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강공포집회방광궤의관자재보살삼세최승심명왕경
金剛恐怖集會方廣軌儀觀自在菩薩三世最勝心明王經
개부의동삼사특진시홍려경숙국공식읍삼천호사자증사공익대감정호대광지대흥선사삼장사문 불공봉 조역
開府儀同三司特進試鴻臚卿肅國公食邑三千戶賜紫贈司空謚大鑑正號大廣智大興善寺三藏沙門 不空奉 詔譯
서품 제일
序品 第一
1. 서품
여시아문 일시 불 재보봉대산보간착봉궁전지중 기처백천보개 종종행수
如是我聞。一時, 佛 在寶峰大山寶間錯峰宮殿之中。其處百千寶蓋 種種行樹。
열의향화 포산엄식 제대아라한 대목건련 사리불 아난등 천이백오십인
悅意香華 布散嚴飾。諸大阿羅漢 大目乾連 舍利弗 阿難等。千二百五十人
전후위요 부여무량보살 금강수보살 만수실리보살 보당보살등 위상수구
前後圍遶。復與無量菩薩 金剛手菩薩 曼殊室利菩薩 寶幢菩薩等 爲上首俱。
부유비사문 만현 반지가 범왕 제석 나라연 천룡야차 나찰 필리다
復有毘沙門。滿賢。半旨迦。梵王 帝釋 那羅延 天龍藥叉。羅刹。必哩多。
비사차 긴나라 마호라가등 백천권속 주잡이주 공경공양
毘舍遮。緊那羅 摩呼羅伽等 百千眷屬。周匝而住 恭敬供養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보봉대산의 보배로
사이를 장식한 봉우리의 궁전에 계셨다.
그곳은 백천 개의 보배 덮개와 갖가지 나무가 늘어서 있고,
열의(悅意:만다라화)와 향과 꽃을 널리 뿌려서 장엄하였다.
모든 대아라한인 대목건련과 사리불과 아난 등 1천250 인이 앞뒤로 둘러싸고,
다시 금강수보살과 만수실리보살과 보당보살 등을 상수로 하는
한량없는 보살들과 함께 있었고, 또 비사문과 만현과 반지가와 범왕과 제석과
나라연과 천・용・야차・나찰・필리다・비사차・긴나라・마호라가 등
백천의 권속이 두루 둘러싸고 공손히 공양을 올리며 머물러 있었다.
비사문 - 산스크리트로 Vaiśravaṇa. 사천왕의 하나.
다문(多聞)ㆍ보문(普門)ㆍ편문(遍聞)ㆍ종종문(種種聞)이라 번역한다.
베다시대부터 있었던 신으로 암흑계의 악령들을 통솔하며 재물과 복덕을 담당하는 신이다.
수미산 중턱 제4층의 수정타(水精埵)에 있으며, 야차ㆍ나찰 두 귀신을 영솔한다.
북방의 수호와 세상 사람들에게 복을 주는 일을 맡았으므로 북방천이라고도 한다.
늘 부처의 도량을 수호하면서 불법을 들었으므로 다문천(多聞天)이라고도 한다.
형상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태장계 만다라의 금강부원의 북방에 그린 것은 몸에 갑주를 입고,
왼손에 탑을 들고, 오른손에 보배봉을 잡은 좌상(坐像)이다.
만현 - 8대야차 가운데 하나이다.
만현(滿賢)은 곧 포로나발타라(布嚕那跋陀羅,Pūrṇa- bhadra)를 말한다.
반지가 - 8대야차 가운데 하나. 반지가(半只迦, Pañcika)는 곧 밀주(密主)ㆍ밀신(密身)이다.
비사차 - 산스크리트로 piśāca. 비사차(毘舍遮)⋅비사자(毘舍闍)라고도 한다.
고기를 먹는 귀신의 이름이다.
이시 여래좌어잡보간착대사자좌 위관자재보살등 설보리살타행문법요
爾時 如來坐於雜寶間錯大師子座。爲觀自在菩薩等。說菩提薩埵行門法要
시 관자재보살마하살대비자 요불삼잡 편단우견 우슬착지 합장공경 이백불언
時 觀自在菩薩摩訶薩大悲者。遶佛三匝 偏袒右肩。右膝著地 合掌恭敬。而白佛言
세존 아유일법 생애락환희 대비근용심 생이익안락 가호유정
世尊 我由一法 生愛樂歡喜。大悲勤勇心 生利益安樂。加護有情。
소위 자심명왕지왕 명삼세최승 아금욕설시법
所謂 自心明王之王。名三世最勝。我今欲說是法。
이 때에 여래께서는 다양한 보배로 사이를 장식한 대사자좌에 앉으셔서
관자재보살 등을 위하여 보리살타 수행문의 법요를 말씀하셨다.
그 때 대비한 관자재보살마하살이 부처님 둘레를 세 번 돈 후에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채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합장하여
공손히 예를 올리고 나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한 법에 의하여 사랑하고 좋아하는 마음, 기뻐하는 마음,
크게 가엾이 여기는 마음, 부지런하고 굳건한 마음을 내어
유정들을 이익되게 하고 안락하게 하고 가호하였나이다.
이른바 자심명왕의 왕으로서 이름을 삼세최승이라 하오니
제가 이제 이 법을 말하고자 하나이다.”
불언 마하살타 여금설지
佛言 摩訶薩埵 汝今說之。
시 관자재보살 승불교지 즉설자심진언왈
時 觀自在菩薩 承佛敎旨。卽說自心眞言曰
나모 라다나 다라 야야
曩謨 囉怛曩(二合)怛囉(二合)夜也(一)
나막 아 리야 바로기뎨 새바 라 야
曩莫 婀(引)哩夜(二合)嚩路枳帝 濕嚩(二合)囉(引)也(二)
모디사다바 야 마하 사다바 야
冒地薩怛嚩(二合引)也 摩訶(引)薩怛嚩(二合引)也(三)
마하가 로 니가 야 다냐— 타 바나마 바니
摩訶迦(引)嚕 抳迦(引)也(四) 怛儞也(二合)他(五引) 跛納麽(二合三稱)播抳(六)
사라 사라 예혜예 혜 바가밤
娑囉 娑囉(七) 曀係曳(二合)呬(八) 婆誐鍐(九)
나 리야 바로기뎨 새바 라 아 로륵
曩(引)哩夜(二合) 嚩路枳帝 濕嚩(二合)囉 婀(引)嚕力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하살타여, 그대가 이제 그것을 말하라.”
그 때 관자재보살이 부처님의 교지를 받들어 곧 자심의 진언을 송하였다.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나막아리야바로기뎨새바라야 모디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가야 다냐— 타 바나마바니 사라 사라 예혜예혜 바가밤
나리야바로기뎨새바라 아로륵
(namo ratnatrayāya namo āryaavaloketeśvaraya bodhisatvaya mahāsatvaya
mahākāruṇikāya tad yathā padmapaṇi sara sara ihyahi bhagavan āryaavaloketeśvara
arolik)
부설두진언왈
復說頭眞言曰
나모 라다나 다라 야야
曩謨 囉怛曩(二合)怛囉(二合)夜也(一)
나막 아 리야 바로기뎨 새바 라 야 옴 아
曩莫 婀(引)哩夜(二合) 嚩路枳帝 濕嚩(二合)囉(引)也(二) 唵 惡(引)
다시 두진언으로 송한다.
나모 라다나다라 야야 나막 아리야 바로기뎨 새바라야 옴 아
(namo ratnadrayāya namo aryaavaloketeśvaraya oṃ ā)
정진언왈
頂眞言曰
옴 아 훔
唵 噁(引) 吽
정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훔(oṃ āḥ hūṃ)
안진언왈
眼眞言曰
옴 아 아바 라
唵 惡(引) 入嚩(二合)攞
안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아바 라 (oṃ āḥ jvala)
심진언왈
心眞言曰
옴 아 바타
唵 噁(引) 發吒(半音)
심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바닥(oṃ āḥ phaṭ)
피갑진언왈
甲冑眞言曰
옴 아 만다
唵 噁(引) 滿馱
갑주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만다(oṃ āḥ bandha)
검진언왈
劍眞言曰
옴 아 다라 사
唵 噁(引)怛囉(二合引)娑
검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다라 사(oṃ āḥ trava)
배진언왈
排眞言曰
옴 아 미사보 라
唵 噁(引) 尾塞普(二合)囉
배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미사보라(oṃ āḥ bisphoṭa)
전진언왈
箭眞言曰
옴 아 하나
唵 噁(引) 賀曩
전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하나(oṃ āḥ hana)
망진언왈
網眞言曰
옴 아 나하
唵 噁(引) 娜賀
망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나하(oṃ āḥ daha)
장진언왈
牆眞言曰
옴 아 나라 ㄱ사
唵 噁(引) 捺囉(二合)乞叉(二合)
장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나락 —사(oṃ āḥ trakṣa)
최상심진언왈
最上心眞言曰
옴 아 하리 나유 다라
唵 噁(引) 紇哩(二合)娜庾(引)跢囉
최상심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하리 나유다라(oṃ āḥ hrīḥ nayotara)
경각심진언왈
警覺心眞言曰
옴 아 하리 나유 조 나남
唵 噁(引) 紇哩(二合)娜庾(一)袒(引)娜南
경각심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하리 나유조나남(oṃ āḥ hrīḥ nayotanāṃ)
심발생진언왈
心發生眞言曰
옴 아 하리 나유나바 바
唵 噁(引) 紇哩(二合)娜庾納婆(二合)嚩(入)
심발생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하리 나유나바바(oṃ āḥ hrīḥ nayodbhava)
륜진언왈
輪眞言曰
옴 아 바라 사바 라
唵 噁(引) 缽囉(二合)塞頗(二合)囉
윤진언으로 송한다.
옴 아 바라사바라(oṃ āḥ prasphara)
관자재보살 재설삼세승등 대심진언 삼천대천세계 육종진동
觀自在菩薩 纔說三世勝等 大心眞言。三千大千世界 六種震動。
제천종공 우미묘화 일체한수지옥 개득온적 내지 아비지옥 제열지옥
諸天從空 雨微妙華。一切寒水地獄。皆得溫適。乃至 阿鼻地獄 諸熱地獄
개득청량 광명조요상 지아가니타천 재어공중 백천음악 불고자명 천룡야차
皆得淸涼。光明照曜上 至阿迦尼吒天。在於空中 百千音樂 不鼓自鳴。天龍藥叉
긴나라등 함개찬탄 여래급관자재보살 제마장자 비나야가등 전도호곡
緊那羅等。咸皆讚歎 如來及觀自在菩薩。諸魔障者 毘那夜迦等 戰掉號哭。
제천동음 이가타찬양왈
諸天同音 以伽他讚揚曰
선재선재대비신 선재이익발고자 선재선재대살타 선재성취일체의
善哉善哉大悲身 善哉利益拔苦者 善哉善哉大薩埵 善哉成就一切義
관자재보살이 삼세승 등의 대심진언을 송하자마자
삼천대천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고 모든 천이 허공에서 미묘한 꽃비를 내리며
모든 한빙지옥은 알맞게 따뜻해지고, 아비지옥과 모든 열지옥은
모두 청량하게 되었다.
광명이 비추어서 위로 아가니타천까지 이르며 공중에서는 백천 가지의 음악이
두드리지 않아도 저절로 울리고 천ㆍ용ㆍ야차ㆍ긴나라 등은 모두 함께
여래와 관자재보살을 찬탄하며 모든 마장을 일으키는 비나야가 등은
두려워 벌벌 떨며 소리 내어 울부짖었다.
모든 천이 한 목소리로 게송[伽他]을 읊어 찬양하였다.
훌륭하고 훌륭하십니다. 대자대비하신 분이시여.
훌륭하십니다. 이익되게 하시고 고통을 없애주시는 이여.
훌륭하고 훌륭하십니다. 위대한 살타여.
훌륭하십니다. 모든 의리를 성취하신 이여.
아가니타천 - 산스크리트로 Akaniṣṭha. 색구경천(色究竟天)이라 번역한다.
색은 만법, 구경은 최상의 뜻이기 때문에, 만법의 가장 수승한 장소이다.
이시 관자재보살 설시명왕이 백불언
爾時 觀自在菩薩 說是明王已。白佛言
세존 차심진언 능식제질환 능성취일체의리 능조복능증익
世尊 此心眞言。能息諸疾患 能成就一切義利。能調伏能增益。
능이락 능안주 무상삼매 능령행어공의 능개복장 능제일체고독지주사헐등독
能利樂 能安住 無相三昧。能令行於空義 能開伏藏。能除一切蠱毒蜘蛛蛇蠍等毒。
령일체유정경념 능령이사자갱생 능호사자호낭웅비적난 능파염도주저
令一切有情敬念。能令已死者更生。能護師子虎狼熊羆賊難。能破厭禱咒詛。
능성취여의주현병 우보륜검 신선연화만 조관념주 능갈대해강하
能成就如意珠賢甁。雨寶輪劍。神線蓮華鬘。澡罐念珠。能竭大海江河。
능성변천제음식 능시현제천궁전자기수용 능진동수미산왕 능초소일체수목
能成辦天諸飮食。能示現諸天宮殿恣其受用。能震動須彌山王。能招召一切樹木。
단심욕작수의개성 아왕석보만보당미늑겁중 이설지법 급미설자 개능성변
但心欲作隨意皆成。我往昔寶鬘寶幢彌勒劫中 已說之法。及未說者 皆能成辦。
이 때 관자재보살이 이 명왕을 말하고 나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심장의 진언은 모든 질환을 그치게 하고 모든 의리를 성취하며,
조복시키고 증익하게 하며, 이익하고 안락하게 하며,
무상삼매에 편안히 머무르게 하며, 공의 뜻을 행하게 하며,
복장을 열어 보이게 하며, 모든 독충ㆍ거미ㆍ뱀ㆍ전갈 등의 독을
제거해 주며, 모든 유정들이 공경하는 마음을 갖게 하며,
이미 죽은 이를 다시 살아나게 하며,
사자ㆍ호랑이ㆍ이리ㆍ곰ㆍ말곰과 도적 등의 어려움으로부터 보호하며,
귀신에게 기도하여 저주하는 일을 깨뜨리며, 여의주와 현병에서 보배와 윤과
검과 신선ㆍ연꽃 화만ㆍ조관ㆍ염주를 비 오듯 내리게 하며,
큰 바다와 강을 마르게 하며, 천인의 온갖 음식을 만들며,
모든 천궁을 나타내 보여서 마음대로 받아쓰게 하며,
수미산왕을 진동하게 하며, 모든 수목을 불러들일 수 있게 하오니
다만 마음으로 바라기만 하여도 뜻대로 이루어지게 하며,
제가 옛적 보만보당미륵겁에 이미 말한 법과
아직 말하지 않은 법도 모두 이루어지게 하나이다.”
복장 - 땅속에 매장되어 있는 보물.
현병 - 산스크리트로 kalaśa. 또는 갈라사(羯羅舍ㆍ羯扌羅賖)라고 한다.
의역하면 보병(寶甁)ㆍ현병(賢甁)ㆍ병(甁)이다.
이것은 5보(寶)ㆍ5향(香)ㆍ5약(藥)ㆍ5곡(穀) 및 향수 등을 가득 채워서
만다라의 제존에 공양하는 데에 사용하는 병이다.
신선 - 금강선(金剛線, vajra-sūtra)을 가리킨다. 관정할 때에 관정 받는 자에게 수여하는 사선(絲線).
혹은 수법단(修法壇: 曼荼羅) 위의 금강궐(金剛橛: 단 위의 네 모퉁이에 세운 기둥) 사이에
묶는 것을 금강선이라 칭한다.
다섯 가지 색의 실을 꼬아서 만들며, 아울러 양쪽 선 끝의 결합하는 곳에
세 개의 금강결(金剛結)을 만들므로 이런 칭호가 있게 되었다.
성취사품 제이
成就事品 第二
2. 성취사품
이시 관자재보살 백불언 세존 약유선남자선녀인 약지약송 차심진언
爾時 觀自在菩薩 白佛言。世尊 若有善男子善女人。若持若誦 此心眞言。
수미가공 어일체포외지중 즉능위호 일체질병 개불착신 소출언하 령인신수
雖未加功。於一切怖畏之中 卽能衛護。一切疾病 皆不著身。所出言訶 令人信受。
령일체중생 개생경념 일체천급귀신 야차 나찰 필리다 비사차 건달바
令一切衆生 皆生敬念。一切天及鬼神 藥叉 羅刹 必里多 毘舍遮 乾闥婆
마호라가등 불감침범 종무비명요수등사 불타제악도중 일체시창고영일
摩呼囉伽等 不敢侵犯。終無非命夭壽等事。不墮諸惡道中。一切時倉庫盈溢。
득대총지 능제일체질병 명종지후 당생유불국토 성취색상 아선소설
得大總持 能除一切疾病。命終之後。當生有佛國土 成就色相。我先所說
마두관자재법문 개이차진언성취
馬頭觀自在法門。皆以此眞言成就。
이 때 관자재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이 심진언을 지니거나 염송하면
비록 가행하지 않더라도 온갖 두려움 속에서 그들을 위호하고
질병이 그들의 몸을 침범하지 못하게 하며,
그들이 하는 말을 다른 사람들이 믿어 받아들이게 하며,
모든 중생들이 그들을 존경하는 생각을 갖도록 하며,
모든 귀신ㆍ야차ㆍ나찰ㆍ필리다ㆍ비사차ㆍ건달바ㆍ마호라가 등이
감히 그들을 침범하지 못하게 하고
마침내 비명횡사나 요절하는 일이 없게 하며,
악도에 떨어지지 않게 하고 언제나 창고가 가득 차 넘치게 하며,
대총지를 얻게 하고 온갖 질병을 없애 주며, 목숨이 다한 뒤에는 부처님이 계신
국토에 태어나 색상을 성취하도록 하고, 제가 전에 말한 마두관자재법문도
모두 이 진언에 의하여 성취되었나이다.
세존 수행자 욕득실지 선이오정 정기신온 급도식처소 종사구수 진언법칙
世尊 修行者 欲得悉地。先以五淨 淨其身蘊。及塗飾處所。從師口授 眞言法則。
차대불상 유식어유 이향화등만 음식공양 내지 칠일무한념송
且對佛像 唯食於乳。以香花燈鬘 飮食供養。乃至 七日無限念誦。
세존이시여, 수행자가 실지를 얻고자 하면 먼저 5정으로 몸을 청정히 하고
머무는 곳을 칠한 후, 스승에게서 입으로 전해 받은 진언법칙에 따라,
우선 불상 앞에서 오직 우유만 먹고 향ㆍ꽃ㆍ등불ㆍ꽃다발ㆍ음식 등을 공양하며
7일 동안 무한히 염송해야 합니다.
5정 - 유(乳)ㆍ낙(酪)ㆍ소(酥)와 땅에 떨어지지 않은 황소의 오줌(尿)과 똥(糞)을 말한다.
인도의 습속(習俗)으로는 소를 범천(梵天)의 사자(使者)라 인정하기에 성스러운 소[聖牛]라 하여
존중한다. 따라서 그 소의 오줌과 똥을 정물(淨物)로 삼는다.
종차지후 당화본존 방원일주 리제모발 화인응수팔계 신기조색 물용피교
從此之後 當畫本尊。方圓一肘 離諸毛髮。畫人應受八戒。新器調色 勿用皮膠。
중화아미타여래 좌백연화 우수주어시원 우화관자재보살 신상백색
中畫阿彌陀如來。坐白蓮華。右手住於施願。右畫觀自在菩薩。身相白色
호피위군 백파리보 이위요조 이흑녹피 각락이피 주백연화 좌수지백연화
虎皮爲裙。白玻璃寶 以爲腰絛 以黑鹿皮 角絡而披。住白蓮花。左手持白蓮華
우수시원 무영락비천
右手施願。無瓔珞臂釧。
이렇게 한 다음에 반드시 본존의 상을 그려야 하오니,
1주크기의 사각형이나 원형 화폭을 사용하되 우선 티끌을 털어 냅니다.
그림 그리는 사람은 반드시 8계를 받은 이라야 하며,
새 그릇에 물감을 조색하되 가죽이나 아교는 결코 쓰지 말아야 합니다.
중앙에 아미타여래께서 백련화에 앉아 오른손은 시원인을 결하시며
머물러 있는 모습으로 그리고,
오른쪽에는 관자재보살이 흰색 몸에 호랑이 가죽으로 만든 군자를 입고
하얀 파려보로 만든 허리띠를 두른 채 검은 사슴의 가죽과 뿔로 만든 낙자를
두르고 백련화 위에 머물러 왼손은 백련화를 들고 오른손은 시원인을
결하고서 팔찌와 영락이 없는 모습으로 그립니다.
좌화금강수보살 신적백색 착종종보영락 수지백불 작불여래세 불보살등
左畫金剛手菩薩。身赤白色 著種種寶瓔珞。手持白拂 作拂如來勢。佛菩薩等
개고시행인 행인어불하화 우슬착지 수집향로 첨앙성자 상성이
皆顧視行人。行人於佛下畫。右膝著地 手執香爐。瞻仰聖者。像成已。
왼쪽에는 금강수보살이 적백색의 몸에 갖가지 보배로 된 영락을 두르고
손에 하얀 불자를 들고서 여래를 향하여 불자로 터는 모습을 그립니다.
부처님과 보살들은 모든 수행인을 돌아보고, 수행인은 부처님 아래에서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고 손에 향로를 들고 성자를 우러러보는 모습을 그려서
형상 그리기를 마칩니다.
약시재가행인 구지팔계 삼시조욕 삼시환의 응착청정백의 종월일일기수
若是在家行人 具持八戒。三時澡浴 三時換衣。應著淸淨白衣。從月一日起首。
이백화공양불상 어상전이향니 작일천솔도파 어차솔도파전 작선행성취법
以白花供養佛像。於像前以香泥 作一千窣堵波。於此窣堵波前 作先行成就法。
만일 재가수행인이라면 8계를 갖추어 수지하고
세 번 목욕하고 세 번 옷을 갈아입되 반드시 청정한 흰 옷을 입어야 합니다.
초하루에 시작하니 불상에 흰 꽃을 공양하고 불상 앞에 향기로운 진흙으로
천 개의 탑을 만들어 놓고 이 탑 앞에서 먼저 성취법을 행합니다.
약송일낙차 일체천범왕 마혜수라 나라연 구마라 칠모천급가루라등 개대용약
若誦一洛叉。一切天梵王 摩醯首羅 那羅延 俱摩羅 七母天及迦樓羅等 皆大踊躍。
즉당입일체만다라삼매야 일체진언 개득성취
則當入一切曼荼羅三昧耶。一切眞言 皆得成就。
송이낙차 비사문왕등 일체야차 개대환희
誦二洛叉。毘沙門王等 一切藥叉 皆大歡喜。
송삼낙차 일체금강부중진언 개득성취
誦三洛叉。一切金剛部中眞言 皆得成就。
송사낙차 일체여래부족진언 개득성취
誦四洛叉。一切如來部族眞言 皆得成就。
만약 1낙차 번 염송하여 범천왕ㆍ마혜수라ㆍ나라연ㆍ구마라ㆍ칠모천ㆍ
가루라 등이 모두 뛸 듯이 크게 기뻐하면 반드시 만다라삼매야에 들어
모든 진언이 성취됩니다.
만약 2낙차 번 염송하면 비사문왕 등 모든 약차가 크게 기뻐하며,
3낙차 번 염송하면 금강부의 진언이 모두 성취됩니다.
만약 4낙차 번 염송하면 일체여래부족의 진언이 모두 성취됩니다.
칠모천 - 염마천(焰摩天), 혹은 대흑천(大黑天)의 권속을 가리킨다.
7녀귀(女鬼)라고 하며, 또는 7마달리천(摩怛里天)ㆍ7모녀천(母女天)ㆍ7자매(姊妹)ㆍ
7모(母)라 한다.
『대일경소』 권16에 실려 있는 7모(母)는 염마천(焰摩天)의 권속이다.
『대일경의석』 권7에 그 명칭이 아래와 같이 나열되어 있다.
염마천모(炎魔天母), 즉 좌민나(左悶拏, Cāmuṇḍā)ㆍ
구폐라천모(俱吠羅天母), 즉 교폐리(嬌吠哩, Kauverī)ㆍ
비유천모(毘紐天母) 즉, 폐슬나미(吠瑟拏微, Viṣṇavī)ㆍ
동자천모(童子天母), 즉 교마리(嬌麽哩, Kaumārī)ㆍ
제석천모(帝釋天母), 즉 연날리(燕捺利, Indrī)ㆍ
폭악천모(暴惡天母), 즉 노날리(咾捺哩, Raudrī)ㆍ
범천모(梵天母) 즉 말나희미(末羅呬弭, Brāhmī).
행자 선승사법이。대어상전 송일낙차。제이어산간 송이낙차。제삼하안변
行者 先承事法已。對於像前 誦一洛叉。第二於山間 誦二洛叉。第三河岸邊
송삼낙차。제사어솔도파전 송사낙차이。즉수팔계。삼일대어상전 무한념송。
誦三洛叉。第四於窣堵波前 誦四洛叉已。卽受八戒。三日對於像前 無限念誦。
연후 삼일삼야불식。설광대공양。취연화온삼첨。소만일천。즉종화상 불신지중。
然後 三日三夜不食。設廣大供養。取蓮華搵三甛。燒滿一千。卽從畫像 佛身之中。
당출광명 요어행인。기광변입 관자재정。도량등염 치성증장。어허공중
當出光明 遶於行人。其光便入 觀自在頂。道場燈焰 熾盛增長。於虛空中
문제음악。지변진동 사방명현。행인당지 진언실지。
聞諸音樂。地便震動 四方明顯。行人當知 眞言悉地。
수행하는 자가 옛날부터 계승된 사법을 마치고 나면
불상 앞에서 1낙차 번 염송하고, 두 번째로 산간에서 2낙차 번 염송하며,
세 번째로 강변에서 3낙차 번 염송하고,
네 번째로 탑 앞에서 4낙차 번 염송하고 나서 8계를 받고
3일을 상 앞에서 무한히 염송한 뒤에 3 일 낮 3 일 밤을 먹지 않고
성대하게 공양하며 연꽃을 3첨에 적셔 1천 번 태우면,
반드시 화상의 부처님 몸에서 밝은 빛이 나와 수행하는 사람을 둘러싸고
그 빛이 다시 관자재보살의 정수리로 들어가며 도량에 있는 등불의 불꽃이
더욱 치성해지고 허공에서는 모든 음악이 들려오며 대지가 진동하고 사방이
환해지면, 수행하는 사람은 진언이 성취된 것임을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3첨 - 소(酥)ㆍ우유(牛乳)ㆍ낙(酪)을 말한다.
즉어차시 구삼종원。소위 지명선。무상삼매。자가라말률디야등。
卽於此時 求三種願。所謂 持明仙。無相三昧。斫羯囉靺栗底惹等。
약득지명선원。위명선중륜야。신상미백 발감청색。변성이팔동자지형。순목지간
若得持明仙願。爲明仙中輪惹。身相美白 髮紺靑色。便成二八童子之形。瞬目之間
능왕백천유순。환래본처 수오백천세。명종생안락국。
能往百千由旬。還來本處 壽五百千歲。命終生安樂國。
이 때 세 가지 원을 구하니, 이른바 지명선ㆍ무상삼매ㆍ전륜성왕斫羯囉靺栗底惹 등
입니다.
지명선의 원이 성취되면 지명선 중의 전륜성왕이 되어 몸은 희고 아름다우며,
머리는 감청색인 열여섯 살 소년의 모습이 되고 눈 깜짝할 사이에 백천 유순을
갔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으며 수명은 백천 살로 목숨이 다한 후에
안락국에 태어나게 됩니다.
지명선 - 다라니를 지송하거나 약의 힘으로 신통력을 얻은 선인(仙人)이다.
본래는 바라문교 시바신의 시종(侍從)이었으나, 설산에 머물면서 주력(呪力)을 갖추고
그 소지(所持)한 명주(明咒)를 갖고 밀교 만다라 가운데 들어왔는데
지명약차(持名藥叉)ㆍ성취선중(成就仙衆)ㆍ성취지명선중(成就持明仙衆)ㆍ성취명선(成就明仙)의
네 종류가 있다.
약득무상원。일체무상삼매대중위수。의유소왕。능질일천유순 부귀상소。
若得無相願。一切無相三昧大中爲首。意有所往。能疾一千由旬 復歸常所。
약득제삼원성。위덕자재 수오천세。
若得第三願成。威德自在 壽五千歲。
만약 무상삼매의 원이 이루어지면 모든 무상삼매의 사람들 중에
우두머리가 되어 가고 싶은 곳이 있으면 1천 유순을 갔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으며,
만약 세 번째 원이 이루어지면 위덕이 자재하고 수명은 5천 살이 됩니다.
우 욕성취연화。이자단 각일연화 종광육지。일월식시。어칠중백연화상치지。
又 欲成就蓮華。以紫檀 刻一蓮花 縱廣六指。日月蝕時。於七重白蓮花上置之。
안어상전。여법념송 지삼상현。
安於像前。如法念誦 至三相現。
다시 연화를 성취하고자 하면 가로와 세로가 6지 정도의 자단나무에
연꽃 한 송이를 새겨서 햇빛도 달빛도 없을 때 일곱 겹으로 쌓은
백련화 위에 얹어 상 앞에 놓고 세 가지 상이 나타날 때까지
여법하게 염송합니다.
득난상。위자가라라야。력여천상 수백천세。연상。득무상삼매。어일체무상중
得煖相。爲斫羯囉囉惹。力如千象 壽百千歲。煙相。得無相三昧。於一切無相中
성바라야。어타재육분지중。득자용일분 불성도죄。수천세。
成缽囉惹。於他財六分之中。得恣用一分 不成盜罪。壽千歲。
난상이 나타나면 전륜왕[斫羯囉囉惹]이 되어 힘은 천 마리 코끼리와 같고
수명은 백천살이 되며, 연상이 나타나면 무상삼매를 얻어
모든 무상삼매의 사람들 중에 바라야(鉢囉惹: 生主, 梵王)가 되어
타인의 재물을 여섯으로 나누어 그 중의 한 부분을 마음대로 쓰더라도
도적질이 되지 않고 수명은 1천 살입니다.
염상。변증공의 위지명선 바라야。신여이팔중자 발감청색。
焰相。便證空義 爲持明仙 缽囉惹。身如二八重子 髮紺靑色。
력여육천상。신광위덕 여백천일。수천겁。명종생극락세계。
力如六千象。身光威德 如百千日。壽千劫。命終生極樂世界。
염상이 나타나면 곧 공의 뜻을 증득하고 지명선 중의 발라야가 되어
몸은 열여섯 살 소년과 같고 머리는 감청색이며,
힘은 6천 마리의 코끼리와 같고 몸에서 나오는 빛의 위덕은
백천 개의 태양과 같으며, 수명은 천 겁으로 목숨이 다한 후에는
극락세계에 태어나게 됩니다.
여시등 조관 신선 념주 선장。화만 륜 검 봉몰손니。참월 부 삭 우황 의。
如是等 澡罐 神線 念珠 仙杖。花鬘 輪 劍 棒沒遜尼。鑱鉞 斧 槊 牛黃 衣。
자황 혁사 인계 금강저。불정 발우 가사 복돌지류。개여성취연화 득삼종실지。
雌黃 革屣 印契 金剛杵。佛頂 缽盂 袈裟 伏突之類。皆如成就蓮花 得三種悉地。
이와 같이 조관ㆍ신선ㆍ염주ㆍ선장ㆍ화만ㆍ윤ㆍ검ㆍ봉몰손니ㆍ보습ㆍ도끼ㆍ창ㆍ
우황ㆍ옷ㆍ자황ㆍ가죽신ㆍ인계ㆍ금강저ㆍ불정ㆍ발우ㆍ가사ㆍ단도 등의 종류도
모두 연화를 성취하는 것과 같이하여 세 가지를 성취합니다.”
성취여의보품 제삼
成就如意寶品 第三
3. 성취여의보품
욕성취여의보。송심진언오낙차。즉위선행성취。연후 취일파려보。
欲成就如意寶。誦心眞言五洛叉。卽爲先行成就。然後 取一頗黎寶。
여전성취연화의궤。어일월식시 안어일연화상。염송내지염현。이후심유소구
如前成就蓮花儀軌。於日月蝕時 安於一蓮花上。念誦乃至焰現。已後心有所求
개득만족。
皆得滿足。
“여의보를 성취하려면 심진언을 5낙차 번 염송하여 선행성취의 법을
시행한 뒤에 한 개의 파려보배를 취하여 앞의 연화성취 의궤와 같이
햇빛과 달빛이 모두 없을 때 한 송이 연화 위에 얹어 놓고
염상이 나타날 때까지 염송하면 마음으로 구하는 것을
만족할 만큼 모두 얻습니다.
우 연화온삼첨。호십야우금。우 욕성취현병。여전법성지。
又 蓮花搵三甛。護十夜雨金。又 欲成就賢甁。如前法成之。
우 법욕득야차경복。소말나화온삼첨。호십만즉현기신(시실저리야)
又 法欲得藥叉敬服。蘇末那花搵三甛。護十萬卽現其身(是悉底理也)
또 연화를 3첨에 적셔 10일 밤을 지키면 금이 비 오듯 내립니다.
또 현병을 성취하고자 하면 앞의 법과 같이 하면 이를 성취합니다.
또 약차를 경복시키는 법을 이루고자 하면 소말나화를 3첨에 적셔
10만 번 호마하면 그 몸을 나타내 보여줍니다.[실저리이다.]
실저리 - 산스크리트로 strī. 또는 실질리(悉咥哩)라 하며 여인ㆍ처(妻)의 뜻이다.
우 법일체병자。약견약촉차행인。개득제유。
又 法一切病者。若見若觸此行人。皆得除愈。
우 욕제두통。상기신위아。이수마피두。자환자마。내지 안이심협등
又 欲除頭痛。想己身爲我。以手摩彼頭。自患自摩。乃至 眼耳心脅等
통법역여시。우 유환。복약가지칠편 복지즉유。
痛法亦如是。又 有患。服藥加持七遍 服之卽愈。
우 영아 위귀매소중。가지구나위화이십일편산。와처즉안。
又 嬰兒 爲鬼魅所中。加持俱那衛花二十一遍散。臥處卽安。
또 온갖 병자를 치료하는 법은 이 수행하는 사람을 보거나 어루만지면
모두 다 낫게 됩니다.
또 두통을 없애고자 하면 자기 몸을 나(관자재보살)라고 생각하면서
손으로 그 머리를 어루만지고, 자기 병에 스스로 어루만지며,
눈ㆍ귀ㆍ가슴ㆍ옆구리 등의 통증을 치료하는 법도 이와 같이 합니다.
또 질환이 있을 때 약을 일곱 번 가지하여 먹으면 곧 낫게 됩니다.
또 아기가 도깨비에게 씌었다면 구나위화를 스물한 번 가지하여 뿌리면
누운 자리에서 곧 편안하게 됩니다.
우 인나。이길리마라 장십지。절량두온삼첨 호칠일。취시회화수。
又 人癩。以吉里麽羅 長十指。截兩頭搵三甛 護七日。取是灰和水。
변도피신즉유。칠일총만편 소만단목(고련역득)。
遍塗彼身卽愈。七日總萬遍 燒萬段木(苦練亦得)。
또 문둥병인 사람은 손가락 열 개 길이의 길리마라를 양 끝을 잘라 3첨에 적셔
7일 동안 호마하고 그 재를 물에 타서 환자의 몸에 칠하면 곧 낫게 되는데,
7일 동안 통틀어 단목을 만 개씩 만 번 태워야 합니다.
[고련나무도 역시 가능하다.]
우 욕나아실저리부시가라나。이심수향 온삼첨 호십만편。즉래여위형제。
又 欲曩哦悉底利嚩施迦囉拏。以沈水香 搵三甛 護十萬遍。卽來與爲兄弟。
일송오백량금(사운 목사지절)。
日送五百兩金(師云 木四指截)。
또 용녀경애법(龍女敬愛法: 曩哦悉底利嚩施迦囉拏)을 하고자 하면 침수향을 3첨에 적셔
10만 번 호마하면 곧 와서 더불어 형제자매가 될 것이니
날마다 5백 냥의 금전을 공양한다.
[스승께서 나무를 손가락 네 개 크기로 자르라고 말씀하셨다.]
우 어아상전일송 일헌백연화。지십만매 일체병제。
又 於我像前一誦 一獻白蓮花。至十萬枚 一切病除。
우 욕야차실저리。여전장사지 절백단목。내지십만。즉칠개래 위요행인 작시언。
又 欲藥叉悉底利。如前長四指 截白檀木。乃至十萬。卽七箇來 圍遶行人 作是言。
욕아하소위。약이자사 일공천인식。
欲我何所爲。若以子事 日供千人食。
또 저의 상 앞에서 한 번 염송하고 백련화를 한 송이씩 공양하여
10만 송이에 이르면 모든 병이 없어진다.
또 약차녀[藥叉悉底利]를 원하면 앞에서와 같이
손가락 네 개 길이로 백단목을 잘라서 10만 개에 이르면
곧 일곱 약차녀가 와서 수행인을 둘러싸고
‘내가 무엇을 해주기를 바라는가?’라고 말할 것이니,
만일 자식으로서 섬기게 되면 날마다 천 사람이 먹을 음식을 공하리라.
우 욕천실저리부시가라나。안실향 온삼첨 호십만。즉내자사지。
又 欲天悉底利嚩試迦囉拏。安悉香 搵三甛 護十萬。卽來子事之。
일공천식천의복。
日供天食天衣服。
우 연화 온삼첨 호삼십만。일체복장개현。득이급시일체중생。
又 蓮花 搵三甛 護三十萬。一切伏藏皆現。得已給施一切衆生。
또 천녀경애법[天悉底利嚩試迦囉拏]을 이루고자 하면 안실향을 3첨에 적셔
10만 번 호마하면 천녀가 곧 올 것이니 자식으로서 섬기면 날마다 천계의 음식과
천인들의 의복을 공양하리라.
또 연꽃을 3첨에 적셔 30만 번 호마하면 복장이 모두 드러날 것이니
그것을 취하여 중생들에게 나누어 준다.”
요일체병품 제사
療一切病品 第四
4. 요일체병품
선상전지일낙차。연취연화 온삼첨 호일만편。차백개자 화삼첨 호십만편。
先像前持一洛叉。然取蓮花 搵三甛 護一萬遍。次白芥子 和三甛 護十萬遍。
일체질환 내지 결정업병 개제。
一切疾患 乃至 決定業病 皆除。
“먼저 상 앞에서 1낙차 번 지송한 뒤에 연꽃을 3첨에 적셔 1만 번 호마하고,
다음에 흰 겨자를 3첨에 섞어 10만 번 호마하면
온갖 질환과 결정된 업에 의한 병이 없어진다.
우 귀매소지자。이사병성만향수。각가지만편。종정림지 변용조욕 즉제。
又 鬼魅所持者。以四甁盛滿香水。各加持萬遍。從頂淋之 便用澡浴 卽除。
또 도깨비에게 씌인 사람에게는 향수로 가득 채운 네 개의 병을
각각 만 번씩 가지하여 정수리에서부터 뿌리고
다시 그것으로 목욕시키면 곧 없어진다.
우 한열일일이일 내지 사일등병。염화삼첨 호만편。연취차회 가지칠편。
又 寒熱一日二日 乃至 四日等病。鹽和三甛 護萬遍。然取此灰 加持七遍。
점병인액상 즉유。단 일체병 개여시작。
點病人額上 卽愈。但 一切病 皆如是作。
또 한열이 하루 이틀 내지 나흘 된 병은 소금을 3첨과 섞어 1만 번 호마한 뒤에
그 재를 취하여 일곱 번 가지하여 환자의 이마에 점을 찍으면 곧 낫게 되니
다른 병에도 모두 이와 같이 한다.
우 약유귀매 내지 비사차 다길니등 소지자。심송고시 즉제。
又 若有鬼魅 乃至 毘舍遮 荼吉尼等 所持者。心誦顧視 卽除。
우 가지우두지백팔편。휘피귀매 소지자。변설소연。심소욕 개능령작。
又 加持右頭指百八遍。揮被鬼魅 所持者。便說所緣。心所欲 皆能令作。
우 욕문삼세사。취동남혹동녀。의법조욕。도일소단。변피신 이백단 룡뇌향
又 欲問三世事。取童男或童女。依法澡浴。塗一小壇。遍彼身 以白檀 龍腦香
도지。이말리화위만。계어두상。송진언백팔편。즉거지일주 설소문사。
塗之。以末利花爲鬘。繫於頭上。誦眞言百八遍。卽去地一肘 說所問事。
(광주 유차화향 백이감백색향 감혹은전 소말나등 대지역득)
(廣州 有此花香 白而甘白色香 甘或銀錢 蘇末那等 代之亦得)
또 도깨비 또는 비사차, 다길니 등에게 씌인 사람이 있으면
마음으로 염송하면서 그들을 바라보면 곧 없어진다.
또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108번 가지하여 도깨비에게 씌인 사람의 옷을 흔들면
곧 인연 있는 일을 말할 것이니 마음에 바라는 것을 모두 할 수 있다.
또 3세의 일을 묻고 싶으면 동남 또는 동녀를 법에 따라 목욕시키고
한 개의 소단과 아이의 몸 전체에 백단향과 용뇌향을 바르고
말리화로 화만을 만들어 머리 위에 동여매 놓고 진언을 108번 염송하고
단지에서 1주 떨어져서 묻고 싶은 일을 말한다.
[광주에 흰색 또는 감백색인 말리꽃과 말리향이 있다.
감향 혹은 은전, 소말나 등을 대신 써도 된다.]
다길니 - 산스크리트로 Ḍākinī. 의역하여 공행모(空行母). 또는 나길녕(拏吉寧)ㆍ나길니(拏吉尼)ㆍ
나지이(拏枳儞)ㆍ다기니(荼耆尼)ㆍ다지니(荼枳尼)ㆍ다길이(荼吉儞)ㆍ타기니(陀祇尼)ㆍ
타지니(咤枳尼)라 한다.
우 욕아몽중 설삼세사。연화 온삼첨 호십만편。
又 欲我夢中 說三世事。蓮華 搵三甛 護十萬遍。
우 유위사소설 내지 제병매병등。수행인 심소욕가지 개제。
又 有爲蛇所囓 乃至 諸病魅病等。隨行人 心所欲加持 皆除。
또 내가 꿈에서 3세의 일을 말해 주기 원하면 연꽃을 3첨에 적셔
10만 번 호마하며,
또 뱀에게 물리거나 온갖 병과 도깨비병 등에는
수행하는 사람이 하고 싶은 만큼 가지하면 모두 없어진다.”
일체유정경념품 제오
一切有情敬念品 第五
5. 일체유정경념품
상전송삼낙차。성선행법。연이향니 작솔도파 십만구。어전이소말나화。온삼첨
像前誦三洛叉。成先行法。然以香泥 作窣堵波 十萬區。於前以蘇末那花。搵三甛
호만편。즉득실지。이후 일체시송념 변득풍요。
護萬遍。卽得悉地。已後 一切時誦念 便得豐饒。
“상 앞에서 3낙차 번 염송하여 먼저 행해야 할 법을 성취한 뒤에
향기로운 진흙으로 10만 구의 탑을 만들고
그 탑 앞에서 소말나화를 3첨에 적셔 만 번 호마하여 실지를 얻고,
그 뒤에 항상 염송하면 곧 풍요롭게 된다.
우 욕라야경애。안실향 온삼첨 호만편。즉겸제권속 여동복경사。
又 欲囉惹敬愛。安悉香 搵三甛 護萬遍。卽兼諸眷屬 如僮僕敬事。
우 령재관여상。회향자 온삼첨 호만편。
又 令宰官如上。迴香子 搵三甛 護萬遍。
우 령일취낙유정 여상。안실향 회향자 상화。호일낙차 수의。
又 令一聚落有情 如上。安悉香 迴香子 相和。護一洛叉 隨意。
유피청연화 온삼첨 호십만。일성소경애。유피청연화 호만편。일체성읍 환희。
由彼靑蓮華 搵三甛 護十萬。一城所敬愛。由彼靑蓮華 護萬遍。一切城邑 歡喜。
유도안고 견개열。
由塗眼故 見皆悅。
또 왕경애법(王敬愛法: 囉惹敬愛)을 이루고자 하면
안실향을 3첨에 적셔 만 번 호마하면
곧 그 왕이 그 권속들과 함께 동복처럼 공경하여 섬긴다.
또 재상과 관리들을 앞의 법과 같이 하도록 하려면 회향자를 3첨에 적셔
만 번 호마한다.
또 한 마을의 유정들을 앞의 법과 같이 하게 하려면
안실향과 회향자를 서로 섞어 1낙차 정도 마음에 정한 대로 호마하며,
청련화를 3첨에 적셔 10만 번 호마하면 한 성에 있는 유정들의 경애를 받으며,
청련화를 만 번 호마하면 모든 성읍의 유정들이 기뻐한다.
백팔가지안선나。유백팔가우황고 점액。소향개경애。
百八加持安善那。由百八加牛黃故 點額。所向皆敬愛。
유송진언이십일。가지창포청목향。논의쟁송획승。교명언사 인개신수。
由誦眞言二十一。加持菖蒲靑木香。論議諍訟獲勝。敎命言辭 人皆信受。
유가의만식과등。수소여인 개열희。유가안선나낙차 일체복장。도안 견원후 사자
由加衣鬘食果等。隨所與人 皆悅喜。由加安善那洛叉 一切伏藏。塗眼 見猿猴 師子
호랑 웅비 서낭 야묘 사서등。결삭칠결가지고。여시공포 개원리。
虎狼 熊羆 鼠狼 野貓 蛇鼠等。結索七結加持故。如是恐怖 皆遠離。
안선나를 108번 가지하여 눈에 칠하면 온갖 즐거운 것이 보이며,
우황을 108번 가지하여 이마에 점을 찍으면
만나는 이들이 모두 공경하고 사랑하며,
진언을 스물한 번 염송하여 창포ㆍ청목향을 가지하면 논의와 다툼에서 이기고,
명령이나 말을 사람들이 모두 믿고 받아들이며, 옷ㆍ화만ㆍ음식ㆍ과일 등을
가지하여 보시하면 함께 있는 사람도 따라서 모두 기뻐하고,
안선나를 낙차 번 가지하여 눈에 칠하면 온갖 복장과 원숭이ㆍ사자ㆍ호랑이ㆍ
이리ㆍ곰ㆍ말곰ㆍ족제비ㆍ살쾡이ㆍ뱀ㆍ쥐 등이 보이고, 결삭을
일곱 번 매듭지어서 가지하면 이들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된다.”
안선나 - 산스크리트로 añjana. 안약(眼藥)의 이름. 눈 가장자리를 푸르고 검게 바르는 데에도 사용.
안선나(安禪那)ㆍ안사나(安闍那)라고도 한다. 그 색은 청흑색이다.
일설에는 식물의 일종이라 하며 그 잎을 안약과 섞어서 사용한다고 한다.
의리성취품 제육
義利成就品 第六
6. 의리성취품
송사낙차。즉선행성취。방이백색향화。온삼첨 호낙차。즉득실지。
誦四洛叉。卽先行成就。方以白色香華。搵三甛 護洛叉。卽得悉地。
유심향혹룡뇌향 호낙차。일획천금전。유울금향호。행인 변득무진의。
由沈香或龍腦香 護洛叉。日獲千金錢。由鬱金香護。行人 便得無盡衣。
“4낙차 번 염송하여 선행성취법을 시행한 뒤에 흰색 향과 꽃을 3첨에 적셔
낙차 번 호마하면 실지를 얻게 된, 침향 또는 용뇌향을 낙차 번 호마하면
날마다 천 냥의 금전을 얻으며, 울금향으로 호마하면 수행하는 사람은
곧 다함이 없는 옷을 얻는다.
대맥 유마 녹두 도화。호만편 득무진식。유아실바로마십만호。득아실바군。
大麥 油麻 菉豆 稻和。護萬遍 得無盡食。由阿失嚩嚕麽十萬護。得阿失嚩群。
우유낙차 득군우(인)。
牛乳洛叉 得群遇(引)。
보리ㆍ참깨ㆍ녹두ㆍ벼를 섞어서 만 번 호마하면 다함이 없는 음식을 얻으며,
말의 털을 10만 번 호마하면 떼의 말을 얻으며,
우유를 낙차 번 호마하면 한 떼의 소를 얻는다.
범소욕물 호피류。구남녀 이유마호。구대총명 창포호。송목호 금백파라。
凡所欲物 護彼類。求男女 以油麻護。求大聰明 菖蒲護。松木護 金百叵攞。
여상삼개낙차수。
如上三皆洛叉數。
모든 원하는 물건에 대하여 이들과 유사하게 호마하니,
아들딸을 낳고자 하면 참깨로 호마하고, 총명하기를 바라면 창포를 호마하며,
삼나무를 호마하면 백 파라의 금을 얻으니
앞의 세 가지 일은 모두 낙차 번 행한다.
천수천안중유법。개이차명성취지。
千手千眼中有法。皆以此明成就之。
천수천안관자재보살에게 있는 법은 모두 이와 같이 하여 분명히 성취한다.”
성취궤의품 제칠
成就軌儀品 第七
7. 성취궤의품
상전송。오낙차 즉성선행。심향연화 백연호 낙차。다문천왕현。권속동지
像前誦。五洛叉 卽成先行。沈香然火 白蓮護 洛叉。多聞天王現。眷屬同至
행인전。지어재보 개풍족。
行人前。至於財寶 皆豐足。
연자 온삼첨 호삼낙차。길상천현 위작풍요。길상사。
蓮子 搵三甛 護三洛叉。吉祥天現 爲作豐饒。吉祥事。
“상 앞에서 5낙차 번 염송하여 선행성취법을 행하고 침향목으로 불을 피우고
백련화를 낙차 번 호마하면 다문천왕이 나타나고, 그 권속들도 함께
수행인 앞에 이르러 재물과 보배를 모두 풍족하게 해 주며,
연밥을 3첨에 적셔 3낙차 번 호마하면 길상천이 나타나
상서로운 일들이 풍요하도록 한다.
삼목삼첨 호삼낙차。일체야차현 백언。금욕아하소。수행인구 무부득。
杉木三甛 護三洛叉。一切藥叉現 白言。今欲我何所。隨行人求 無不得。
삼나무를 3첨에 적셔 3낙차 번 호마하면 야차들이 나타나
수행하는 사람에게 ‘지금 내가 무엇을 해주기를 바라는가?’하고 말하며
수행하는 사람이 구하는 것으로 얻지 못할 것이 없게 해준다.
룡화예 온삼첨 호삼낙차。용래복종。청연화 온삼첨 호삼낙차。현금강장。
龍花蕊 搵三甛 護三洛叉。龍來伏從。靑蓮花 搵三甛 護三洛叉。現金剛藏。
명선무상여륜야。차삼급여구개득。연화 온피삼첨 호범천상전삼낙차。
明仙無相與輪惹。此三及餘求皆得。蓮花 搵彼三甛 護梵天像前三洛叉。
범왕현 여상삼원。
梵王現 與上三願。
용화예를 3첨에 적셔 3낙차 번 호마하면 용이 와서 엎드려 따르며,
청련화를 3첨에 적셔 3낙차 번 호마하면 금강장보살이 나타나
지명선ㆍ무상삼매ㆍ전륜왕의 세 가지와 다른 것들도 구하는 대로
모두 이루게 해주고, 연화를 3첨에 적셔 범천왕의 상 앞에서 3낙차 번 호마하면
범천왕이 나타나 앞의 세 가지 원을 이루게 해준다.
마하가라천상전。소말나 온삼첨 호삼낙차이。현위사방위성 변어일체。
摩訶迦羅天像前。蘇末那 搵三甛 護三洛叉已。現爲使方爲成 辦於一切。
(대흑천야 피상피횡 파일창 일두천인두 일두천양)。
(大黑天也 披象皮橫 把一槍 一頭穿人頭 一頭穿羊)。
단어일체천상전。이피소경애지화。호낙차。개내위사자。
但於一切天像前。以彼所敬愛之花。護洛叉。皆來爲使者。
마하가라천의 상 앞에서 소말나를 3첨에 적셔 3낙차 번 호마하고 나면
마하가라천이 나타나서 사자가 되어 모든 것을 이루게 해준다.
[대흑천이다. 코끼리 가죽옷을 입고 창을 한 개 뉘어서 들고 있는데,
창의 한 쪽 끝은 사람의 머리를 꿰고 다른 한 쪽은 양을 꿰고 있다.]
온갖 천의 상 앞에서 그들이 사랑하는 꽃으로 낙차 번 호마하기만 하면
그들이 모두 와서 사자가 된다.”
대흑천 - 산스크리트로 Mahākāla. 마하가라(摩訶迦羅)ㆍ마하가라(莫訶哥羅)라고 음사한다.
대흑신(大黑神)ㆍ대흑천신(大黑天神)ㆍ마하가라천(摩訶迦羅天)이라고도 하며 불교의 수호신.
가라는 검다는 뜻으로 몸의 색에서 나온 명칭이다.
인도에서는 전투와 재복과 저승세계의 신으로 세 가지 성격이 있다.
⑴ 시바신의 화신으로서 파괴를 담당한다.
시림(尸林)에 머물며 몸을 잘 감추고 공중을 날며 피와 고기를 먹는 신으로,
제사하면 가호하여 전쟁에서 승리한다고 한다.
⑵ 재물을 담당하는 신으로 비쉬뉴와 지천(地天)의 화신으로
인도사원의 주방(廚房)에서 제사한다.
⑶ 저승세계의 신으로 염마천(焰摩天)과 동체이다.
보통성취품 제팔
普通成就品 第八
8. 보통성취품
이시 관자재보살 백불언。세존。아금설차명왕제족심심미세궤의법칙。
爾時 觀自在菩薩 白佛言。世尊。我今說此明王諸族甚深微細軌儀法則。
행인응선 어일체유정 기대비심。효순부모존장。민념고취중생。정신어삼보。
行人應先 於一切有情 起大悲心。孝順父母尊長。愍念苦趣衆生。淨信於三寶。
락공양제불。원리음주 방일음욕 살생망어등사。성차진언。응당여시。
樂供養諸佛。遠離飮酒 放逸婬慾 殺生妄語等事。成此眞言。應當如是。
선어백월오일 가지오정 백팔편。음지。매일음 득반월청정。
先於白月五日 加持五淨 百八遍。飮之。每一飮 得半月淸淨。
(오정 우분급뇨 각소분 화소유낙 은동기수취일성지가지 백월오일자 월생오일야)
(五淨 牛糞及尿 各少分 和酥乳酪 銀銅器隨取一盛之加持 白月五日者 月生五日也)
가지오정진언왈
加持五淨眞言曰
다냐— 타 옴 야 숟 뎨 사바 하
怛儞也(二合)他(引) 唵(一) 也[禾*(尤-尢+木)]第(二) 娑嚩(二合引)賀
(귀명동다리심진언)
(歸命同多利心眞言)
이 때 관자재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이 명왕의 모든 부족의 매우 깊고 미세한 궤의와
법칙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수행하는 사람이 반드시 먼저 모든 유정들에게
대비심을 갖고 부모와 어른에게 효도하고 공손히 따르며 괴로움을 겪는
악취 중생을 가엾게 여기고 3보에게 청정한 믿음을 지니며 부처님께 즐거이
공양하고 음주ㆍ방일ㆍ음욕ㆍ살생ㆍ거짓말 등의 일을 하지 않으면
이 진언은 반드시 성취됩니다.
먼저 백월 5일에 5정을 108번 가지하여 그것을 마시면 한 번 마실 때마다
반월청정(半月淸淨 : 慢淸淨)을 얻게 됩니다.
[5정은 소의 똥과 오줌을 각각 조금씩 소ㆍ우유ㆍ낙에 섞어
은그릇과 구리 그릇에 가득 담아 가지한 것이다. 백월 5일은 초닷새이다.]
5정을 가지하는 진언으로 송합니다.
다냐— 타 옴 야숟뎨 사바 하(tad yathā oṃ biśuddhi svāhā)
(다라심진언과 같게 귀의합니다.)
즉어호숙련자백팔매。어정실중면동좌。일일연련자가지칠편천지。
卽於好宿蓮子百八枚。於精室中面東坐。一一蓮子加持七遍穿之。
가지진언왈
加持眞言曰
옴 아마리 다 아몌 시리 마 리니 사바 하
唵(一) 阿沒哩(二合)黨 誐冥(二) 室利(二合)莽(引)里儞(三) 娑嚩(二合)賀
(귀명여가오정)
(歸命如加五淨)
해묵은 좋은 연밥을 108개 준비하고, 정실에서 동쪽을 향하고 앉아
연밥 하나하나를 일곱 번 가지하고 그것에 구멍을 뚫어 놓으며,
가지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마리다 아몌 시리마리니 사바하(oṃ amṛta game śrīmalini svāhā)
(5정을 가지하는 것과 같이 귀의합니다.)
가지이。매지념송시。상선이수봉주 가지칠편。
加持已。每至念誦時。常先二手捧珠 加持七遍。
진언왈
眞言曰
옴 소 마디시리 예 사바 하
唵(一) 素(上)麽底室唎(二合)曳(二) 娑嚩(二合)賀
가지하고 나서 매번 염송할 때마다 언제나 먼저 두 손으로 연밥 구슬을 받들고
일곱 번 가지한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소마디시리예 사바하(oṃ sumatiśrīya svāhā)
념송필。우여차가지 연안치지。념송실편 이적토니식。행인 매어변리처。
念誦畢。又如此加持 然安置之。念誦室遍 以赤土泥飾。行人 每於便痢處。
억념예신진언왈
憶念穢身眞言曰
옴 바아라 구로 다 마하마라 하나 나하 바자마타 미기라나
唵(一) 嚩日囉(二合) 俱𡀔(二合)馱(二) 摩賀麽攞 賀曩 娜賀(三) 跛左末他 尾枳囉拏(四)
미다밤 사야 아티라람 모나 로추사마구로 다 훔 바닥
尾特縫(二合)娑也 惹致攞藍 謨娜 𡀔麤澀麽俱𡀔(二合)馱 吽 發吒
염송을 마치면 또 다른 것도 이와 같이 가지한 뒤에
모든 연밥구슬을 안치합니다. 염송하는 방은 전체를 붉은색 진흙으로 칠하며,
수행인이 용변을 보러 갈 때마다 몸이 더럽다는 것을 잊지 않고 기억하며
예신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아라 구로다 마하마라 하나 나하 바자마타 미기라나 미다밤 사야 아티라람
모나 로추사마구로다 훔 바닥
(oṃ bajra krodha mahāmara hana daha pacamatha bhañjarana bidhvaṃ
saya caṭilalaṃ mana uchuṣmakrodha hūṃ phaṭ)
이 진언은 더러운 곳에서 수행인을 가호합니다.
차진언어예소성호。변리필。즉이갑주진언피갑。
此眞言於穢所成護。便利畢。卽以甲冑眞言被甲。
진언왈
眞言曰
옴 도비 도비 가 야도비 바라 아바 리니 사바 하
唵(一) 度比 度比 迦(引)也度比 缽囉(二合)入嚩(二合)里儞 婆嚩(二合)賀
용변을 마친 후에는 갑주진언을 염송하여 갑옷을 입은 것처럼 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도비 도비 가야도비 바라아바리니 사바하
(oṃ dhube dhube kayadhube prajvalani svāhā)
우 이군다리진언。정내외제장。
又 以軍吒利眞言。淨內外諸障。
진언왈
眞言曰
나모 라다나 다라 야야 나마 시젼 나 바아라 바나예
曩謨 囉怛曩(二合)怛囉(二合)夜也(一) 曩莽 室戰(二合)拏 嚩日囉(二合) 播拏曳(二)
마하약—사 셰나 바다예 나모 바아라 구로 다야 니디야
摩賀藥乞叉(二合)細曩(引)跛多曳(三) 曩謨 嚩日囉(二合) 俱𡀔(二合)馱也 儞底也(二合)
바라 아바 리다 구로 다 유 아라 낭 —
缽囉(二合)入嚩(二合)里多(四) 俱𡀔(二合)馱(引)喩(引)孽囉(二合)能(去)
따- 로 득가 타배라바 야 아시모사라바라슈바사하사다 야
瑟吒路(三合)得迦(二合)吒輩囉嚩(引)也 阿斯母娑攞跛囉輸播捨賀娑跢(二合引)也
옴 아마리 다 군나리카 카카 혜카 혜디—따 만다 만다 하나 하나
唵 阿沒哩(二合)多 軍拏里佉 佉佉(引) 呬佉(引)呬底瑟咤(二合) 滿馱 滿馱 賀曩 賀曩
나하 나하 바자 바자 아아 아아 미사보 타야 미사보 타야
娜荷 娜荷 跛左 跛左 蘖惹 蘖惹 尾塞怖(二合)吒也 尾塞怖(二合)吒也
살바미근나 미나 야간 마하아나바디 이 미단 다가라 야 사바 하
薩嚩尾近曩(二合)尾曩(引)也建 摩賀誐拏跛底 貳(引)尾旦(引)跢迦囉(引)也 娑嚩(二合)賀
또 군다리진언으로 안팎의 모든 장애를 청정하게 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나마 시젼나바아라 바나예 마하약—사셰나바다예
나모 바아라 구로다야 니디야 바라아바리다 구로다유아라낭 —
따로득가타배라바야 아시모사라 바라슈바사하사다야 옴 아마리다 군나리카
카카 혜카 혜디—따 만다 만다하나 하나 나하 나하 바자 바자 아아 아아
미사보타야 미사보타야 살바미근나 미나야간 마하아나바디 이미단다가라야
사바하
(namo ratnatrayāya namaḥ canḍabajra paṇaya ma-hāyakṣasena-padaya
namo bajra krodhaya bidya prajvalita krodhayograduṣṭan
dakṣabheravaya asimusala paraśupaśahastaya oṃ amṛta kunṭalikha
khakha hikha hitiṣṭa bandha bandha hana hana daha daha paca paca gaca gaca
bisphoṭaya bisphoṭaya sarvabignaṃ binayaka mahāgaṇapati nibitatakraya svāhā)
송이즉가지토。세정。가지진언왈
誦已卽加持土。洗淨。加持眞言曰
옴 바아라 다라 훔
唵 嚩日囉(二合) 馱囉 吽
염송을 마치면 땅을 가지하고 깨끗이 씻어냅니다. 가지하는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아라 다라 훔(oṃ bajra bandha hūṃ)
세정이。연어하진혹욕실중。여법조욕흘。이삼국수헌본존。
洗淨已。然於河津或浴室中。如法澡浴訖。以三掬水獻本尊。
헌수진언왈
獻水眞言曰
옴 기리기리 훔 바타
唵 枳里枳里 吽 泮吒
땅을 깨끗이 씻어낸 다음에는 냇가나 욕실에서 여법하게 목욕을 마치고
손을 움켜 물을 세 번 떠서 본존에게 공양하며 헌수(獻水)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기리기리 훔 바닥(oṃ cili cili hūṃ phaṭ)
차결정발진언왈
次結頂髮眞言曰
옴 소싣디 가라라 ㄱ사 라 ㄱ사 맘 사바 하
唵 素悉地 迦囉囉 乞叉(二合)囉 乞叉(二合)𤚥 娑嚩(二合)賀
다음에 머리를 정수리 위에 묶고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소싣디 가라라 ㄱ사라 ㄱ사맘 사바하(oṃ susiddhi karara kṣara kṣamaṃ svāhā)
출욕소이。세수수구쇄제신분。
出浴所已。洗手漱口灑諸身分。
진언왈
眞言曰
옴 슈 로 디 사마리 디 사라 사바 디다 라니
唵 [禾*(尤-尢+木)]嚕(二合)底 娑沒哩(三合)底(三) 娑囉 娑嚩(二合)底馱(引)囉抳
흠 호
吽 鶴(引四)
목욕을 끝내고 나오면 손을 씻고 양치질을 하며 몸에서 떨어져 나온
모든 것에 물을 뿌리며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슈로디 사마리디 사라 사바디다라니 훔 호
(oṃ śruti smriti sara sarati dharani hūṃ ho)
여전품소설。심급제기장진언。응분명관어아신。
如前品所說。心及諸器仗眞言。應分明觀於我身。
즉선송연화부삼매야진언왈
卽先誦蓮華部三昧耶眞言曰
옴 나막 살바다타 아다 남 바나모 나바바 야 사바 하
唵 曩莫 薩嚩怛佗(引)誐哆(引)喃(引) 跛納謨 納婆嚩(引)也 娑嚩(二合)賀(引三)
앞의 품에서 설한 심진언 및 모든 기장의 진언과 같이
반드시 또렷하게 저[我]의 몸을 관하면서
먼저 연화부삼매야의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나막 살바다타아다남 바나모 나바바야 사바하
(oṃ namaḥ sarvatathāgatanāṃ padma udbhavaye svāhā)
우 설관자재보살념주진언왈
又 說觀自在菩薩念珠眞言曰
옴 바라 사보 라하리 바람 바나 만다라 달 마 가 훔 바닥
唵(一) 缽囉(二合)塞普(二合)囉訖𠴊(二合) 播覽 嚩曩 滿怛囉(二合引)怛磨(二合)迦 吽 發吒
또 관자재보살염주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라 사보라하리 바람 바나 만다라 달마가 훔 바닥
(oṃ praspharakṣaṃ palaṃ banāṃ mandradaṃka huṃ phaṭ)
우 설관자재보살장진언왈
又 說觀自在菩薩杖眞言曰
옴 나난 다 난 나 훔 바닥
唵 娜難(引)多 難(上)拏 吽 發吒(二)
또 관자재보살장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나난다 난나 훔 바닥(oṃ tunada danḍa hūṃ phaṭ)
우 설관자재보살조관진언왈
又 說觀自在菩薩澡罐眞言曰
옴 사다바 마리 다 바라 나시 밤 가라야
唵(一) 薩怛嚩(二合)沒哩(二合)多(二) 缽囉(二合)娜始[鍐-凶+(鬯-匕)] 迦羅也(三)
사바 하
娑嚩(二合)賀
또 관자재보살조관(觀自在菩薩澡罐)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사다바마리다 바라나시밤 가라야 사바하
(oṃ savatvamurta pranaśabaṃ karaya svāhā)
우 설마두관자재보살진언왈
又 說馬頭觀自在菩薩眞言曰
옴 아마리 도나바 바 훔 바닥
唵(一) 阿沒里(二合)都納婆(二合)嚩 吽 發吒
또 마두관자재보살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마리도나바바 훔 바닥(oṃ amṛtodbhava hūṃ phaṭ)
우 설백의관자재보살진언왈
又 說白衣觀自在菩薩眞言曰
옴 가뎨 미가뎨 가타잉 가뎨 사바 하
唵(一) 迦致(知曳反下同)尾迦致 迦吒孕(二合)迦致(二) 娑嚩(二合引)賀
또 백의관자재보살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가뎨미가뎨 가타잉가뎨 사바하(oṃ kaṭabikaṭa kaṭodkaṭa svāhā)
우 설명칭혜관자재보살진언왈
又 說名稱慧觀自在菩薩眞言曰
옴 시볘션 디가리 훔 가라뎨 야셰야 슈마디 사바 하
唵 始吠扇(引)底迦哩 吽 迦囉致(准上)也勢也 戍麽底 娑嚩(二合)賀
또 명칭혜관자재보살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시볘션디가리 훔 가라뎨야셰야 슈마디 사바하
(oṃ śabhaśantikari hūṃ karaṭayaśaya sumati svāhā)
우 설월신관자재보살진언왈
又 說月身觀自在菩薩眞言曰
옴 잔나라 잔나라 마디소마디 시리 예 구니 구니 라 라 라 라
唵 贊捺囉(二合) 贊捺囉(二合) 麽底素麽底(三) 悉哩(二合)曳 具抳 具抳 攞 攞 攞 攞
보뎨 보다녜 싣뎨 싣다 바라 하라 몌 사바 하 아미다 바소다
布帝 布多甯 悉弟 悉馱 跛囉(引)訖囉(二合)冥 娑嚩(二合引)賀 阿弭多(引) 婆素多
사바 하 사볘삼 알— 야 바로기뎨새바 라 사바 하
娑嚩(二合)賀 薩吠衫(引) 阿(引)哩夜(二合)嚩路枳帝濕嚩(二合)囉 娑嚩(二合)賀(引)
또 월신관자재보살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잔나라 잔나라 마디소마디 시리예 구니 구니 라 라 라 라
보뎨 보다녜 싣뎨 싣다 바라하라몌 사바하 아미다 바소다
사바하 사볘삼 알—야바로기뎨새바라 사바하
(oṃ candra candra matisumati hrīḥya guni kuni la la la la buddhi buddhani
siddhi siddha parakrimi svāhā amṛta vasuta svāhā sabhiśa āryaavaloketeśvara svāhā)
우 설용건관자재보살진언왈
又 說勇健觀自在菩薩眞言曰
옴 미라미라마디 소마디 나샤야 싣뎨 사 다야
唵(一) 尾囉尾囉麽底(二) 素麽底(三) 捺捨也 悉弟(四) 娑(去引)馱也(五)
옴 하니 모하니 염바니 사담 바니 사바 하
唵(六) 賀儞 謨荷儞 染婆儞 塞擔(二合)婆儞(七) 娑嚩(二合)賀
또 용건관자재보살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미라미라마디 소마디 나샤야 싣뎨 사다야
옴 하니 모하니 염바니 사담바니 사바하
(oṃ birabiramati sumati daśaya siddhi saddhaya
oṃ hani mohani jambhani stambhani svāhā)
즉이하진언 결본삼매야계 진언왈(사운 이시성자)
卽以下眞言 結本三昧耶契 眞言曰(師云 以示聖者)
옴 샹가례 삼마예 소몌예 살바삼마야 나바라 미사뎨
唵(一) 商迦𡅏 三麽曳(二) 掃冥曳(二合) 薩嚩三麽夜 努缽囉(二合)尾瑟致(二合)
사바 하
娑嚩(二合引)賀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면서 본삼매야계를 결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스승께서 ‘이렇게 하여 성자에게 보여준다.’고 말씀하셨다.]
옴 샹가례 삼마예 소몌예 살바삼마야 나바라미사뎨 사바하
(oṃ śaṃkare samaya somaya svasamaya duprabiṣṭi svāhā)
송흘。즉수의송심진언이。연왕어정실。재노중간 불응진노。일심념불 급관본존。
誦訖。卽隨意誦心眞言已。然往於精室。在路中間 不應瞋怒。一心念佛 及觀本尊。
매일삼시욕。개응여시。별환의。물위쟁논。지정실문갱세족。송변재천녀진언
每日三時浴。皆應如是。別換衣。勿爲爭論。至精室門更洗足。誦辯才天女眞言
이가지수。수구산쇄 연입어중
以加持水。漱口散灑 然入於中
염송을 마치고 나면 뜻하는 대로 심진언을 염송하고 나서 정실로 들어가는데,
가는 동안에 결코 화를 내지 말고 일심으로 부처님을 생각하고
본존을 관해야 합니다.
매일 세 번씩 목욕할 때마다 반드시 이와 같이 하고 다른 옷으로 갈아입으며
논쟁하지 말아야 합니다.
정실 문 앞에 이르러서는 다시 변재천녀의 진언을 염송하여
가지한 물로 양치하고 발에 여기저기 뿌린 다음에 방으로 들어갑니다.
우 결감노군다리계。겸송진언。즉이량수국수。
又 結甘露軍吒利契。兼誦眞言。卽以兩手掬水。
우 송벽제비나야가진언。산쇄시방진언왈
又 誦辟除毘那夜迦眞言。散灑十方眞言曰
옴 훔 하나도나 마타미다밤 사유 사라야 훔 바닥
唵 吽 荷囊度囊 麽他尾特縫(二合) 娑庾(二合)娑囉也 吽 發吒
또 감로군다리계를 결하고서 진언을 염송하며, 다음에 양손으로 물을 떠서
다시 벽제비나야가의 진언을 염송하고 시방에 흩어 뿌립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훔 하나도나 마타미다밤 사유사라야 훔 바닥
(oṃ hūṃ hanadhuna madabidhvaṃ sayasaraya hūṃ phaṭ)
차작지계결호진언왈
次作地界結護眞言曰
옴 기리 기리 바아라 바아리 소 만다 만다 훔 바닥
唵 枳里 枳里 嚩日囉(二合) 嚩日哩(二合)勃(引) 滿馱 滿馱 吽 發吒
다음에 지계를 결하여 보호하고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기리 기리 바아라 바아리소 만다만다 훔 바닥
(oṃ cili cili bajra bajriso bandha bandha hūṃ phaṭ)
우 금강궐진언왈
又 金剛橛眞言曰
옴 바아라 기 라 훔 바
唵 嚩日囉(二合) 枳(引)攞 吽 發
이차진언정지급섭수지
以此眞言淨地及攝受地
또 금강궐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아라 기 라 훔 바(oṃ bajra kila hūṃ phaṭ)
이 진언으로 대지를 청정하게 하고 대지를 거두어들입니다.
금강궐 - 산스크리트로 vajrakilaka. 수법할 때에 단 위의 네 구석에 세우는 기둥.
벌절라지라가(伐折囉枳羅迦)라 음역하며 사방궐(四方橛)⋅사궐(四橛)이라고도 한다.
그 모양은 독고저(獨股杵)와 같고 길이는 6촌(寸)⋅8촌 4푼(分)⋅9촌 등이 있다.
그 머리모양은 연꽃이나 보배 모양으로 만드나 그 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차열희성자진언왈
次悅喜聖者眞言曰
옴 바아라 기리 기리 훔 바
唵 嚩日囉(二合) 枳里 枳里 吽 發
다음에 열희성자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아라 기리 기리 훔 바(oṃ bajra kili kili hūṃ phaṭ)
우 이백의관자재보살진언。가지신선비천등。진언왈
又 以白衣觀自在菩薩眞言。加持神線臂釧等。眞言曰
나모 라다나 다라 야야 나모 알 — 야 바로기뎨 새바 라 야
曩謨 囉怛曩(二合)怛囉(二合)夜也 曩莫 婀(引)哩夜(二合) 嚩路吉帝 濕嚩(二合)囉(引)也
모디사다바 야 마하사다바 야 마하가 로 니가 야
冒地薩怛嚩(二合引)也 摩賀薩怛嚩(引)也 摩賀迦(引)嚕 抳迦(引)也(一切觀音眞言同此歸命)
다냐— 타 옴 나샤나 비염 바 시라 바나사마 라니예
怛儞也(引)他(引) 唵 捺捨曩(引)毘焰(二合) 嚩(引)室囉(二合) 嚩拏娑麽(二合)囉抳曳(二合)
나바 샤 마함살바사다바 남 살바미야디디기다사 각 다냐— 타
曩嚩(引)寫(引) 摩唅薩嚩薩怛嚩(二合引)南 薩嚩尾夜地止枳怛娑(二合)脚 怛儞也(二合)他
가뎨 미가뎨 가타ㅁ 가뎨 미가뎨 바아바디 미야예 사바하
迦致 尾迦致 迦吒孕(二合) 迦致 尾迦致(知曳反餘准此) 婆誐嚩底 尾惹曳 娑嚩賀
또 백의관자재보살의 진언으로써 신선과 팔찌 등을 가지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나모 알—야바로기뎨 새바라야 모디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가야 다냐—타 옴 나샤나비염 바시라
바나사마라니예나바샤 마함살바사다바남 살바미야디디기다사각 다냐—타 가뎨
미가뎨 가타ㅁ 가뎨 미가뎨 바아바디 미야예 사바하
(namo ratnatrayāya namo āryaavaloketeśvaraya bodhi- satvaya mahāsatvaya
mahākaruṇikaya tad yathā oṃ daśanabhyo bajra banasmaranyinabase mahāsarvasatvanāṃ
sarvabiyatiṭikita-sko tad yathā kaṭi bikaṭi kaṭaṃ kaṭi bikaṭi bhagavati bijaya svāhā)
영청진언왈(즉최초자시미가사바 하)
迎請眞言曰(卽最初者是未加娑嚩(二合)賀)
영청진언으로 송합니다. [제일 처음의 것은 사바하를 첨가하지 않는다.]
차헌알가진언왈
次獻遏迦眞言曰
예혜 바가 밤 니혜 아캄자 삼바라 디 체남 보염 재
曀呬 婆誐[鍐-凶+(鬯-匕)]儞呬 遏鉗左 三缽囉(二合)底(引)砌南 布染(引)再
바바라 시나몌 사바 하
嚩缽囉(二合)斯那冥 娑嚩(二合)賀
다음에 헌알가의 진언으로 송합니다.
예혜 바가밤 니혜 아캄자 삼바라디체남 보염재 바바라시나몌 사바하
(ehi bhagavan dihi agaccha saṃpraticchanāṃ pujaja vaprasename svāhā)
영청진언왈
迎請眞言曰
사바 아담 바아만 녜혜 바라 사 나 나 샤다
娑嚩(二合)誐擔 婆誐挽(無滿反) 甯呬 缽羅(二合)娑(引)那(引)那(引)寫多(引)
미하아리 하나 보아 마사마다 바라 사 난 자디야 구로
弭荷仡哩(二合)荷拏(二合) 布惹(引)麽娑麽多(入) 缽囉(二合)娑(引)難 左地夜 矩嚕
사바 하
娑嚩(二合)賀
영청진언으로 송합니다.
사바아담 바아만 녜혜 바라사나나샤다 미하아리하나 보아마사마다 바라사난
자디야 구로 사바하
(svagata bhagavan dihi prasananasiddha mahāgrihna pujamasa-mada prasanāṃ
catya kuru svāhā)
청이헌본삼매야。즉흥심공양도향등 도향진언왈
請已獻本三昧耶。卽興心供養塗香等 塗香眞言曰
이몌 안닥 슈바니미염 슈자약 슈자유 나약마유 니 볘미구박디야
伊冥 巘鐸(引)輸婆儞尾琰(二合引) 輸左藥 輸左庾 曩藥麽庾(引)儞 吠彌姤薄底夜(二合)
바라 디 아리 혜야 바라 사나몌 아 하라 아하라
缽囉(二合)底(引)仡哩(二合)呬也(二合) 缽囉(二合)四那冥(三) 阿(引下同)賀囉 阿賀囉(四)
살바미니야 다라보이뎨 사바 하
薩嚩尾儞夜(二合) 馱囉布爾帝(五) 娑嚩(二合)賀
청하고 나면 본삼매야의 인을 결하고
마음을 다하여 바르는 향 등을 공양합니다.
도향진언으로 송합니다.
이몌 안닥슈바니미염 슈자약 슈자유 나약마유니 볘미구박디야 바라디아리혜야
바라사나몌 아하라 아하라 살바미니야 다라보이뎨 사바하
(eme gandośubhanibhya śujayo śujayo nayomayoni bh-inidubhatyi pratikriheya
prasename ahara ahara sarvabi-dyadharapucati svāhā)
헌화진언왈
獻華眞言曰
이몌 소마나소니미약 슈자유 나약마유 니 볘니도바디야
伊冥 蘇末曩素儞尾藥(引) 輸左庾(引) 曩藥摩庾(引)儞 吠儞妒薄底夜(二合)
바라디아리 혜야 바라 사나몌 아 하라 아 하라
缽囉底仡哩(二合)呬也(二合) 缽囉(二合)四那冥 阿(引)賀囉 阿(引)賀囉
살바미니야 다라보이뎨 사바하
薩嚩尾儞夜(二合)馱囉布爾帝 娑嚩賀
헌화의 진언으로 송합니다.
이몌 소마나소니미약 슈자유나약마유니 볘니도바디야 바라디아리혜야
바라사나몌아 하라아 하라살바미니야 다라보이뎨 사바하
(emi sumanasunebhyo śujayonayomayoni bhinidubhadyi pratikriheya prasename ahara
ahara sarvabidyadharapucati svāhā)
헌소향진언왈
獻燒香眞言曰
아연바나사바 디라 소니미유 안다 주 도 바 오다맘 마야니
阿衍嚩曩娑跛(二合)底囉 素儞尾喩(二合) 巘馱(引)柱(引)度(引)跛 烏多𤚥 麽夜儞
볘니구박디야 바라 디아리 혜야 바라 혜나몌 아 하라
吠儞妒薄底夜 缽囉(二合)底仡哩(二合)呬也(二合) 缽囉(二合)呬那冥 阿(引)賀囉
아 하라 살바미니야 다라보이뎨 사바 하
阿(引)賀囉 薩嚩尾儞夜(二合)馱囉布爾帝 娑嚩(二合)賀
헌소향의 진언으로 송합니다.
아연바나사바디라 소니미유 안다주도바 오다맘 마야니 볘니구박디야
바라디아리혜야 바라혜나몌 아하라 아하라 살바미니야다라보이뎨 사바하
(ayabanasvadra sunibhyo gandacutopa utahaṃ mayani bhinidubhadyi pratikriheya
prasename ahara ahara sarva-bidyadharapujiti svāhā)
헌음식제약물과과등 진언왈
獻飮食諸藥物瓜果等 眞言曰
오사디 나 라 소혜야 니야 예사만다라 시노하미익 마야니
奧沙地(引)曩(引)囉 素呬也(二合)儞也(二合) 曀沙滿怛囉(二合引) 始怒荷微翼(二合)麽夜儞
볘니도박디야 마리례 사 바라 아리혜 야 담 아 하라 아하라
吠儞妒薄底夜(二合) 粖里𡅏 沙 缽囉(二合) 仡哩呬 也(二合)擔(引) 阿(引)賀囉 阿賀囉
살바니니야 다라보이뎨 사바 하
薩嚩尾儞夜(二合)馱囉布爾帝 娑嚩(二合)賀
음식과 여러 가지 약물과 고과 등을 공양하며 진언으로 송합니다.
오사디나라 소혜야니야 예사만다라 시노하미익마야니 볘니도박디야 마리례
사 바라 아리혜 야담 아하라 아하라 살바니니야다라보이뎨 사바하
(uśatinala suhyenye aśamandra śinuṣamimayani bhenidubhatye maliri śa prati
hriha yataṃ ahara ahara sarvabidyadharapujati svāhā)
헌등진언왈
獻燈眞言曰
락—수 가나 시자 다모니다마낙 슈바마약니볘 니구박디야
𠸪乞芻(二合)伽曩(二合)室左(二合)多暮尾馱麽諾 輸薄麽藥儞吠 儞姤薄底夜(二合)
니 보염 바라 디아리 혜야 담 아 로가야 아 로가야
儞(引)報焰 缽囉(二合)底仡哩(二合)呬也(二合)擔(引) 阿(引)路迦也 阿(引)路迦也
살바미니야 다라보이뎨 사바 하
薩嚩尾儞夜(二合)馱囉布爾帝 娑嚩(二合)賀
헌등진언으로 송합니다.
락—수가나시자다모니다마낙 슈바마약니볘 니구박디야 니보염
바라디아리혜야담 아로가야 아로가야 살바미니야다라보이뎨 사바하
(rakṣoganaścatamubidamaca śupamayonibhe nidubha-tye neptye pratikrihyetaṃ
alokaya alokaya sarvabidyadharapu-jati svāhā)
약무여상향화식등。즉결계송하진언。변성광대공양 진언왈
若無如上香花食等。卽結契誦下眞言。便成廣大供養 眞言曰
나모 사 만다몯다남 옴 사바타 캄오아뎨사바 라혜 맘 아아나캄 사바하
曩謨 三(引)曼多沒馱南 唵 薩嚩他(引)欠嗢誐帝娑頗(二合)囉呬(引)𤚥 誐誐曩劍 娑嚩賀
만일 위와 같은 향ㆍ꽃ㆍ음식이 없다면 계인을 결하고
다음의 진언을 염송하면 곧 성대한 공양이 이루어집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나모 사만다몯다남 옴 사바타 캄 오아뎨사바라혜맘 아아나 캄 사바하
(namaḥ samantabuddhanāṃ oṃ sarvatad khaṃ udgatispharana-hemaṃ gagana khaṃ svāhā)
차송찬운해진언왈
次誦讚雲海眞言曰
나막 사바몰다모디사다바 남 살바다라
曩謨 薩嚩沒馱冒地薩怛嚩(引)南(引) 薩嚩怛囉(二合)
상 구소미다 비야라 시니 나모 사도 뎨 사바 하
僧(恩孕反)句蘇弭多(引)毘穰囉(引)始儞 曩謨 塞睹(二合)帝 娑嚩(二合)賀
다음에 구름과 바다처럼 찬탄하는 진언으로 송합니다.
나막 사바몰다모디사다바남 살바다라 상구소미다비야라시니
나모 사도뎨 사바하
(namaḥ sarvatathāgatabuddhabodhisatvanāṃ sarvatra-saṅgusumitapicaraseni
namaḥ stuti svāhā)
행인응거본존사주。좌이모초。선관기신 위군다리금강 연관상본존。
行人應去本尊四肘。坐以茅草。先觀己身 爲軍茶利金剛 然觀想本尊。
즉이종종찬탄。찬양불급아 차금강수보살。발로참회。차취념주 이전진언가지。
卽以種種讚歎。讚揚佛及我 次金剛手菩薩。發露懺悔。次取念珠 以前眞言加持。
봉이가지。즉일심관아 심심상속。혹관진언 문자륜 환행렬
捧而加持。卽一心觀我 心心相續。或觀眞言 文字輪 環行列
(범문자수식증경강회등변색지)
(凡文字隨息增敬降懷等變色之)
수의념송 한수필이。기진언즉송부모진언 헌수지(사운 상종자구출 입부모구중
隨意念誦 限數畢已。其眞言卽誦部母眞言 獻授之(師云 想從自口出 入部母口中
작금색 발원운 유원성자 수차진언 가호물령 공용산실 일체득묘)
作金色 發願云 唯願聖者 授此眞言 加護勿令 功用散失 一切得妙)
수행하는 사람은 반드시 본존으로부터 4주 떨어져서 풀 위에 앉아
먼저 자신의 몸을 군다리금강이라고 관하고, 다음에 본존을 관상하면서
갖가지 찬탄의 말로 부처님과 저를 찬탄하고, 다음에 금강수보살에게
발로참회하고서 염주를 취하여 전에 송했던 진언으로 가지하고,
다시 두 손으로 받들고 가지한 뒤에 한마음으로 생각생각에 끊어지지 않도록
저를 관하거나 혹은 진언의 문자와 자륜67)이 둥글게 나열한 것을 관합니다.
[문자는 식ㆍ증ㆍ경ㆍ항ㆍ회 등의 문자에 따라서 색을 바꿔서 써 놓는다.]
뜻한 대로 수를 정해 놓고 염송하여 마치고 진언은 부모68)의 진언을 염송하여
염주를 공양하며[스승께서 말씀하시길 “자신의 입에서 나온 것이
부모의 입으로 들어가서 금색이 되었다고 생각되면 그 때
‘신이시여, 이 진언을 가호하시고 수행이 헛되지 않아
모든 것에 묘과를 이루게 해주소서’라고 발원하라”고 하셨다.]
자륜 - 산스크리트의 종자(種字)를 관하는 자륜관(字輪觀)의 수행법을 설한다.
자륜관은 법계체성삼매관(法界體性三昧觀), 입법계삼매관(入法界三昧觀), 법계삼매관(法界三昧觀),
입법계관(入法界觀)이라고도 한다.
본존의 종자 또는 진언 등의 문자륜(文字輪)을 관하는 의미이다.
행자의 심월륜 위에 떠올리는 자륜과, 본존의 심월륜 위의 자륜이 동일한 모습으로서
본래 하나인 이치를 믿고 깨달아가는 것이다.
즉 자신이 본래 갖추고 있는 공덕이 바로 본존의 법계체성과 같다고 관상하는 밀교의 관법이다.
『대일경소』에, ‘자륜에서 륜(輪)은 전성(轉成)하여 온갖 글자를 생하게 한다.
륜은 생한다는 뜻이니 그 한 글자로부터 많은 글자를 생겨나게 하기 때문이다.
아자로부터 모든 문자를 내는 것도 아자가 본래 상주불변이기 때문이니
그래서 자륜이라고 한다’라고 설하였다.
부모 - 모주(母主)라고도 한다. 금강계 5부나 태장계 3부에 각기 부주(部主)와 부모(部母)를 세운다.
부주는 국왕과 같고 각 부의 중심이 되는 본존이며, 부모는 국모(國母)와 같아서
부주나 혹은 기타 제존의 본존을 생산한다.
즉우가지념주 안치본소。차응호마。위령본존 치성위력고。정실문외 응작군다。
卽又加持念珠 安置本所。次應護摩。爲令本尊 熾盛威力故。精室門外 應作軍荼。
사방위지。중작연화。안실향화소。혹회향자 화삼첨호마。청화천진언왈
四方爲之。中作蓮華。安悉香和酥。或迴香子 和三甛護摩。請火天眞言曰
예혜예 혜 마하보다니 바리시 니 미 아사
曀係曳(二合)呬 摩賀步多泥 嚩哩史(二合)儞 尾(二合)惹娑
다마아리 혜 다바 시디 마 하라마 사민 사혜도 사바
跢麽仡哩(二合)呬(引)怛嚩(二合引) 戶底 麽(引)賀囉麽 塞泯(二合)塞呬妒 娑嚩
아하나 예 사바 하
阿訖曩(二合)曳 娑嚩(二合)賀
다시 염주를 가지하고 본래의 자리에 안치합니다.
다음에 본존의 위력이 치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반드시 호마해야 하니
정실 문 밖에 중앙을 연꽃 모양으로 한 사각형의 군다를 반드시 설치하고
안실향을 소와 섞거나 회향자를 3첨과 섞어 호마하여 화천을 청하며
진언으로 송합니다.
예혜예혜 마하보다니 바리시니 미아사 다마아리혜다바 시디 마하라마
사민사혜도 바바 아하나예 사바하
(ihyahi mahābuddhani baraseni picasa damakrihetva bodhi mahārama samisahedo
sva añjanaya svāhā)
군다 - 산스크리트로 kuṇḍa, 또는 agni-kuṇḍa
군다는 음역으로 군다(君荼)라고도 하며 화로(火爐)라 번역한다.
원래 종교적 용도로 사용되는 병이나 단지 종류였는데
밀교에서 특히 호마법을 닦을 때에 사용하는 화로를 가리킨다.
그래서 호마로(護摩爐)ㆍ호마화로(護摩火爐)라고도 칭한다.
수법(修法)에 따른 종류와 형상도 다르다.
식재법(息災法)을 닦는 호마로는 둥근 원 모양이고,
증익법(增益法)을 닦는 것은 정방형이며,
항복법(降伏法)은 삼각형이고,
구소법(鉤召法)을 닦을 때에는 금강형(金剛形)이며,
경애법(敬愛法)을 닦을 때에는 연꽃 모양 등의 다섯 종류가 있다.
화천 - 산스크리트로 Agni. 8방천(方天) 또는 12천(天)의 하나.
아기니(阿耆尼)라고 음사하며 화선(火仙)ㆍ화신(火神)ㆍ화광존(火光尊)이라고도 한다.
금강계만다라에서는 사집금강(四執金剛)의 하나로 동남을 관장하는 서방5천의 하나이다.
태장만다라에서는 최외원 남방에 위치한다.
밀호는 호법금강(護法金剛)이며 종자는 태장계에서는 a, ra이고 금강계에서는 na이다.
이 천은 화취외도(火聚外道)의 신이지만 불을 섬기는 범지(梵志)를 포섭하기 위해서
그 형상을 밀교에 끌어들인 것이다.
화천입군다이。헌만삼표소。즉화위덕치성。
火天入軍荼已。獻滿三杓酥。卽火威德熾盛。
헌진언왈
獻眞言曰
옴 아 하나 예 하미야 가미야 바 하나 야 니 비야 바
唵 阿(引)訖曩(二合)曳 賀尾也(二合) 迦尾也(二合) 嚩(引)賀曩(引)也 儞(引)比也(二合)跛
사바 하
娑嚩(二合引)賀
화천이 군다에 들어간 다음에는 소를 세 표 가득히 떠서 공양하면
화천의 위덕이 치성하여집니다.
헌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하나예 하미야 가미야 바하나야 니비야바 사바하
(oṃ ajitaya habya kabya bahanaya adibyava svāhā)
표 - 호마를 행할 때 음식이나 5곡, 기름 등의 공양물을 본존(화로의 입구)에 공양할 때
사용하는 기구.
여기에 주표(注杓)와 사표(瀉杓)의 다름이 있다.
주표는 대표(大杓), 사표는 소표(小杓)라고도 한다.
대표는 공물을 담아서 화로 가운데에 넣으므로 주표라 이름하고
소표는 공물을 화로 가운데 또는 대표에 부어넣으므로 사표라 부른다.
결국 주(注)와 사(瀉)는 같은 뜻이지만, 크고 작음에 따라 쓰임이 약간 다르다.
행인 응어모단상 작길상좌(사운 수량슬 이우각가좌각교지)
行人 應於茅團上 作吉祥坐(師云 豎兩膝 以右脚加左脚交之)
면동혹북。로사향부모。안호마사물。응소헌지구。치지좌우。알가기급쇄산로상。
面東或北。爐四向敷茅。安護摩事物。應燒獻之具。置之坐右。遏伽器及灑散爐上。
여화천본존 수구등이기。치어좌좌。산쇄세수이。즉이삼칠대표약소。
與火天本尊 漱口等二器。置於坐左。散灑洗漱已。卽以三七大杓藥酥。
헌화천진언왈
獻火天眞言曰
옴 아하나 예 사바 하
唵 阿訖曩(二合)曳 娑嚩(二合引)賀
수행하는 사람은 반드시 띠 풀로 둥글게 만든 자리에 길상좌 [스승께서는
두 무릎을 수직으로 하여 오른쪽 다리를 왼쪽 다리 위에 올려 서로 교차하라고
말씀하셨다.]로 동쪽이나 북쪽을 향하여 앉고, 호마로의 사방에 풀을 깔고
호마에 쓰일 물건들을 안치하는데, 태워서 공양할 도구들은 반드시
자리의 오른쪽에 놓고, 알가기와 호마로 위에 뿌릴 향수, 화천과
본존이 양치질할 향수의 두 용기는 자리의 왼쪽에 놓아야 합니다.
향수를 여기저기 뿌려서 깨끗이 한 뒤에 약소를 스물한 번 대표에 떠서
화천에게 공양하며 다음의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하나예 사바하(oṃ ajitaya svāhā)
헌이 우삼쇄수。우여화천수구。응이문수사리진언 쇄수구수。진언왈
獻已 又三灑水。又與火天漱口。應以文殊師利眞言 灑漱口水。眞言曰
옴 바라나바아라 담
唵 嚩囉娜嚩日囉(二合)曇
(사운 선요시수구 직천시정화)
(師云 旋遶是漱口 直濺是淨火)
공양한 뒤에 다시 물을 세 번 뿌리고 또 화천을 양치시켜야 하니
반드시 문수사리진언을 염송하여 양치할 물을 뿌립니다.
그리고 다음의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라나바아라 담(oṃ baranabajranāṃ svāhā)
[스승께서는 둥글게 돌고 양치하며 곧바로 흩뿌리면
화천을 정화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즉이본심진언。용회향자화삼첨。호마일천팔편。부삼쇄산。우이화천진언삼투소。
卽以本心眞言。用迴香子和三甛。護摩一千八遍。復三灑散。又以火天眞言三投酥。
연송발견진언왈
然誦發遣眞言曰
보이도사마야박—사야 아사 아이니 사바 바바남 보나라비야
布爾妒四磨夜薄乞叉也(三合引) 蘖縒 阿儗儞(二合) 娑嚩(二合)婆嚩南 補曩囉比夜(二合)
아마나 예 사바 하
誐麽曩(引)曳 娑嚩(二合)賀
또 본심진언을 염송하며 회향자를 3첨과 섞어 일천팔 번 호마하고
다시 향수를 세 번 뿌립니다.
다시 화천진언을 염송하며 소를 세 번 던진 후에 발견진언으로 송합니다.
보이도사마야박—사야 아사 아이니 사바바바남 보나라비야 아마나예 사바하
(pujaduhimayabakṣaya gaccha agne svabhavanāṃ pun-tarabya kamanaya svāhā)
발견 - 밀교에서 공양하고 염송하기 위하여 맞이한 불보살을 권청(勸請)이 끝난 뒤에
본토에 봉송(奉送)하는 것.
차이향화등명음식。헌본존이이봉송지。연출도량。인탑급독송대승경。
次以香花燈明飮食。獻本尊已而奉送之。然出道場。印塔及讀誦大乘經。
공양필추등。도식만다라。매일삼시작사업。광맥채유 이위상식。야침모천。
供養苾芻等。塗拭曼荼羅。每日三時作斯業。穬麥菜乳 以爲常食。夜寢茅薦。
진언가지。용울금색혹홍색선。일송일결지백팔결。지이계요진언왈
眞言加持。用鬱金色或紅色線。一誦一結至百八結。持以繫腰眞言曰
옴 로가차 구로이니 사바 하
唵 洛乞愴(二合引) 矩嚕儗抳 娑嚩(二合)賀
다음에 향ㆍ꽃ㆍ등불ㆍ음식 등을 본존에 공양하고 나서 본존을 봉송합니다.
그런 뒤에 도량으로 나와 인탑에 이르러 대승경을 독송하고 필추 등을 공양하며
만다라를 채색합니다.
매일 세 번씩 이러한 일을 하고 보통 귀리와 채유로 식사 하고
밤에는 풀로 만든 이부자리에서 자야 합니다.
진언으로 가득한 울금색이나 붉은색 실을 한 번 염송하고 한 번 매듭을 지어
매듭이 108개 될 때까지 하고서 허리에 묶어 지니면서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로가차 구로이니 사바하(oṃ rakṣakruṃ kini svāhā)
결이 우송부모진언。가지칠편계지。연수의침식。약근실지。본존섭수 즉몽선상。
結已 又誦部母眞言。加持七遍繫之。然隨意寢息。若近悉地。本尊攝受 卽夢善相。
소위견광대승중。혹견녀인 착제영락。혹견림목화과무성。혹견상마우급봉우。
所謂見廣大僧衆。或見女人著諸瓔珞。或見林木花果茂盛。或見象馬牛及犎牛。
혹득염주 화만 조관 백화 급대화공양 갱미자웅황등。혹견아어여부소설길몽。
或得念珠 花鬘 澡罐 白花 及代花供養 粳米雌雄黃等。或見我於餘部所說吉夢。
당지차상거성취근。즉응가행 배부정진。
當知此相去成就近。卽應加行 倍復精進。
매듭을 다 짓고 나면 다시 부모의 진언을 염송하여 일곱 번 가지하고
그것을 묶은 뒤에 마음대로 자거나 쉬거나 합니다.
만약 실지에 가까워져 본존이 거두어 주면 좋은 꿈을 꾸게 되니,
이른바 대단히 많은 스님들이 보이거나 혹은 영락을 두른 여인이 보이거나
혹은 숲에 나무와 꽃과 과일이 무성한 모습이 보이거나
혹은 코끼리ㆍ말ㆍ소ㆍ들소가 보이거나 혹은 염주ㆍ화만ㆍ조관ㆍ흰 꽃과
공양 올린 화화(化花: 신도가 시주한 꽃)와 멥쌀ㆍ자황ㆍ웅황을 얻거나
혹은 저를 보거나, 혹은 다른 부에서 말하는 길몽을 꾸거나 하면
이러한 모습은 성취에 거의 다다른 것임을 반드시 알아
전보다 배로 가행하여 다시 정진해야 합니다.
약실성취。몽전다라 비사차귀 악형상자。혹견인신착구폐의。혹견진언문구궐소。
若失成就。夢旃陀羅 毘舍遮鬼 惡形狀者。或見人身著垢弊衣。或見眞言文句闕少。
혹견불구족인。약유여시지몽。응송부지진언일백팔편。일체불상지사 개득소멸。
或見不具足人。若有如是之夢。應誦部之眞言一百八遍。一切不祥之事 皆得消滅。
불구당득실지。
不久當得悉地。
만약 성취에서 멀어진다면 꿈에 전다라와 비사차귀 등 악한 형상을 한
이들이 보이거나 혹은 더럽고 낡은 옷을 입은 사람이 보이거나
글자가 조금 빠진 진언 문구가 보이거나 몸이 온전하지 못한 사람이 보이거나
할 것이니 이러한 꿈을 꾼 사람은 반드시 부모의 진언을 108번 염송해야
상서롭지 않은 일들이 모두 소멸되며 머지않아 반드시 실지를 얻게 됩니다.
여차경중 소설성취지법。제행음욕 급손해중생지인。여개결정실지。
如此經中 所說成就之法。除行婬欲 及損害衆生之人。餘皆決定悉地。
의차의궤법칙。범오무간자 상득성취。황수행보살행인
依此儀軌法則。犯五無間者 尙得成就。況修行菩薩行人
이 경에서 말한 것과 같은 성취법들은 음욕을 행한 사람이나 중생에게
손해를 입힌 사람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은 결정코 실지를 얻게 됩니다.
이 의궤와 법칙에 따르면 5무간죄를 범한 이도 오히려 성취할 수 있으니
하물며 수행하는 보살과 수행하는 사람들이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성취심진언품 제구
成就心眞言品 第九
9. 성취심진언품
아우설의궤 선행성취법。송차진언。일일자 만일낙차(사운 삼십오만) 연후화상。
我又說儀軌 先行成就法。誦此眞言。一一字 滿一洛叉(師云 三十五萬) 然後畫像。
응령동녀 어청정처 직첩견등。이백복구 삼시세욕 신저백의。공급직자 음식등인
應令童女 於淸淨處 織氎絹等。以帛覆口 三時洗浴 身著白衣。供給織者 飮食等人
역수청정。직이백선 기저응신。제난조복。
亦須淸淨。織以白線 機杼應新。諸難調伏。
“제가 또 의궤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심진언의 한 글자 한 글자를 1낙차[스승께서 35만이라고 말씀하셨다.]번씩
염송하여 선행성취법을 행한 뒤에 화상을 그립니다.
반드시 동녀가 청정한 곳에서 모직과 비단 등을 짜도록 하되
비단으로 입을 막고 세 번 목욕하고 몸에는 흰 옷을 입게 하며,
옷감을 짜는 이에게 음식을 공급하는 사람들도 반드시 청정해야 하고,
옷감을 흰 실로 짜고 베틀도 반드시 새 것이어야 온갖 어려움이 조복됩니다.
신근불구족인。시악류배 개물령견。어직처 포산시화。전독대집경。
信根不具足人。是惡流輩 皆勿令見。於織處 布散時花。轉讀大集經。
령회화인 당수팔계。연상소시 일의소삭。물여화자 유쟁경심。
令會畫人 當受八戒。緣像所市 一依所索。勿與畫者 有爭競心。
신근이 부족한 사람이나 악한 무리는 모두 보지 못하게 하며
옷감 짜는 곳에는 그때그때 피는 꽃을 뿌려 놓고 『대집경』을 전독합니다.
그림 그리는 사람은 반드시 8계를 받게 하고 화상에 연관된 살 것과
필요한 것 하나라도 그림 그리는 사람과 다툴 마음을 갖지 말아야 합니다.
기견첩등 향수침지。남청자황 급여자광。차중채색 시등개제。
其絹氎等 香水浸漬。藍靑雌黃 及與紫礦。此中彩色 是等皆除。
백색응용 백단 오시라 룡뇌향등。황색응용 목숙향 살계니야(백합대)룡등。
白色應用 白檀 烏始羅 龍腦香等。黃色應用 苜蓿香 薩計抳耶(百合代)龍等。
적색응용 울금향 자단등。흑색응용 다가라화 청연화 소합향등。
赤色應用 鬱金香 紫檀等。黑色應用 多迦羅花 靑蓮花 酥合香等。
신분급유 개불응용。
身分及乳 皆不應用。
비단과 모직은 푸른 쪽과 자황과 자광으로 만든 향수에 담그고,
그림에 쓰일 채색은 이것들을 모두 제외하며,
흰색은 반드시 백단ㆍ오시라ㆍ용뇌향 등을 쓰고
노란색은 목숙향ㆍ살계니야[백합을 대신 써도 된다.]ㆍ용뇌 등을 쓰며
붉은 색은 반드시 울금향ㆍ자단 등을 쓰고
검은색은 반드시 다가라화ㆍ청련화ㆍ소합향 등을 쓰며
몸에서 떨어져 나온 것과 우유는 모두 쓰지 말아야 합니다.
화자호지금계 상사육념。선중앙 화보리수。수하화아미타여래。좌사자좌
畫者護持禁戒 常思六念。先中央 畫菩提樹。樹下畫阿彌陀如來。坐師子座
이이연승。신금색 우수시무외。불좌성득대세지보살。불우성관자재보살。
以二蓮承。身金色 右手施無畏。佛左聖得大勢至菩薩。佛右聖觀自在菩薩。
우수주안위(즉이풍공두상념수여지작인수세) 좌수지연화。신여추전색(백야)
右手住安慰(卽以風空頭相捻豎餘指作引手勢) 左手持蓮花。身如秋箭色(白也)
관자재하 화다라보살。상화 사정거천자。작음악공양。응화범천 수지만다라화。
觀自在下 畫多羅菩薩。上畫 四淨居天子。作音樂供養。應畫梵天 手持曼陀羅花。
그림 그리는 사람은 금계를 지키고 항상 여섯 가지 기억해야 할 것[六念]을
생각해야 합니다.
먼저 중앙에 보리수를 그리고 보리수 아래에 아미타여래께서 사자좌에 앉아
연꽃 두 송이를 받쳐 들고 있고 몸은 금색으로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결하고 있는 모습을 그리며,
부처님 왼쪽에는 깨달음을 완성한 대세지보살을 그리고,
부처님 오른쪽에는 성스러운 관자재보살을 그리는데
오른손은 안위인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의 끝을 맞잡고 나머지 손가락을
곧게 세워 손을 잡아 이끄는 듯한 모양]을 결하고 왼손은 연꽃을 들고
몸은 추전색 [흰색이다.]으로 하며, 관자재보살 아래에 다라보살을 그리는데
그 위에는 네 명의 정거천자가 음악으로 공양하는 모습을 그리며
반드시 범천이 손에 만다라화를 들고 있는 모습을 그립니다.
육념 - 여섯 가지를 염원하는 것. 육념법(六念法)ㆍ육수념(六隨念)이라고도 한다.
⑴ 염불(念佛), ⑵ 염법(念法), ⑶ 염승(念僧), ⑷ 염계(念戒), ⑸ 염시(念施), ⑹ 염천(念天).
화이 안정실중 의법공양。즉어상전 이연화온삼첨。호일낙차。연작일체사업。
畫已 安精室中 依法供養。卽於像前 以蓮花搵三甛。護一洛叉。然作一切事業。
결근본인 송심진언。입성읍취낙。일체견자 심생귀중。어상전공양 연화일낙차
結根本印 誦心眞言。入城邑聚落。一切見者 深生貴重。於像前供養 蓮花一洛叉
(일송일치어전) 즉견일체복장。욕굴취보물。결백의관자재근본인 송심진언。
(一誦一置於前) 卽見一切伏藏。欲掘取寶物。結白衣觀自在根本印 誦心眞言。
일체복장 자연방광 자의수용。
一切伏藏 自然放光 恣意受用。
다 그리고 나면 정실에 안치하고 법에 따라 공양드리니
화상 앞에서 연꽃을 3첨에 적셔 1낙차 번 호마한 뒤에 온갖 공양을 올립니다.
근본인을 결하고 심진언을 염송하며 성의 마을에 들어가
보이는 모든 것에 귀중히 여기는 마음을 내고, 상 앞에 연꽃을 1낙차 송이
공양하면 [한 번 염송하고 상 앞에 한 송이를 놓는다.] 복장이 드러나 보이며,
파내어 보물을 취하려면 백의관자재근본인을 결하고 심진언을 염송하면
모든 숨겨진 보물이 저절로 빛을 내어 마음대로 받아 쓸 수 있게 됩니다.
우 산중채장년약。결일체경포제귀신인。즉금일체약로。송심진언。
又 山中採長年藥。結一切驚怖諸鬼神印。卽禁一切藥露。誦心眞言。
필득연년 약법성취。
必得延年 藥法成就。
또 산에서 오래 묵은 약재를 캐려면 일체경포제귀신인을 결하면
금지된 모든 약재가 드러나고 심진언을 염송하면
오랜 세월 내려온 약법을 반드시 성취하게 됩니다.
유마두인고 응시산재공。유월신인고 피하등반류。유가사인고 이하수갈학。
由馬頭印故 應時山在空。由月身印故 彼河等半流。由袈裟印故 而河水竭涸。
유육비관자재인。아수라문개。유십이비인。항복사 도 로。
由六臂觀自在印。阿脩羅門開。由十二臂印。降伏捨[口*覩]嚕。
유천비인고。섭피라야。유사면관음인。이수순재관。유백의모인。구소실저리。
由千臂印故。攝彼囉惹。由四面觀音印。而隨順宰官。由白衣母印。鉤召悉底唎。
유호마염고。나아개경복。일체귀매병견촉 개자제(이상병송심진언)
由護摩鹽故。那哦皆敬伏。一切鬼魅病見觸 皆自除(已上並誦心眞言)
마두인을 결하면 바로 그 때에 산이 허공에 있게 되고,
월신인을 결하면 강 등이 거꾸로 흐르며,
가사인을 결하면 강물이 모두 마르고,
6비관자재인을 결하면 아수라의 문이 열리며,
12비인을 결하면 사도로가 항복하고,
천비인을 결하면 왕이 섭수하며,
4면관음인을 결하면 재상과 관리가 공손히 따르고,
백의모인을 결하면 여인을 불러들이며,
소금을 호마하면 용이 모두 엎드려 공경하고
도깨비병은 보거나 만지기만 하여도 저절로 없어집니다.
[이상은 함께 심진언을 염송한다.]
세존。차심진언 유여의주。일체진언명왕중존。수의소념 개득성취。
世尊。此心眞言 猶如意珠。一切眞言明王中尊。隨意所念 皆得成就。
이시。관자재보살。부백불언。세존。아금설최승명왕인계상。
爾時。觀自在菩薩。復白佛言。世尊。我今說最勝明王印契相。
내박화여침。풍각굴화전여환。근본인。신진언왈
內縛火如針。風各屈火前如環。根本印。身眞言曰
옴 바나마 뎨례 로기야 미가란 뎨 바아바디 훔 훔 바닥
唵 跛納麽 帝㘑(二合)路枳也(二合) 尾訖㘓(二合)帝 婆誐嚩底(三) 吽 吽 發吒
유결차인리제죄。
由結此印離諸罪。
세존이시여, 이 심진언은 마치 여의주와 같아
모든 진언명왕 가운데 제일인지라, 생각하는 것이 뜻대로 성취됩니다.”
이 때에 관자재보살이 다시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최승명왕의 인계의 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내박권에서 가운뎃손가락[火]을 바늘처럼 곧게 세우고
집게손가락[風]을 각각 가운뎃손가락 앞에서 구부려 고리처럼 둥글게 하면
이것은 근본인이 됩니다.
신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나마 뎨례로기야 미가란뎨 바아바디 훔 훔 바닥
(oṃ padma trailokya bikranti bhagavati hūṃ hūṃ phaṭ)
이 인을 결하면 모든 죄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밀교에서는 열 손가락 각각에 다음과 같은 의미를 주고 있다.
五蘊 五佛頂 五根 十度 十度 五字 五大 五大
右 엄지 識 輪 慧 智 禪 khaṃ kha 空
두지 行 蓋 定 力 進 hūṃ ha 風
중지 想 光 念 願 忍 ra ra 火
무명지 受 高 進 方 戒 vi va 水
소지 色 勝 信 慧 壇 a a 地
左 소지 色 勝 信 壇 慧 a a 地
무명지 受 高 進 戒 方 vi va 水
중지 想 光 念 忍 願 ra ra 火
두지 行 蓋 定 進 力 ūṃ ha 風
엄지 識 輪 慧 禪 智 khaṃ kha 空
여전근본인 력소시위청。진굴신봉영。(청용초진언왈)
如前根本印 力召是爲請。進屈申奉迎。(請用初眞言曰)
옴 하리
唵 紇唎(入)
유결차인경각。심진언 즉위응험。
由結此印警覺。心眞言 卽爲應驗。
앞의 근본인에서 손가락을 손바닥 안쪽으로 불러들이면
이것은 청하는 인이 되고,
집게손가락을 구부렸다 펴면 이것은 봉영의 인이 됩니다.
[청하는 인은 처음에 사용한다. 진언은 다음과 같다.]
옴 하리(oṃ hrīḥ)
이 인을 결하고 경각하면 심진언이 곧 응험이 나타나게 됩니다.
여전신이풍。박저이화배。시두인 진언왈
如前申二風。搏著二火背。是頭印 眞言曰
옴 아
唵 噁(引)
인에서 양쪽 집게손가락[風]을 양쪽 가운뎃손가락[火]의 등에 당겨 붙이면
이것이 두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oṃ ā)
여두이력도。신박인도배。시정인 진언왈
如頭移力度。申搏忍度背。是頂印 眞言曰
옴 아 훔
唵 噁(引)吽
두인에서 집게손가락[力]을 펴서 움직여 가운뎃손가락[忍]의 등에 당겨 붙이면
이것이 곧 정인입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훔(oṃ āḥ hūṃ)
여두이이풍。수상주여환。시안인 진언왈
如頭移二風。首相拄如環。是眼印 眞言曰
옴 아 아바 라
唵 噁 入嚩(二合)攞
두인에서 양쪽 집게손가락[風]을 움직여 그 끝을 서로 맞대어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하면 이것은 안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아바 라(oṃ āḥ jvala)
여안풍신개。시갑인진언왈
如眼風申開。是甲印眞言曰
옴 아 만다
唵 噁 滿馱
안인에서 집게손가락[風]을 펴서 벌리면 갑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만다(oṃ āḥ bandha)
여갑은이풍。시검인 진언왈
如甲隱二風。是劍印 眞言曰
옴 아 다라 삭
唵 噁 怛囉(引)索
갑인에서 양쪽 집게손가락[風]을 보이지 않게 하면 검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다라 삭(oṃ āḥ trava)
선권공압풍。시배인 진언왈
禪拳空押風。是排印 眞言曰
옴 아 마사보 라
唵 噁 尾塞普(二合)囉
왼손[禪]으로 권을 만들고 엄지손가락[空]으로 집게손가락[風]을 누르면
이것이 배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미사보 라(oṃ āḥ bisphoṭa)
지우여상권。공화각신직。시전인 진언왈
智羽如常拳。空火各申直。是箭印 眞言曰
옴 아 하나
唵 噁 荷諾
오른손[智]을 보통 때처럼 쥐고 집게손가락[空]과 가운뎃손가락[火]을
각각 곧게 펴면 이것은 전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하나(oṃ āḥ hana)
십도내상차여망。상우선。시상방망계 진언왈
十度內相叉如網。上右旋。是上方網界 眞言曰
옴 아 나하
唵 噁 那臛
열 손가락을 안으로 서로 교차하여 그물처럼 하고 위로 올려서
오른쪽으로 돌리면 이것은 상방망계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나하(oṃ āḥ daha)
내전출이풍。신개상우선。시장인 진언왈
內縛出二風。申開上右旋。是牆印 眞言曰
옴 아 나라 ㄱ사 바라 가라
唵 噁 捺囉(二合)乞叉 缽囉(二合)迦囉
내박권에서 양쪽 집게손가락[風]을 밖으로 꺼내 펴서 벌리고
위로 올려서 오른쪽으로 돌이면 이것은 장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나락 —사 바라가라(oṃ āḥ trakṣa prakara)
여장출이풍。수상주여환。시최승심인 진언왈
如牆屈二風。首相拄如環。是最勝心印 眞言曰
옴 아 하리 나유다라
唵 噁(引) 訖哩(二合) 那庾多囉
장인에서 양쪽 집게손가락[風]을 구부려 양끝을 서로 맞대어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하면 이것은 최승심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하리 나유다라(oṃ āḥ hrīḥ nayotara)
불역신합풍。시경각심인 진언왈
不易申合風。是警覺心印 眞言曰
옴 아 하리 나유조나남
唵 噁 紇哩 那庾租那南
모양을 바꾸지 않고 집게손가락[風]을 펴서 합하면 이것은 경각심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하리 나유조나남(oṃ āḥ hrīḥ nayotanāṃ)
불역이이풍굴중절상주。시심발생인 진언왈
不易以二風屈中節相跓。是心發生印 眞言曰
옴 아 하리 나유 나바 바
唵 噁 紇哩 那庾(引)納婆(二合)嚩(入)
모양을 바꾸지 않고 양쪽 집게손가락[風]을 구부려서
가운데 마디를 서로 맞닿게 하면 이것은 심발생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하리 나유나바바(oṃ āḥ hrīḥ nayodbhava)
십도외상차。윤형책개장。시윤인 진언왈
十度外相叉。輪形磔開掌。是輪印 眞言曰
옴 아 바라사보 라
唵 噁 缽囉塞普(二合)囉
열 손가락을 바깥쪽으로 서로 교차하여 바퀴 모양으로 손바닥을 벌리면
이것은 윤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아 바라사보 라(oṃ āḥ prasphara)
세존。여상등인 삼세승명왕지왕。자지분생。겸진언가지이。
世尊。如上等印 三世勝明王之王。自支分生。兼眞言加持已。
지분。즉행인 여아무이(사운 여심즉안심상여열가지)
支分。卽行人 與我無異(師云 如心卽安心上餘例可知)
세존이시여, 이러한 계인들은 명왕 중의 왕인 삼세최승명왕 자신으로부터
갈라져 나와 발생한 것이며, 아울러 진언으로 가지하여 마칩니다.
갈라져 나온 점에서 수행하는 사람과 저는 다름이 없습니다.
[스승께서 ‘예를 들어 심인은 심진언에 안배하며 나머지 예는 알 것이니라’고
말씀하셨다.]
세존。행인 매일삼시。위제중죄고。결십비리밀계。결시등계。
世尊。行人 每日三時。爲除衆罪故。結十波羅蜜契。結是等契。
각송본심진언일편。즉백천생 소유제죄실멸。황현생죄 이불멸야。
各誦本心眞言一遍。則百千生 所有諸罪悉滅。況現生罪 而不滅耶。
세존이시여, 수행하는 사람은 매일 세 번씩 많은 죄를 소멸하기 위하여
10바라밀계인을 결하여야 하오니 이들 계인을 결할 때마다
근본심진언을 한 번 염송하면 백천 생에 걸친 죄가 모두 소멸할 것이니
하물며 현생의 죄가 소멸되지 않겠습니까?
차즉설십바라밀인상。지장앙신수。공념수도갑。시단바라밀인 진언왈
次卽說十波羅蜜印相。智掌仰申垂。空捻水度甲。是檀波羅蜜印 眞言曰
옴 바아바디 난 나 디바뎨 훔 미사리 아보라 야마 남 사바 하
唵 波誐嚩底 難(上引)曩(引) 地跛帝 吽 尾徙𠴊 惹布囉 也麽(引)南 娑嚩(二合)訶
유차인고。일체포외지중개득가호。단바라밀원만
由此印故。一切怖畏之中皆得加護。檀波羅蜜圓滿
다음에 10바라밀계인의 인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른쪽 손바닥이 위로 오게 펴서 아래로 내리고
엄지손가락[空]으로 약손가락[水]의 손톱을 잡으면
이것은 단바라밀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아바디 난나 디바뎨 훔 미사리 아보라 야마남 사바하
(oṃ bhagavati dāna atipati hūṃ biśili jambhala yamana svāhā)
이 인에 의하여 온갖 두려움 중에서도 모두 가호를 받아
단바라밀이 원만하게 성취됩니다.
내박공여침。시계바라밀인 진언왈
內縛空如針。是戒波羅蜜印 眞言曰
옴 시라다 라니 바아바디 훔 호
唵 施羅馱(引)囉抳 婆誐嚩底 吽 臛
유차인 설령파계자。즉성구계 청정지인。
由此印 設令破戒者。卽成具戒 淸淨之人。
내박권에서 엄지손가락[空]을 바늘처럼 곧게 세우면
이것은 계바라밀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시라다라니 바아바디 훔 호(oṃ śiladharani bhagavati hūṃ ho)
이 인에 의하여 설령 파계한 자일지라도 계를 구족한 청정한 사람이 됩니다.
여계풍신합。풍공상거리。시찬제바라밀인 진언왈
如戒風申合。風空相去離。是羼提波羅蜜印 眞言曰
옴 바아바디 가가찬 디리 훔 바타
唵 婆誐嚩底 迦乞羼(二合引) 底哩 吽 發
유차인고。일체포외지중 무유능손해。즉득인욕바라밀원만。
由此印故。一切怖畏之中 無有能損害。卽得忍辱波羅蜜圓滿。
계바라밀인에서 양쪽 집게손가락[風]을 펴서 합하고 집게손가락과
엄지손가락[空]을 서로 떨어지게 하면 이것은 찬제바라밀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아바디 가가찬 디리 훔 박(oṃ bhagavati kṣanti kari hūṃ phaṭ)
이 인에 의하여 온갖 두려움 중에서도 손상되고 해침을 받는 일이 없게 되어
인욕바라밀이 원만하게 됩니다.
여인풍개직。시정진바라밀인 진언왈
如忍風開直。是精進波羅蜜印 眞言曰
옴 미리야 가리 훔 미 리예 미 리예 사바 하
唵 尾哩也(二合)迦哩 吽 尾(引)哩曳(二合) 尾(引)哩曳(二合) 娑嚩(二合)賀
유차인고。득정진바라밀원만。
由此印故。得精進波羅蜜圓滿。
인욕바라밀인에서 집게손가락을 벌려서 곧게 세우면
이것은 정진바라밀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미리야가리 훔 미리예 미리예 사바하(oṃ biryakari hūṃ birya birya svāhā)
이 인에 의하여 정진바라밀이 원만하게 성취됩니다.
결연화좌이(결가야) 선앙서가상。지역이가선시선바라밀인 진언왈
結蓮華坐已(結跏也) 禪仰舒加上。智亦爾加禪是禪波羅蜜印 眞言曰
옴 바아바뎨 살바바바하리 마하나뎨예 훔 훔 호 바타
唵 婆誐嚩帝 薩嚩播跛賀哩 摩賀奈帝曳 吽 吽 臛 發
유차인고 능제일체죄 득선바라밀원만。
由此印故 能除一切罪 得禪波羅蜜圓滿。
연화좌[결가부좌이다.]의 자세로 왼손[禪]의 손바닥이 위로 오도록 펴서
가부좌 위에 올려놓고 오른손[智]도 역시 그렇게 하여 왼손 위에 올려놓으면
이것은 선바라밀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아바뎨 사바바바하리 마하나뎨예 훔 훔 호 박
(oṃ bhagavati sarvapabahari mahādyana hūṃ hūṃ ho phaṭ)
이 인에 의하여 모든 죄가 소멸되어 선바라밀이 원만하게 성취됩니다.
이우배상착。이화반상구。이풍신여침。시자무량심인 진언왈
二羽背相著。二火反相鉤。二風申如針。是慈無量心印 眞言曰
옴 매디례 매다라 기뎨 사바 하
唵 昧底𡅏(二合) 昧怛囉(二合)只帝 娑嚩(二合)賀
유차인고 자무량심원만。
由此印故 慈無量心圓滿。
양 손등을 서로 붙이고 양손의 가운뎃손가락[火]을 서로 반대쪽으로 구부리며
양손의 집게손가락[風]을 펴서 바늘처럼 세우면 이것은 자무량심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매디례 매다라기뎨 사바하(oṃ maitre maitracitte svāhā)
이 인에 의하여 자무량심이 원만하게 성취됩니다.
지주시무외。시비무량심인 진언왈
智住施無畏。是悲無量心印 眞言曰
옴 가로니예 가로니예 옴 하하삼
唵 迦嚕抳曳(二合) 迦嚕抳曳(二合) 唵 荷荷參
유차인고 비무량심원만。
由此印故 悲無量心圓滿。
오른손[智]으로 시무외인을 결하면 이것은 비무량심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가로니예 가로니예 옴 하하삼(oṃ karuṇa karuṇa oṃ hahaṣiṃ)
이 인으로 인하여 비무량심이 원만하게 성취됩니다.
지수내박지。여육신합족 시희무량심인 진언왈
地水內縛之。餘六申合簇 是喜無量心印 眞言曰
옴 모니 모니뎨 훔 하 하 훔 악
唵 母儞 母儞帝 吽 荷 荷 吽 弱
유차인고 희무량심원만。
由此印故 喜無量心圓滿。
새끼손가락[地]과 약손가락[水]을 내박하고
나머지 여섯 손가락을 펴서 합하여 붙이면
이것은 희무량심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모니 모니뎨 훔 하 하 훔 악(oṃ muni munidhi hūṃ ha ha hūṃ jaḥ)
이 인에 의하여 희무량심이 원만하게 성취됩니다.
공지여연소내박。풍여침。시사무량심인 진언왈
空地如連銷內縛。風如針。是捨無量心印 眞言曰
옴 험 험 사바다바 나몌 밤 옴 훔 바트
唵 驗(引) 驗(引) 娑嚩怛嚩(引)曩冥 [鍐-凶+(鬯-匕)] 唵 吽 發
유차인고 사무량심원만。
由此印故 捨無量心圓滿。
엄지손가락[空]과 새끼손가락[地]을 사슬을 이은 듯이 내박하고
집게손가락[風]을 바늘처럼 곧게 세우면 이것은 사무량심인입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험 험 사바다바나몌 밤 옴 훔 박(oṃ yaṃ yaṃ svadabaname baṃ oṃ hūṃ phaṭ)
이 인에 의하여 사무량심이 원만하게 성취됩니다.
여사화신지미개。굴이풍수상주여환。시지바라밀인 진언왈
如捨火申之微開。屈二風首相柱如環。是智波羅蜜印 眞言曰
옴 마마 하양 나가리 훔 사바 하
唵 麽麽 訖穰(二合引)曩迦哩 吽 娑嚩(二合)賀
유차인고 지바라밀원만。
由此印故 智波羅蜜圓滿。
사무량심인에서 가운뎃손가락[火]을 펴서 조금 벌리고
양쪽 집게손가락[風]을 구부려 끝을 서로 맞대어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하면
이것은 지바라밀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마마 하양나가리 훔 사바하
(oṃ mama jñanakari hūṃ svāhā)
이 인에 의하여 지바라밀이 원만하게 성취됩니다.
내박풍여침。시일체바라밀심인 진언왈
內縛風如針。是一切波羅蜜心印 眞言曰
옴 훔 하리 훔 호
唵 吽 紇唎(二合) 吽 臛
내박권에서 집게손가락[風]을 바늘처럼 곧게 세우면
이것은 일체바라밀심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훔 하리 훔 호
(oṃ hūṃ kri hūṃ ho)
세존。유결차십바라밀인。당득십지만족。행자 매신조결지。
世尊。由結此十波羅蜜印。當得十地滿足。行者 每晨朝結之。
일체숙업죄장 개득소멸。일체중생 견행인자。심생공경지심
一切宿業罪障 皆得消滅。一切衆生 見行人者。深生恭敬之心
(여상심인 어십이비관음법중 광설)
(如上心印 於十二臂觀音法中 廣說)
세존이시여, 이 열 개의 바라밀인에 의하여
반드시 10지를 만족하게 이룰 것이니
수행자가 매일 새벽 그것들을 결하면 숙업의 죄와 장애가 모두 소멸되며,
모든 중생이 그 수행자를 보면 깊이 공경하는 마음을 낼 것입니다.”
[위와 같은 심인은 12비관음법 중에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부백불언。세존。아금설보통연화부중인。허공합장이。산개수화풍시。
復白佛言。世尊。我今說普通蓮花部中印。虛空合掌已。散開水火風是。
연화부진언왈
蓮花部眞言曰
옴 나막 살바다타 아다 남 바나 모나바바 야 사바 하
唵 曩謨 薩嚩怛他(引)誐多(引)南(引) 跛納 謨納婆嚩(引)也 娑嚩(二合)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널리 통하는 연화부의 계인을 말하겠습니다.
허공합장을 하고 나서 약손가락[水]ㆍ가운뎃손가락[火]ㆍ집게손가락[風]을
떨어뜨려 벌리면 이것은 연화부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나막 살바다타아다남 바나 모나바바야 사바하
(oṃ namaḥ sarvatathāgatanāṃ padma udbhavaye svāhā)
지우양장이。공념어수갑시염주인 진언여상 (준중호)
智羽揚掌已。空捻於水甲是念珠印 眞言如上 (準重呼)
바라사보 라
缽囉塞普(二合)囉
오른손[智]을 손바닥이 위로 오도록 펴서
엄지손가락[空]으로 약손가락[水]의 손톱을 잡으면 이것은 염주인이 됩니다.
진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앞의 것과 같이 거듭 염송한다.]
바라사보라(prasphara)
선권직수공 시관자재장인。선권수공화。시관자재조관인。내박수이공。
禪拳直豎空 是觀自在杖印。禪拳豎空火。是觀自在澡罐印。內縛豎二空。
초굴기상절。시마두인(상삼인진언여전설)
稍屈其上節。是馬頭印(上三印眞言如前說)
왼손[禪]으로 권을 만들고 엄지손가락[空]을 수직으로 세우면
이것은 관자재장인이 됩니다.
왼손으로 권을 만들고 집게손가락[空]과 가운뎃손가락[火]을 수직으로 세우면
이것은 관자재조관인이 되고,
내박권에서 양쪽 엄지손가락[空]을 수직으로 세우고
그 손가락의 첫째 마디를 조금 구부리면 이것은 마두인이 됩니다.
[이 세 가지 인의 진언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
내박풍신합。이공역병수。시제이심인。불역제이심。풍상주여환。시백의관자재인
內縛風申合。二空亦並豎。是第二心印。不易第二心。風相跓如環。是白衣觀自在印
진언왈
眞言曰
옴 가뎨 미가뎨 가타 잉 가뎨 사바 하
唵 迦致 尾迦致 迦吒[口*孕] 迦致 娑嚩(二合)賀
내박권에서 집게손가락[風]을 펴서 합하고 양쪽 엄지손가락[空]을 나란히 세우면
이것은 두 번째 심인이 되며,
두 번째 심인을 바꾸지 않고 집게손가락[空]을 서로 맞대어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하면 이것은 백의관자재인이 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가뎨 미가뎨 가타잉 가뎨 사바하(oṃ kaṭi bikaṭi kaṭaṃ kaṭi svāhā)
내박천안인。
內縛千眼印。
세존。여시등인。성변일체의리。아어별법지중역이선설。역능성취천수천안법문
世尊。如是等印。成辦一切義利。我於別法之中亦已宣說。亦能成就千手千眼法門
내박권은 천안인입니다.
세존이시여, 이와 같은 계인들은 모든 의리를 성취하게 하며,
제가 다른 법에서 이미 말한 것들도 또한
천수천안법문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우 백불언。세존。수행자 성취진언법。위제제장 급가호본명고。응어정실벽상。
又 白佛言。世尊。修行者 成就眞言法。爲除諸障 及加護本明故。應於精室壁上。
화일방만다라。소화지인 수팔재계。조제채색 물용피교。어중화일백엽개부연화。
畫一方曼荼羅。所畫之人 受八齋戒。調諸彩色 勿用皮膠。於中畫一百葉開敷蓮花。
구족태예。어태중위서차진언。진언왈
具足胎蕊。於胎中位書此眞言。眞言曰
옴 바나모 나바바 야 사바 하
唵 跛納謨 納婆嚩(引)也 娑嚩(二合)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진언법을 성취한 수행자는 모든 장애를 제거하고
본 명왕의 가호를 받기 위하여 정실의 벽에 반드시 정방형의 만다라를 하나
그려야 합니다.
그림 그리는 사람은 8재계를 받고 채색할 물감을 제도하되
가죽과 아교는 쓰지 말고, 중앙에 잎이 100장인 활짝 핀 연꽃이
꽃술을 두루 갖춘 모습을 그리고 꽃술의 가운데에는 진언을 적어야 합니다.
진언으로 송합니다.
옴 바나모 나바바야 사바하(oṃ padma udbhavaye svāhā)
어화우변화념주。좌변조관。화지상방화신선。하방화장。이향화공양。어차단전
於花右邊畫念珠。左邊澡罐。華之上方畫神線。下方畫杖。以香花供養。於此壇前
결일체인。유작여시법고。일체사업 일체계인 개득성취。
結一切印。由作如是法故。一切事業 一切契印 皆得成就。
꽃의 오른쪽에는 염주를 그리고 왼쪽에는 조관을 그리며
연꽃의 위에는 신선을 그리고 아래쪽에는 석장을 그리며,
향과 꽃을 공양하고 나서 이 단 앞에서 계인을 결하면
이러한 법을 시행함에 의하여 하는 일과 계인이 모두 성취됩니다.
세존。아설차대력대용건지법。약욕구설경。무량겁역불가진。
世尊。我說此大力大勇健之法。若欲具說經。無量劫亦不可盡。
시법왕석금강장보살이증선설。아부족진언금강부족진언。개의차법 이득실지。
是法往昔金剛藏菩薩已曾宣說。我部族眞言金剛部族眞言。皆依此法 而得悉地。
소유세천 범왕 나라연 대자재 구마라천 모중천 금시조 제귀신등 진언。亦依此法
所有世天 梵王 那羅延 大自在 俱摩羅天 母衆天 金翅鳥 諸鬼神等 眞言。亦依此法
이득실지。유대차재송。칙성입일체만다라。일체중생 개당경념。일체오무간죄
而得悉地。由對此纔誦。則成入一切曼荼羅。一切衆生 皆當敬念。一切五無間罪
개득소멸。림명종시。관자재보살 즉당현신전 이위설법。명종지후 생도솔천궁。
皆得消滅。臨命終時。觀自在菩薩 卽當現身前 而爲說法。命終之後 生兜率天宮。
불타어삼악도。
不墮於三惡道。
세존이시여, 제가 이러한 큰 위력을 지닌 용맹하고 굳건한 법을 말씀드렸으나
만일 이 경을 모두 갖추어 말씀드리려면
한량없는 겁에도 오히려 다 말할 수 없습니다.
이 법은 옛날 금강장보살이 이미 말하였고
저의 부족의 진언과 금강부족의 진언이 모두 이 법에 의하여 실지를 얻었으며,
세간에 있는 범천왕ㆍ나라연ㆍ대자재천ㆍ구마라천ㆍ모중천ㆍ금시조ㆍ
모든 귀신 등의 진언도 또한 이 법에 의하여 실지를 얻었사오니,
이들을 대하고 염송하기만 하여도 곧 모든 만다라에 들어가며,
중생들이 반드시 공경하는 마음을 내며, 5무간죄가 모두 소멸되며,
임종할 때에 관자재보살이 반드시 그의 앞에 몸을 나타내어
그를 위하여 법을 말해 주며, 목숨이 다한 후에는 도솔천궁에 태어나게 되며,
3악도에 떨어지지 않게 됩니다.
혹유중생 불신삼보。다제간린。잠문차경 내지독송。피등불구 역당성취。
或有衆生 不信三寶。多諸慳吝。暫聞此經 乃至讀誦。彼等不久 亦當成就。
황어삼보 정신지인。
況於三寶 淨信之人。
혹 어떤 중생이 3보를 믿지 않고 모든 것에 인색하더라도
잠시 이 경을 듣거나 독송하기만 하면 그들도 머지않아 반드시 성취할 것이니
하물며 3보를 청정하게 믿는 사람이야 성취하지 못하겠습니까?”
이시 여래 찬관자재보살언
爾時 如來 讚觀自在菩薩言
선재선재대살타 대비주대살타위 여금설대진언왕 리낙정신중생고
善哉善哉大薩埵 大悲住大薩埵位 汝今說大眞言王 利樂淨信衆生故
이 때 여래께서 관자재보살을 칭찬하여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대살타여.
대비심으로 대살타의 지위에 머물러 있구나.
그대가 이제 으뜸가는 큰 진언을 설하여
청정한 믿음 지닌 중생들을 이롭고 즐겁게 하는구나.
관자재보살 설차경이。제대보살 급아라한。제천룡 야차 긴나라 마호라가등。
觀自在菩薩 說此經已。諸大菩薩 及阿羅漢。諸天龍 藥叉 緊那羅 摩呼囉伽等。
개대환희 신수봉행。
皆大歡喜 信受奉行。
관자재보살이 이 경을 말하고 나자 모든 대보살과 아라한ㆍ천ㆍ용ㆍ약차ㆍ
긴나라ㆍ마호라가 등이 크게 기뻐하며 굳게 믿고 받들어 행하였다.
금강공포집회방광궤의관자재보살삼세최승심명왕경 일권
金剛恐怖集會方廣軌儀觀自在菩薩三世最勝心明王經 一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