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월판의 구조
대퇴골과 경골 융기사이에는 내측 외측 반월판이 있다
반달모양의 층판구조이고 각각의 앞과 뒤는 뿔모양이며 단면적은 삼각형이다
위와 아래면은 대퇴와 경골융기와 각각 맞닿으며 주변부는 관절낭의 활액막에 부착되어있다
앞뒤의 뿔은 경골의 앞과 뒤 융기사이 오목에 고정된다
내측반월판의 뿔은 외측보다 더 떨어져 있어서 내측은 거의 반달 또는 초승달모양이고 외측은 대부분 원형 또는 고리 모양이다
경골면과 반월판사이의 움직임은 경골 가장자리와 반월판 주변을 연결하는 관상인대에 의해 제한된다
내측반월판의 관상인대는 외측관상인대보다 더 짧고 강하다
무릎의 내측측부인대는 내측반월판의 가장자리와 심부섬유로 부착된다
외측반월판은 측부인대와 연결되지 않는다
이런 해부학적 차이가 내측반월판이 손상받기 쉬운이유이다
반월판에는 몇 개의 근섬유가 부착한다
슬와근은 외측반월판후면에 섬유화된 부착부를 보내고 반막모양근의 건도 일부섬유를 내측반월판 가장자리로 보낸다
반월판은 통증에 민감한 구조를 포함하지않아 외상에 둔감하다
반월판주변30%는 혈액공급이 가능하다
내측혈액공급이 되지않는 부위는 활액의 확산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반월판의 내측부위는 뿔부위가 부착하여 경골편평부에서 경골과 함께 움직인다
각반월판의 몸통은 대퇴융기주변에 고정되어 대퇴와 함께 움직인다
대퇴와 경골의 움직임동안 반월판의 비틀림은 피할수 없다
외측반월판의 뿔부분은 몸통과 가까이 부착되고 몸통이 더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비틀림이 더하다
무릎이 굴곡하는동안 반월판의 몸통은 더 후방으로 움직이고 신전하는동안은 앞으로 움직인다
외측회전에서 반월판은 정확하게 대퇴융기의 이동을 따르는데 이것은 외측반월판은 경골위에서 앞쪽으로 밀리고 내측반월판은 뒤로 당겨지기 때문이다
내측관상인대의 앞부분 내측면은 긴장상태가 된다
같은 효과가 내측에서 일어난다
내측회전에서 내측반월판은 앞쪽으로 밀리고 외측반월판은 뒤로 당겨진다
반월판의 기능
1,체중분산
-직립시 슬관절에 부하되는 체중의 40-60%반월상 연골을 통해서 전달
2.외력의 분산
3.대퇴골및 경골의 접촉면을 증가시켜 관절면에 가해지는 stress을 분산감소시켜 관절연골을 보호
4.활액을 관절에 골고루 분산시켜 윤활기능을 촉진 관절운동시 활액막이 관절사이에 끼는것 방지
5.무릎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신전을 제한하는 screw home 기전으로 대퇴에 대해 경골의 외회전 굴곡시 열림위치에서 대퇴에 대해 경골의 내회전이 일어남
6.반월상 연골은 무혈성 조직 가장자리 3-5mm혈액공급을 받고잇어서 이부분손상은 봉합술로 치유가능
첫댓글 숫자부터. ㅎㅎ ㅎ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