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샴퓨 |
바디 |
비누 |
정제수 |
정제수 |
정제수 |
코카미도프로필메타민 |
코카미도프로필메타민 |
|
오일 |
마시멜로추출물(보습) |
오일 |
|
알코올 |
|
3. 계면 활성제 탐구
물과 기름을 하나로 묶어주는 계면활성제…세정력도 있어 샴푸․비누 원료로 사용된다.
“물과 기름”
이 말은 흔히 철천지원수를 일컫거나 영원히 함께 할 수 없을 만큼 생각의 차이가 클 때 사용되는 말이다. 물과 기름을 한곳에 넣고 아무리 흔들어도, 물과 기름은 결국 따로 분리되고 만다는 것을 누구나 알기 때문에, 이런 말이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영원히 섞일 수 없는 물과 기름을 하나로 묶어 주는 비결은 바로 ‘계면활성제’에 있다. 계면활성제란 경계면에 맞닿아 있는 두 물질을 하나로 묶이게 해주는 것을 뜻한다.
◇계면활성제의 또 다른 주요 기능은 ‘세척’
화장품의 핵심 성분에 속하는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이 섞이게 하는 기능 이외에도 중요한 기능이 하나 더 있다. 그건 바로 ‘세정’능력인데, 샴푸와 비누를 이용해 우리 몸의 더러움을 깨끗이 털어낼 수 있는 것은 계면활성제의 기능 때문이다.
엄밀하게 따지면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①양이온계면활성제, ②음이온계면활성제,
샴푸에 사용하는 ③양쪽성계면활성제, 바디 크린져에 사용 ④비이온성계면활성제가 있다.
Ⅴ. 탐구 결과
알게 된 사실 1
화장의 시작은 깨끗하게 씻는 것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샴푸와 비누 바디 크린져 등이‘화장품’범주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알게 된 사실 2
계면활성제는 샴푸와 비누뿐만 아니라 치약에도 꼭 들어가야 하는 성분이다. 치약으로 묵은 때를 벗겨 낼 수 있는 이유도 바로 계면활성제가 함유돼 있기 때문.
알게 된 사실3
계면활성제를 이용해 청소를 하면 일반 세제를 사다 사용할 때 보다 훨씬 더 강력한 세정능력을 발휘할수 있다.
알게 된 사실4
하지만 요즘 화장품 업계와 생활용품 업계에서는 계면활성제 쓰지 않기 바람이 불고 있다. 이유는 바로 화장품과 세정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석유화학 기술을 이용한 ‘합성’물질 이어서 유해성이 크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인공 계면활성제가 천연 피부보호막인 피지를 과다하게 제거할 뿐만 아니라, 피부세포층까지 파괴해 ‘습진’ ‘아토피’ 등을 유발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또, 주부습진이 ‘물’을 많이 사용해서 생기는 병이 아니라, 주방세제를 너무 많이 사용해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한때 천연화장품을 표방하는 제품들이 ‘100% 천연이 아니다’라는 논란에 휩싸인 것도, 화장품 제조 공정에서는 ‘인공’ 계면활성제를 함유했기 때문이다. 여하튼 아직까지 인공 계면활성제와 아토피 및 습진의 연관성을 뚜렷하게 알 수는 없지만, 아토피를 앓는 아이들이 늘어나면서, 아이 엄마들에게는 샴푸와 비누 등에 천연 계면활성제가 사용됐느냐 하는 것이 상품을 선택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된 것은 사실이다. 특히 유아․아동용 화장품 시장에서 천연 계면활성제 함유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알게된 사실 5
크림과 로션이 발명되기 이전에 인간들은‘오일’을 사용했는데, 문제는 끈적이는 사용감 때문에 사용을 꺼려하게 된다는 것이다.
Ⅵ. 결 론
계면활성제의 물리 화학적인 작용에 의한 오염을 제거하는 것 이외에 다음과 같은 작용이 있다. 즉, 산 염기와 같은 중화작용, 용제와 같은 작용, 연마작용, 산화 환원에 의한 세정 등 수없이 많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계면활성제가 관여하는 세정기능을 가리켜 세정이라고 한다.
세정제는 거품, 세척이 주요 기능이며 이것을 해결하는 것이 바로 ‘계면 활성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계면 활성제에 는 여러 가지가 있어서 샴푸에 사용하는 양쪽성계면활성제, 바디 크린져에 사용 하는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았다. 세 가지의 특성에 따라 보습의 정도, 세균 항균의 정도 등을 가미하는 정도가 달랐다. 그래서 용도에 맞게 사용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비용의 문제와 관계가 있었다.
하나의 세정제로 사용하려면 세 가지를 모두 만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많아져서 소비자는 비싼 세정제를 사야하는 문제점이 탐구 되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사람의 인체에 직접 닿는 세정제의 주 원료가 ‘계면 활성제’ 인데 이 계면활성제가 석유화학 기술을 이용한 ‘합성’물질 이어서 유해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공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기 위한 첫 번째 아이디어는‘천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TV 다큐멘터리 채널에서 원시인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 특정한 식물을 이용해 거품을 일으켜 빨래를 하거나 양치질 등을 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계면활성제 성분을 함유한 식물들이 세계 곳곳에 널려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런 원시적이고 원초적인 방법은 아니지만, 화장품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천연 계면활성제를 추출해 얼굴에 직접 바르는 화장품 외에 바디 클렌저, 페이셜 클렌징, 샴푸, 린스 등 에서도 천연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제품들을 생산하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Ⅶ. 더 탐구해 보고 싶은 점
천연 계면 활성제만 주원료로 하는 제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탐구해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