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東金氏 定獻公進士公派始祖 仙齋金克義先生 不遷位祭事 笏記
지금부터 안동김씨 정헌공진사공파 시조이시며 선비중에 참 선비이신 성균진사 선재 김극의선생 불천위제사를 擧行하겠습니다
行 迎神禮(행 영신례)
제주는 대문을 열고 조상님 맞을 준비를 하시오
진설(陳設)
제상을 차리고 병풍을 치고 양쪽에 촛불을 켜고 신위(지방)를 놓으시오
(집사자는 손을 씻고 제물을 진설한다 신위 앞부터 1열 좌서우동)
1열 반(飯) 잔(盞) 갱(羹) 시저(匙箸) (갱동반서)갱 반은 참신에 올림
2열 면(麵) 탕(湯) 탕(湯) 탕(湯) 병(餠) (좌면우병)
3열 회(膾) 적(炙) 전(煎) 회(膾)(동두서미 어동육서 적전중앙-특식)
4열 포(脯) 나물(3菜) 간장 콩나물 김치(沈菜) 젓갈(醢)(좌포우해 건좌습우)
5열 과일(대추 밤 배 감) 다식 약과(조율이시 홍동백서)
모사기 향 향로 축문 라이터 퇴주기 주전자 술병 첨작잔 물수건
行 降神禮(행 강신례)
강신례를 행하겠습니다
序立拜位(서립배위)
모두 절 할 수 있는 위치에 서시오
祭主盥手(제주관수)
제주는 정화수에 손을 씻으시오
焚香(분향)
제주는 신위 앞에 향을 세 번 살라 혼(魂)을 부르시오
酹酒茅沙(뇌주모사)
제주는 술을 모사에 세번 부어 백(魄)을 부르시오
祭主再拜(제주재배)
제주는 부복 후 재배하시오
行 參神禮(행 참신례)
참신례를 행하겠습니다
諸 再拜(제 재배)
모두 재배 신을 맞이하시오
執事開闔揷匙上箸(집사개합삽시정저)
집사는 수저를 뫼에 꽂고 시저를 정돈하시오
제주는 갱(羹)을 주부는 반(飯-뚜껑덮어)을 올리시오
行 初獻禮(행 초헌례)
초헌례를 거행 하겠습니다
초헌(初獻) 초헌관 18대 종군 대현
초헌 초헌관은 18대 종군 대현입니다
獻官 跪(헌관 궤)
초헌관은 신위전에 꿇어앉으시오(초헌관은 제주가 함)
盞盤 奉奠執事整箸(잔반 봉전집사정저)
집사는 잔반을 헌관에 드려 술을 따르고 헌관은 잔반을 시조불천위이하 고비위전에 올린 후 집사는 젓가락을 제물위에 정저하시오
獻官 再拜(헌관 재배)
초헌관은 재배하시오
諸 俯伏(제 부복)
모두 부복하시오
讀祝(독축)
축관은 축문을 읽으시오
축관○○
축관은 좌측에서 독축하시오 축관은 ○○입니다
諸 俯伏(제 부복)
모두 업드려서 독축을 들으시오
興 平身(흥 평신)
모두 일어나 바로 서시오
獻官祝官 再拜(헌관축관 재배)
초헌관과 축관은 부복 후 재배하시오
退盞初獻乾盞(퇴잔 초헌건잔)
집사와 제주는 첫 번째 잔을 내려서 비우시오
行 亞獻禮(행 아헌례)
아헌례를 거행 하겠습니다
아헌(亞獻) 아헌관○○
아헌 아헌관은 ○○입니다.
獻官盥手(헌관관수)
아헌관은 정화수에 손을 씻으시오
獻官 跪(헌관 궤)
아헌관은 나아가 꿇어앉으시오
盞盤 奉奠(잔반 봉전)
집사는 물린 잔반을 헌관에 드려 술을 따르고 헌관은 잔반을 시조불천위이하 고비위전에 올리시오
獻官 再拜(헌관 재배)
아헌관 부복 후 재배하시오
退盞亞獻乾盞(퇴잔아헌건잔)
집사와 헌관은 두 번째 잔을 내려서 비우시오
行 終獻禮(행 종헌례)
종헌례를 거행 하겠습니다
종헌(終獻) 종헌관○○
종헌 종헌관은 ○○입니다
獻官盥手(헌관관수)
종헌관은 정화수에 손을 씻으시오.
獻官 跪(헌관 궤)
종헌관은 신위 앞에 꿇어앉으시오
盞盤 奉奠(잔반 봉전)
집사는 물린 잔반을 헌관에 올려 술을 따르고 종헌관은 잔반을 시조불천위이하 고비위 전에 올리시오(잔은 7부만 채운다)
獻官 再拜(헌관 재배)
종헌관은 부복 후 재배하시오
行 添酌禮(행 첨작례)
첨작례를 행하겠습니다
祭主盥手(제주관수)
제주는 정화수에 손을 씻으시오.
祭主升(제주승)
제주는 향상 앞으로 오르시오
祭主俯伏(제주부복)
제주는 나아가 부복하시오
添酌(첨작)
집사는 술을 따르고 제주는 시조불천위이하 고비위전에 잔반을 올리고 집사는 첨작 잔반을 받아 시조불천위이하 고비위전에 가득 첨작하시오
行 侑食禮(행 유식례)
유식례 신께 식사를 권하는 례를 행하겠습니다
獻茶 執事 進熟冷(헌다 집사 진숙냉)
집사는 숙냉을 올리고 뫼를 말아 올리시오
祭主 香案 前跪 再拜(제주 향안 전궤 재배)
제주는 향상 앞에 두 번 절하시오
降復位(강복위)
내려서 제자리로 가시오
啓飯揷匙正著(계반 삽시정저)
집사는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 위에 꽂고(동향삽시) 젓가락을 찬위에 올리시오
祭主以下皆出(제주이하개)
제주이하 모두 나가시오
闔門諸外室(함문제외실)
잠시 문을 닫고 모두 방 밖으로 나가 있으시오.
俯伏諸 俯伏祝願(부복 제 부복 축원)
모두 부복하여 9호흡간 축원하시오
제주는 문을 닫고(불을 끄고) 나가서 아홉 술 뜨실 동안 있습니다
祝 三噫歆(축 삼희흠)
축관은 기침 세 번을 하시오
興 平身(흥 평신)
모두 일어나 평신하시오
開門諸入室(개문제입실)
(5분정도 후에) 문을 열고 모두 방 안으로 들어 가시오
祭主以下皆入就位(제주이하개입취위)
제주이하 모두 들어 와 제자리에 서시오
撤羹 獻茶(철갱헌다)
집사는 국그릇을 물리고 차(숭늉)를 올리시오
點茶(점다)
집사는 메(밥)를 조금씩 3번 떠서 차(숭늉)에 게고 숟가락을 물그릇에 담가 두시오
祭主以下鞠躬(제주이하국궁)
제주이하 모두 몸을 굽히시오 1분정도 후 축은 기침하시오
平身(평신)
제관 모두 몸을 바르게 하시오
行 辭神禮(행 사신례)
헌관이하 모두 재배하시오(辭神 말로서 인사)
辭神 諸 再拜(사신 제 재배)
모두 재배하여 작별인사를 올리시오.
退盞撤匙覆飯(퇴잔철시복반)
집사는 시저를 내리고 메 그릇을 덮어 물리시오
行 취복례 (取福禮)
망예례(=望燎망요)를 거행 하겠습니다
焚祝(분축)
제주는 축문을 불에 태우시오(물그릇에 소지)
禮畢(예필) 諸 取福(제 취복)
이것으로 모든 예를 마칩니다
예를 마쳤으니 모두 복(福)을 받아 가지시오
撤床(철상)
집사는 제물을 물리시오 (뒤쪽 1열부터 물린다)
行 飮福(행 음복)
참례자 모두 둘러앉아 음복을 하겠습니다
오늘 음복은 떡과 과일 그리고 제사 비빔밥 대신에 소머리곰탕이 제공됩니다 많은 제관으로 뚝배기에 끓이는 것은 곤란하고 따뜻한 곰탕국이지만 맛있게 드시고 모두 발복 받으시고 행복하고 즐거운 음복이 되시길 축원합니다
제물을 조금씩 거두어 대문밖에 두어 잡귀들을 대접한다
※ 제례는 진사공이하 자손 남녀노소문객동참이며 남녀 모두 재배(再拜)입니다
※ 제례절차의 홀기를 부를 때에는 극존칭을 사용하지 않고 평언(平言)으로 부르며 행동요령에 대해서는 낮은 목소리로 부드럽게 알려주는 정도의 형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자 집사자 축관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위와 같이 정헌공진사공파 성균진사공 선재김극의선생불천위제사 홀기를 만들었습니다 혹여 수정 할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 주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