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환자 준비사항
① 금식이 필요한 검사(콜레스테롤, 혈당검사 등)가 처방된 환자인 경우 8시간 이상 공복을 유지
② 특정 음식물(또는 약물)등의 섭취를 금해야 하는 검사 처방인지를 확인 후 채혈
③ 약물 독성농도를 알기 위해선 약물 투여 2시간 후에 채혈
④ 특별한 약물 복용, 커피, 음주 여부 등도 확인
2) 채혈 (정맥 채혈)
① 여러 종목의 검사(전혈, 혈장 등 사용)를 위하여 동시에 채혈할 때는 채혈량을 미리 계산해야 합니다. 보통, 혈장 혹은 혈청을
사용해야 할 경우 채혈양은 필요한 검체양의 3배를 채혈해야 합니다.
② 검사에 맞는 용기 준비 후 환자 이름, 병원명, 채혈일자 기록합니다.
③ 환자의 팔을 책상 위(심장 위치와 같은)에 올려놓고 힘을 뺀 상태로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합니다.
④ Tourniquet을 채혈하고자 하는 부위로부터 8~10㎝ 윗 부분에 묶습니다.
⑤ 적절한 부위를 선정한 후 70% 알코올 솜으로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겹치지 않게 원을 그리면서 소독한 후 말리고, 그 부위를
무균적으로 유지합니다.
⑥ 바늘 끝 경사면(bevel)이 위로 향하게 하고 바늘을 15°각도로 피부에 천자합니다.
- 주사기 : plunger를 천천히 뒤로 당겨 채혈합니다. 급하게 당기면 용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진공채혈관 : 받침을 고정시키고 채혈관을 밀어 넣습니다. 채혈이 끝나면 조심스럽게 뺍니다.
⑦ 채혈이 시작되면 압박띠를 풀어줍니다.
⑧ 바늘을 제거하고, 채혈부위를 압박해 줍니다.
⑨ 항응고제와 혈액이 잘 섞이도록 채혈관을 천천히 뒤집어 줍니다.
⑩ 채혈 용기 담는 순서 (이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혈액검사 용기 종류)
순서 | 병/마개색깔 | 시험관명 | 첨가제 | 용도 및 주의사항 |
---|---|---|---|---|
1 | ![]() | Blood culture bottles | 세균배양액 | 혈액배양 |
2 | ![]() | Citrate tube | 3.2% sodium citrate | 혈장사용, 혈액응고검사 항응고제 : 혈액 = 1:9 시험관 눈금까지 채혈 |
3 | ![]() | Serum separator tube (SST) | Clot activator, gel | 혈청사용, 화학, 면역, 혈액은행검사 |
4 | ![]() | Heparin tube | Lithium or sodium heparin | 혈장사용 일부 화학 검사 |
5 | ![]() | EDTA tube | K3 EDTA | 혈장사용 일반혈액검사, 일부 화학검사 |
6 | ![]() | Sodium fluoride tube | Sodium fluoride/ Potassium oxalate | 혈장사용 혈당검사 |
⑪ 혈액 분리 및 보관
- SST 경우 벽면의 도포된 Clot activator와 잘 섞일 수 있도록 가볍게 위, 아래로 흔들어 주고, 30분~1시간 실온에 세워둔 후,
혈청분리를 합니다.
- 다른 항응고제가 첨가된 시험관은 위, 아래로 가볍게 흔들어 항응고제와 잘 섞이게 한 후, 혈장분리를 합니다.
⑫ 분리된 혈청 또는 혈장은 냉장보관 후 검사실로 의뢰합니다.
1) 임의뇨(Random Urine)
일반 뇨검사를 위해 아침 첫 소변의 중간뇨를 받아야 합니다. 처음 30 mL 가량은 버린 후 중간뇨를 깨끗하고 건조된 용기에 받습니다. 뇨는 시간이 경과하면 세균의 번식과 화학적 변성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채취 후 빨리 의뢰하시고, 의뢰하기 전까지 반드시 냉장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2) 24시간 뇨(24hr's Urine ; Day Urine)
호르몬, 단백, 전해질 등을 정량 검사할 때는 24시간 뇨를 모아야 합니다. 지정된 시간에 나온 뇨는 버려 방광을 비우고, 그 이후부터 다음날 지정된 시간 (예: 오전 07:00부터 다음날 오전 07:00) 까지의 모든 소변과 마지막에 본 소변을 함께 용기에 받습니다. 잘 혼합한 다음, 필요량(30~50mL)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이 때, 환자명, 채취일, 채취시간, 총량(Total volume)을 정확히 기입합니다. 요검사는 채뇨 후 신선한 뇨로 검사하는 것이 원칙이나, 그렇지 못할 경우 적절한 보관방법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요 보존제 종류 및 특징
보존제 | 보존제량 | 특징 |
---|---|---|
톨루엔 (Toluene) | 2mL / 100mL Urine | 화학적인 성분 보존에 좋으며 표면에 도포되어 공기의 출입은 막으나 미생물의 증식은 막지 못합니다. 여러 가지 뇨화학 검사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포르말린 (Formalin) | 한 방울 / 10mL Urine | 침전세포의 고정 및 보존에 적합합니다. 당검사에 위양성을 나타내며 과량을 가하면 urea를 침전시켜 요침사 및 요화학 검사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
붕산 (Boric acid) | 1g / 100mL Urine | 침전세포의 고정 및 보존에 적합합니다. 당검사에 위양성을 나타내며 과량을 가하면 urea를 침전시켜 요침사 및 요화학 검사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
6N 염산 (HCI) | 2mL / 100mL Urine | 보통 뇨는 pH 6.0~7.0 전후(약산성)이며, 방치해 두면 뇨 중에 암모니아가 증가하여 알칼리로 변성됩니다. 알칼리 물질은 Catecholamine 등의 물질을 분해하므로 산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염산(6N HCI)을 넣어야 합니다. |
아세트산 | 1.7mL / 100mL Urine | Hormone검사에 적합합니다. |
티몰 (Thymol) | 작은 결정체 / 100mL Urine | 세균이나 효모발육을 억제합니다. 과량 투입시 단백 침전 검사에 위양성을 나타내며 담즙검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24시간 소변을 이용한 검사항목의 권장 보존제
검사항목 | 보존제(권장) | 권장 보존제 외 사용가능 | 유의사항 |
---|---|---|---|
17-KGS | Toluene | 무방부제(냉장) | |
17-KGS 분획 | Toluene | 무방부제(냉장) | |
17-KS | 1% HCI | 무방부제(냉장) | |
17-OHCS | 1% HCI | 무방부제(냉장) | |
5-HIAA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Aldosterone | 무방부제(냉장) | Boric acid | |
Amylase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As (Arsenic) | 무방부제(냉장) | 50% Acetic acid | 채뇨 시작 전 최소 48시간 동안 해산물 섭취 금지 |
6N HCI | |||
BUN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Cd (Cadmium) | 무방부제(냉장) | ||
Ca (Calcium)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Catecholaminme 분획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CCR (Creatinine Clearance)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혈청과 동시 의뢰 |
Citrate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Cl (Chloride)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Co (Cobalt) | 무방부제(냉장) | ||
Cu (Copper) | 무방부제(냉장) | ||
Coproporphyrin 정량 | 10% Sod.carbonate | 차광/성인은 20mL, 5세 이하 15mL 첨가 | |
Cortisol, Free | 무방부제(냉장) | Boric acid, Toluene | |
C-Peptide | 무방부제(냉장) | ||
Creatine | 무방부제(냉장) | ||
Creatinine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Cyclic AMP | Toluene | ||
Delta (δ)-ALA | Acetic acid | 무방부제(냉장) | 차광 |
HVA (Homovanillic acid) 정량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Hydroxyproline, Total | 무방부제(냉장) | ||
Hydroxyproline, Free? | 6N HCI | ||
K (Potassium)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Metanephrine분획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Methylmalonic acid 정량 | 무방부제(냉장) | ||
Mg (Magnesium)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Microalbumin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Na (Sodium)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Oxalate | 6N HCI | Toluene, 50% Acetic acid | |
P (Phosphorus)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PBG (Porphobilinogen) 정량 | Acetic acid | 무방부제(냉장) | 차광 |
Pregnanediol (P2)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Pregnanetriol (P3)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Protein, Total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Se (Selenium) | 무방부제(냉장) | 50% Acetic acid, 6N HCI | |
Uric acid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VMA (VanillylMandelic acid) 정량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Zn (Zinc) | 무방부제(냉장) |
① 금식이 필요한 검사(콜레스테롤, 혈당검사 등)가 처방된 환자인 경우 8시간 이상 공복을 유지
② 특정 음식물(또는 약물)등의 섭취를 금해야 하는 검사 처방인지를 확인 후 채혈
③ 약물 독성농도를 알기 위해선 약물 투여 2시간 후에 채혈
④ 특별한 약물 복용, 커피, 음주 여부 등도 확인
① 여러 종목의 검사(전혈, 혈장 등 사용)를 위하여 동시에 채혈할 때는 채혈량을 미리 계산해야 합니다. 보통, 혈장 혹은 혈청을
사용해야 할 경우 채혈양은 필요한 검체양의 3배를 채혈해야 합니다.
② 검사에 맞는 용기 준비 후 환자 이름, 병원명, 채혈일자 기록합니다.
③ 환자의 팔을 책상 위(심장 위치와 같은)에 올려놓고 힘을 뺀 상태로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합니다.
④ Tourniquet을 채혈하고자 하는 부위로부터 8~10㎝ 윗 부분에 묶습니다.
⑤ 적절한 부위를 선정한 후 70% 알코올 솜으로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겹치지 않게 원을 그리면서 소독한 후 말리고, 그 부위를
무균적으로 유지합니다.
⑥ 바늘 끝 경사면(bevel)이 위로 향하게 하고 바늘을 15°각도로 피부에 천자합니다.
- 주사기 : plunger를 천천히 뒤로 당겨 채혈합니다. 급하게 당기면 용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진공채혈관 : 받침을 고정시키고 채혈관을 밀어 넣습니다. 채혈이 끝나면 조심스럽게 뺍니다.
⑦ 채혈이 시작되면 압박띠를 풀어줍니다.
⑧ 바늘을 제거하고, 채혈부위를 압박해 줍니다.
⑨ 항응고제와 혈액이 잘 섞이도록 채혈관을 천천히 뒤집어 줍니다.
⑩ 채혈 용기 담는 순서 (이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혈액검사 용기 종류)
순서 | 병/마개색깔 | 시험관명 | 첨가제 | 용도 및 주의사항 |
---|---|---|---|---|
1 | ![]() | Blood culture bottles | 세균배양액 | 혈액배양 |
2 | ![]() | Citrate tube | 3.2% sodium citrate | 혈장사용, 혈액응고검사 항응고제 : 혈액 = 1:9 시험관 눈금까지 채혈 |
3 | ![]() | Serum separator tube (SST) | Clot activator, gel | 혈청사용, 화학, 면역, 혈액은행검사 |
4 | ![]() | Heparin tube | Lithium or sodium heparin | 혈장사용 일부 화학 검사 |
5 | ![]() | EDTA tube | K3 EDTA | 혈장사용 일반혈액검사, 일부 화학검사 |
6 | ![]() | Sodium fluoride tube | Sodium fluoride/ Potassium oxalate | 혈장사용 혈당검사 |
⑪ 혈액 분리 및 보관
- SST 경우 벽면의 도포된 Clot activator와 잘 섞일 수 있도록 가볍게 위, 아래로 흔들어 주고, 30분~1시간 실온에 세워둔 후,
혈청분리를 합니다.
- 다른 항응고제가 첨가된 시험관은 위, 아래로 가볍게 흔들어 항응고제와 잘 섞이게 한 후, 혈장분리를 합니다.
⑫ 분리된 혈청 또는 혈장은 냉장보관 후 검사실로 의뢰합니다.
1번째 용기 : 화학 or 면역학적 검사용
2번째 용기 : 세균검사용
3번째 용기 : 세포수 산정 및 백혈구 감별검사
① 흉수, 복수, 심낭액 : 세포수 산정, 화학검사, 세균검사를 할 때는 EDTA tube을 사용합니다.
② 관절액에서 crystal을 보고자 하는 경우는 Heparin tube을 사용합니다.
일반 뇨검사를 위해 아침 첫 소변의 중간뇨를 받아야 합니다. 처음 30 mL 가량은 버린 후 중간뇨를 깨끗하고 건조된 용기에 받습니다. 뇨는 시간이 경과하면 세균의 번식과 화학적 변성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채취 후 빨리 의뢰하시고, 의뢰하기 전까지 반드시 냉장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호르몬, 단백, 전해질 등을 정량 검사할 때는 24시간 뇨를 모아야 합니다. 지정된 시간에 나온 뇨는 버려 방광을 비우고, 그 이후부터 다음날 지정된 시간 (예: 오전 07:00부터 다음날 오전 07:00) 까지의 모든 소변과 마지막에 본 소변을 함께 용기에 받습니다. 잘 혼합한 다음, 필요량(30~50mL)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이 때, 환자명, 채취일, 채취시간, 총량(Total volume)을 정확히 기입합니다. 요검사는 채뇨 후 신선한 뇨로 검사하는 것이 원칙이나, 그렇지 못할 경우 적절한 보관방법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보존제 | 보존제량 | 특징 |
---|---|---|
톨루엔 (Toluene) | 2mL / 100mL Urine | 화학적인 성분 보존에 좋으며 표면에 도포되어 공기의 출입은 막으나 미생물의 증식은 막지 못합니다. 여러 가지 뇨화학 검사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포르말린 (Formalin) | 한 방울 / 10mL Urine | 침전세포의 고정 및 보존에 적합합니다. 당검사에 위양성을 나타내며 과량을 가하면 urea를 침전시켜 요침사 및 요화학 검사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
붕산 (Boric acid) | 1g / 100mL Urine | 침전세포의 고정 및 보존에 적합합니다. 당검사에 위양성을 나타내며 과량을 가하면 urea를 침전시켜 요침사 및 요화학 검사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
6N 염산 (HCI) | 2mL / 100mL Urine | 보통 뇨는 pH 6.0~7.0 전후(약산성)이며, 방치해 두면 뇨 중에 암모니아가 증가하여 알칼리로 변성됩니다. 알칼리 물질은 Catecholamine 등의 물질을 분해하므로 산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염산(6N HCI)을 넣어야 합니다. |
아세트산 | 1.7mL / 100mL Urine | Hormone검사에 적합합니다. |
티몰 (Thymol) | 작은 결정체 / 100mL Urine | 세균이나 효모발육을 억제합니다. 과량 투입시 단백 침전 검사에 위양성을 나타내며 담즙검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검사항목 | 보존제(권장) | 권장 보존제 외 사용가능 | 유의사항 |
---|---|---|---|
17-KGS | Toluene | 무방부제(냉장) | |
17-KGS 분획 | Toluene | 무방부제(냉장) | |
17-KS | 1% HCI | 무방부제(냉장) | |
17-OHCS | 1% HCI | 무방부제(냉장) | |
5-HIAA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Aldosterone | 무방부제(냉장) | Boric acid | |
Amylase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As (Arsenic) | 무방부제(냉장) | 50% Acetic acid | 채뇨 시작 전 최소 48시간 동안 해산물 섭취 금지 |
6N HCI | |||
BUN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Cd (Cadmium) | 무방부제(냉장) | ||
Ca (Calcium)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Catecholaminme 분획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CCR (Creatinine Clearance)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혈청과 동시 의뢰 |
Citrate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Cl (Chloride)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Co (Cobalt) | 무방부제(냉장) | ||
Cu (Copper) | 무방부제(냉장) | ||
Coproporphyrin 정량 | 10% Sod.carbonate | 차광/성인은 20mL, 5세 이하 15mL 첨가 | |
Cortisol, Free | 무방부제(냉장) | Boric acid, Toluene | |
C-Peptide | 무방부제(냉장) | ||
Creatine | 무방부제(냉장) | ||
Creatinine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Cyclic AMP | Toluene | ||
Delta (δ)-ALA | Acetic acid | 무방부제(냉장) | 차광 |
HVA (Homovanillic acid) 정량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Hydroxyproline, Total | 무방부제(냉장) | ||
Hydroxyproline, Free? | 6N HCI | ||
K (Potassium)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Metanephrine분획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Methylmalonic acid 정량 | 무방부제(냉장) | ||
Mg (Magnesium)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Microalbumin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Na (Sodium)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Oxalate | 6N HCI | Toluene, 50% Acetic acid | |
P (Phosphorus)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PBG (Porphobilinogen) 정량 | Acetic acid | 무방부제(냉장) | 차광 |
Pregnanediol (P2)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Pregnanetriol (P3)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Protein, Total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Se (Selenium) | 무방부제(냉장) | 50% Acetic acid, 6N HCI | |
Uric acid | 무방부제(냉장) | Toluene | |
VMA (VanillylMandelic acid) 정량 | 6N HCI | 무방부제(냉장) | |
Zn (Zinc) | 무방부제(냉장) |
ㆍ2~3g을 대변용기에 채취하여 보내십시오.
① 미리 무게를 잰, 잘 봉해진 용기에 채취합니다.
② 전체 검체의 무게를 측정합니다.
③ 균등한 혼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검체 내용물을 혼합한 후 멸균된 플라스틱 용기에 약 4~5g을 채취한 후 나사마개의 플라스틱
용기를 잘 봉합니다.
④ 환자명, 채취일, 채취시간, 전체무게를 검체용기와 의뢰서 모두에 기록하여 의뢰합니다.
1) 일반 세균 검사
① Sputum (객담)
일반적으로 구강 내의 정상 상재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채취 전 소독된 증류수 혹은 생리식염수로 5~6회 양치 후, 깊은 기침을
하여 무균 컵에 단회의 검체를 받아 냉장보관합니다.
② Throat (인두점액)
객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검체 채취 전 소독된 증류수 혹은 생리식염수로 5~6회 양치를 한 후 면봉으로 인두후벽, 또는 염증이
있는 병변 부위를 도말채취 하여 수송배지에 넣어 의뢰바랍니다 (면봉을 멸균시험관에 넣어 보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검체 채취 시 면봉이 환자의 입술, 혀 등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기 바랍니다.
③ Stool (대변)
세균에 의한 감염성 설사증에서는 급성기의 배출변을 검체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균은 일반적으로 변의 농성부(膿性部)나
점혈부(粘血部)에 많이 존재하므로 특히 이와 같은 부분의 검체를 면봉에 충분히 묻혀서 수송배지에 넣고 의뢰바랍니다.
Salmonellosis 의심 시에는 Stool 검체를 1~2g 채취하여 Stool Box에, Shigellosis 의심 시에는 Rectal Swab을 하여 수송배지에
넣어 보내주십시오. 채취 후 검사실로 보낼 때까지는 냉장보관 바라며 냉동 (-70℃ 이하)에서 보존하면 장기간 안전합니다.
④ Urine (소변)
뇨 검체는 아침 첫 뇨가 좋으며 정량검사(Colony Count)를 하므로 요도 입구를 잘 소독한 후 최초 20~25mL는 버리고 나머지 중간
뇨를 무균적으로 채뇨 용기에 받아 지체 없이 의뢰바랍니다. 특히 결핵균이나 진균검사를 위한 뇨검체는 아침 첫 뇨로 최저 3일간
연속 시행하여야 하며 요도염(Urethritis) 진단을 위해서는 요도의 배설물이 검체로 적당합니다. 채취 후 검사실로 보내실 때까지는
냉장보관 바라며, 단 임균(Neisseria gonorrheae) 배양시는 37℃로 유지해 주십시오. Foley catheter tip은 배양하지 않습니다.
⑤ CSF (Cerebrospinal Fluid, 뇌척수액)과 각종 천자액
멸균용기에 5~10mL 정도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냉장보관하지 말고 지체 없이 의뢰바랍니다. 즉시 검사를 원칙으로 하며 세균
검사를 위한 검체는 지연되더라도 실온에 보관해야 합니다.
⑥ Blood (혈액)
혈액 배양 시 검체는 24시간 이내에 3회 연속(최소 30분 간격) 실시하여야 하며, 2회 이상 동일 균종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원인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4시간 이내에 3회 채혈이 불가능한 경우는 한 번에 다른 2개 부위에서 각각 채혈하여 동일 균종이 검출되면
역시 원인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채혈은 피부소독용 알콜, 요오드액이 완전히 마른 후 무균조작으로 혈액 20mL 채혈하여 혈액배양배지의 속 고무 마개를 주사침
으로 관통하여 각각 10mL씩(영아 5mL) 주입하여 뚜껑을 막고 가볍게 잘 혼합하여 실온 상태로 보내주십시오.
⑦ Wound and Soft tissue Culture (창상과 연부조직 배양)
상처의 감염원은 호기성, 혐기성 세균 등 여러 가지 균이 섞여 (Polymicrobial) 자랄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배양 검체는 정상
피부를 통해 생검이나 세침흡입에 의한 조직 검체를 얻는 것이나, 개방창의 경우는 불가능하므로, 개방창에서는 적절히 괴사
조직을 긁어내고, 깨끗이 닦은 후 병변의 경계부위 조직을 생검하여 얻습니다. 농 자체를 세침흡입하여 배양하는 것도 유용한
방법입니다. 연부조직검체는 괴사조직을 피하여 3~4mm 이상 직경의 생검조직을 얻어 건조거나, 오염되지 않게 밀봉용기에
넣어 보내 주십시오.
⑧ Genital Culture (생식기 검체)
ⓐ 자궁경관 검체는 질 내의 세균이 오염되지 않게 하면서, 윤활유나 Talcum Powder를 쓰지 않고 Speculum을 이용하여 면봉을
사용합니다. 첫 번째 면봉으로는 점액을 제거하고 새로운 면봉으로 endocervical canal에 넣어 검체를 채취하여 멸균용기나
수송 용기에 넣어서 보냅니다.
ⓑ 요도 검체는 분비물이 많을 때는 면봉으로 채취하고 적을 때는 요도의 2cm 깊이까지 가느다란 면봉을 넣어 채취합니다.
⑨ 안과 검사 대상 물체
안과 검사대상 물체는 아래쪽 눈꺼풀의 안쪽 또는 안쪽 눈구석으로부터 감염균을 면봉으로 채취해, 바로 미생물 수송배지에
넣습니다.
⑩ 부비강 검사 대상 물체
코 세정 후 상악동에 구멍을 뚫어 주사기로 흡입해, 공기를 제거하여 고무마개에 천자하여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내용물을
미생물 혐기성배지에 넣습니다.
2) 혐기성 세균검사
① 검체 종류:혐기성 상재균이 없거나 균이 없는 부위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채취한 모든 검체는 혐기성 배양을 시행해야 합니다.
적합한 검체는 심부 농양에서의 흡인액, 수술로 얻어진 관절액이나 기타 조직 검체, culdocentesis로 얻어진 복강액, 치골 상부
흡인뇨 등입니다.
※ 혐기성 배양이 필요한 검체
* 조직 깊숙히 있는 농양, 특히 foul odor 또는 fetid odor가 있는 경우
* gas gangrene이나 gas 생성 괴사조직
* 뇌, 폐, 간, 직장부위, 복강내 또는 횡격막하 부위의 농양
* 사람이나 동물에 물린 부위의 검체
② 검체 채취: 혐기성 세균은 많은 수가 상재균으로 존재하기에 약간의 혼입으로도 검사결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점막이나 피부 병소에서 검체 채취 시 표면을 철저히 소독하여야 합니다. 면봉으로 채취한 검체는 산소에 노출되며 마르기
쉬우므로 가능한 다른 채취방법을 이용합니다. 농 (pus)의 경우 가능하면 주사기로 흡인하여 채취합니다. 피부 소독은 70%
알코올로 중앙에서 밖으로 원을 그리며 세게 닦은 후, 요오드 소독제를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소독한 후 30초에서 1분간
기다립니다. 요오드 소독제에 민감한 환자들이 많기 때문에 검체 채취 후 알코올로 다시 닦아 내도록 합니다. 개방농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주변을 소독한 후 심부의 신선한 농을 멸균 면봉으로 충분히 채취하여(Swab) 수송배지에 넣어 보내주십시오.
(검사의뢰서에 "혐기성 배양"이라고 표시하여 주시고 Swab Culture와 Gram Stain을 동시 의뢰할 경우 2개의 면봉을 보내
주십시오).
③ 검체적합성: 상재균의 혼입으로 배양결과를 해석할 수 없기에 혐기성 배양을 하지 않는 검체는 인두, 비인두 면봉검체, 구강 점막
검체, 객담, 위, 소장의 내용물, 변, 직장 면봉, 요, 도뇨관으로 채채한 뇨, 질, 자궁경부 면봉 검체, 욕창 표면 채취 검체 등입니다.
④ 검체 운송: 채취한 검체는 산소에 노출되지 않도록 조치하여 운송합니다. 면봉은 수송배지에 넣어서 신속히 검사실로 운반하여,
혈액은 혐기성 혈액배양용 배지에 즉시 접종합니다. 분비액, 농의 경우 냉장보관을 하면 안됩니다.
3) 항산균(결핵균) 검사
결핵균 배양을 위한 검체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Sputum(객담):아침 첫 객담을 한번에 받습니다 (일반 세균검체채취법 참고). 이때, 여러 번 모은 검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러 번 모은 검체가 한번에 채취한 검체보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② Urine (소변):아침 첫 뇨 전부를 멸균 용기에 채취하여 즉시 의뢰바랍니다. 24시간 채취한 뇨는 부적합합니다. (뇨는 결핵균을
손상시키므로 오래 방치하지 말며 3-5일간 계속 채뇨하여 검사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③ Gastric juice (위액):8시간 금식 후 아침 공복에 채취하여 즉시 의뢰바랍니다. 객담을 받을 때처럼 3일 연속해서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위액은 강산이며 또 그 속의 효소 등으로 검체에 영향이 크므로 오래 방치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④ 체액 (뇌척수액, 늑막액, 복수 등):무균적으로 10mL 정도 채취하여 즉시 의뢰바랍니다.
⑤ 조직 (Lymph node, Bone marrow 등) : 마르지 않게 생리식염수에 넣어 운송해야 합니다.
⑥ 혈액, 대변 등 : 혈액이나 대변은 주로 면역억제환자, 특히 AIDS 환자에서 Mycobacterium avium, complex (MAC)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양을 실시하며 결핵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 검체채취 전 화학요법의 중단은 큰 의의가 없으나 위액, 소변, 늑막액 및 기타 체액의 경우 채취 전 24~48시간의 중단이
필요합니다.
4) 바이러스 검사
검체는 감염 병소에서 채취하여야 하고, 일반적으로 질병 경과가 길수록 바이러스 검출률이 낮아 감염 초기에 채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사할 검체의 종류는 임상소견, 의심되는 바이러스 및 계절에 따라 달라지므로, 검사를 의뢰할 때는 검체의 종류와 의심되는 바이러스가 명시되어야 합니다. 주로 이용되는 검체는 체액, 삼출액, 조직, 상기도 세척액, 대변, 소변 등입니다. 바이러스 운송배지에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채취 즉시 검사실로 보내져 즉시 실험하여야 하나 그렇지 못한 경우, 검사가 4-5일간 늦어질 때는 4℃에, 6일 이상 늦어질 때는 -20℃에, 더 좋기는 -70℃에 보관합니다. 검체를 얼리기 전에 바이러스 수송배지와 섞어야 하며, 면봉에 채취한 검체는 바이러스 수송배지에 넣고 잘 섞이도록 흔들어서 보내야 합니다.
검체 채취 방법 및 임상정보
검 체 종 류 | 검체용기 | 검 체 량 | 기 타 유 의 사 항 |
---|---|---|---|
상부호흡기 검체 | UTM | 발병 후 수일 이내에 채취 | |
타액 | UTM | 2~3mL | |
하부호흡기 검체 | UTM | 발병 후 수일 이내에 채취 | |
Blood | 전용 용기 | 전혈 5~8mL | 검사항목에 따라 검체종류 다름: 의뢰 전 문의 |
배양 검사시에는 혈액검체 불가 | |||
cervical, urethral specimen | UTM | ||
CSF | 멸균 용기 | 3~5mL | Bloody한 검체는 피하는 것이 좋음 |
(혈액 내에 존재하는 항체가 바이러스 배양에 억제작용) | |||
Eye | UTM | 운송배지에 사용된 면봉 모두를 넣는다. | |
Semen | UTM | CMV 배양에 주로 이용 | |
Rectal swab | UTM | 대변을 채취하지 못할 경우에 사용 | |
Skin, mucous membrane lesion | UTM | 3~5g | 비괴양성 병소일 경우에는 면봉을 사용하여 병소부위를 문지른 후 수송배지에 넣는다. |
주사기 이용시 transport media 배지에 넣는다. | |||
Stool | 멸균 용기 | 발병 후 4일 이내 검체 채취 | |
Tissue | UTM | ||
Urine | 멸균 용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