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시설 기능 및 관리방법
가. 자동화재 탐지설비
1)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화염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발견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에 의해 건물 내의 관계자 도는 거주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음향장치 등을 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수신기의 스위치별 기능
가) 화재등 : 화재발생시 적색으로 표시
나) 지구표시등 : 화재신호가 발생된 경계구역을 나타내는 표시등
다) 전압계 : 수신기의 정류전원(공급전원)표시
라) 예비전원감시등 : 예비전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주는 표시등
마) 발신기응답등 : 수신기에 수신된 신호가 발신기의 조작여부를 식별하는 등
바) 도통 시험등 : 해당회로의 불량(적색등) 정상(녹색등) 여부를 쉽게 판별하는 등
사) 주 경종 정지스위치 : 수신기 내부 등에 설치된 주경종 명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아) 지구경종정지스위치 : 지구경종의 명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
자) 동작시험스위치 :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점검하는 스위치
3) 자동화재 탐지설비 관리
- 경계구역 일람표 비치
- 칸막이 공사 등 감지기 빠지지 않도록
- 감지기 파손, 탈락, 변형 등 외형 점검
- 발신기 버튼, 음향장치, 표시등 점검
- 수신기 내의 축전기 점검
나. 옥내소화전
◎ 건축물 내부의 화재를 진화하는 설비로서 발화초기에 소방차가 도착하기 이 전에 자체요원 또는 건물 수용인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옥내에 설치한 소화전이다
1) 옥내소화전 사용방법
① 소화전함을 열고 관창(노즐)을 잡고 적재된 호스를 밖으로 꺼낸다.
② 호스를 전개하고 옥내소화전밸브를 왼쪽으로 돌려서 개방한다.
③ 두 손으로 관창(노즐)을 잡고 불이난 곳에 물을 뿌려 불을 끈다
④ 화재진화를 마치면 소화전 밸브를 잠근다.
2) 옥내소화전 관리
① 소화전 함내에 호스, 관창 관리 상태 점검
② 소화전 펌프 정상 작동상태 압력 점검
③ 소화전 함 주변에 장애물은 없는 지 확인
④ 배관의 누수, 변형, 부식된 곳은 없는 지 점검
⑥ 수조 안의 물의 량 수시로 확인
다. 스프링클러 설비(간이스프링클러설비)
1) 자동소화설비의 일종. 건물 천장에 배수관을 종횡으로 배치하고, 그 끝에 스 프링클러헤드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급수원에 연결한 것이다. 헤드가 화재로 인해 열을 받아 일정온도(67∼75℃)에 이르면 헤드를 막고 있던 퓨즈가 녹아서 방수구가 열리고, 압력수가 헤드의 살수판에 부딪쳐 넓은 범위에 물을 뿌린다. 살수와 동시에 소화펌프가 자동적으로 작동하며 경보도 울린다.
2) 간이스프링클러설비
- 지하층에 설치 하는 영업장의 바닥면적이 150제곱미터이상인 것
- 근린생활시설로서 연면적1,000제곱미터 이상인 것은 전층
- 합숙소가 있는 교육연구시설로서 연면적 100제곱미터 이상
3) 간이스프링클러 설비 관리
① 수조내의 물의 량, 동결방지조치 확인
② 펌프, 가압송수장치, 예비전원 확인
③ 배관의 변형, 부식, 누수여부 점검
④ 음향장치는 작동상태 점검
⑤ 헤드 주위의에 장애물을 설치 살수 장애가 없도록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