 내 침착 방지
홍조류에 속하는 우뭇가사리는 우무의 원료. 지역에 따라 천초, 까사리, 우미, 한천, 가사리 등으로 불리며 생김새가 소의 털과 비슷해 우모초(牛毛草)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의 태평양 연안, 인도네시아 등이 주요 산지다. 미네랄, 요오드, 칼륨 등도 풍부하게 들어있어 저칼로리 식품으로 비만환자에게 적합하다. 자세히보기
옥수수 양갱
만드는 방법
다량 함유한 요오드는 갑상선호르몬의 주요 성분
갈조류, 곤포과에 속하는 미역은 감곽(甘藿), 해채(海菜)라고도 한다. ‘세종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왕자가 탄생하면 반드시 염분(소금 졸이는 가마)과 어량(고기잡는 장치)을 하사하였고 때로는 작전(해조류 채취장)도 하사하였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해조류 채취가 보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바다의 녹황채소로 불릴 만큼 비타민뿐만 아니라 다종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어 일찍부터 애용된 기호식품이다. 자세히보기
미역새알심국
만드는 방법
소화가 잘되고 위에 부담이 없는 식품
성게는 극피동물 성게아문 성게강을 이루는 동물군에 속한다. 섬게라고도 한다. 문헌에서는 섬게, 해구(海毬), 해위(海蝟)라고 한다. 자산어보에서는 보라성게를 한자로 ‘율구합(栗毬蛤)’이라 기록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구살’이라고 부르며 우리말로는 밤송이조개라 한다. 성게의 주성분은 단백질과 지질. 단백질은 생선보다는 적은 편이나 비타민 A가 많아 야맹증 예방과 시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자세히보기
성게 비빔밥
만드는 방법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병에 효과적
우렁쉥이로 측성해초목 멍게과의 해초류에 속하며, 멍게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암수동체다. 바다 밑바닥에 고착하여 살고 있으므로 패류의 일종이라 생각하기 쉬우나 척색동물의 미색류에 속한다. 멍게는 향이 상큼하고 먹고 난 후에도 달콤한 맛이 남는데 이것은 멍게에 함유되어 있는 타우린에 의한 것이다. 항암효과와 체력보강, 식욕증진에 도움을 준다. 자세히보기
멍게 비빔밥
만드는 방법
---조선일보에서---
더많은 자료는
http://cafe.naver.com/ok2011kr
부동산[急]매물.정부정책.건강.의료.
국내외 석학의 강연... 이제부터
[즐거운부동산세상]에서 찾아보세요
여러분 [항상 건강]하시고 올〜핸 꼭 [부자]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