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요
작전사령부령
제1조(설치와 임무) ① 지상작전부대의 지휘 및 작전 수행을 위하여 육군에 지상작전사령부 및 육군제2작전사령부(이하 “각 사령부”라 한다)를 두며, 각 사령부는 그 관할구역의 작전ㆍ훈련 및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2019년 1월 1일, 대한민국 육군 (구)제1야전군과 (구)제3야전군이 통합하여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 사령부 본부는 (구)3군사령부 청사가 있었던 경기도 용인시에 있다. 부대 명칭 역시 (구)제3야전군의 명칭이었던 '선봉대'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군 전화번호 및 통상명칭도 동일하게 3군 쪽이 존속되고 1군 쪽이 없어졌다. 부대마크는 (구)제1야전군마크를 그대로 사용한다. 부대마크도 그렇고 후방에 2작사가 있다보니 이름에 1이 없는데도 1작사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가끔 있다.
2. 상세
서부전선을 지키던 제3야전군과 동부전선을 지키던 제1야전군이 통합해 출범한 초대형 사령부로, 전방 방위를 총괄하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한다. 병력 자원 감소에 따른 효율적인 군 운용과 부대 감축 등의 전략적 여건을 고려할 필요성에 따라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노태우 정부의 국방개혁안인 8.18 계획에 처음 나왔다.
그러나, 대규모 작전 계획을 수립해야 하다 보니 시간이 많이 소요된 면도 있고 보직 감소에 따른 군부 내 반발로 인해 창설이 지연되었다. 무엇보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얽힌 부분이 있다 보니 꼬인 게 지금까지 온 것이다. 국민의 정부에서도 2000년 12월 1일을 목표로 창설을 시도한 바 있으나 유야무야되었고 참여정부에서도 2010년 창설을 목표로 했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박근혜 정부에서도 2015년 창설 계획을 내놓았지만 무산되었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이미 한 차례 창설 시점을 늦추었다가 2018년 11월 27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여 2019년 1월 1일 창설되었다.
지작사는 참모부와 군수지원사령부, 화력여단, 지상정보단 등 직할부대, 지역군단 및 기동군단 등으로 편성되어 작전 지휘와 지원 능력을 구비하고 있다. 지작사는 합참의장의 작전지휘를 받아 5개 지역군단(수도.1.2.3.5), 1개 기동군단, 지역방위사단, 지상정보여단 등을 지휘한다. 즉, 제2작전사령부와 육군본부 직할 부대를 제외한 육군 대다수 야전부대가 지작사의 지휘를 받게 되는 것이다. 초대 사령관으로는 김운용 전 3군사령관(육군 대장·육사 40기)이 임명됐으며, 부대마크는 기존 1군사령부 마크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육군은 1973년부터 전방을 지키는 1·3군과 후방을 지키는 제2군의 3군 체제였으나, 지작사를 창설함에 따라 45년 만에 지작사와 제2작전사령부의 2군 체제로 바뀌게 되며 후방인 삼남 지방(충청, 경상, 전라)을 제2작전사령부가 관할하고 전방인 경기·인천·강원은 지작사가 관할한다. 수도 서울은 별개로 육본 직할의 수방사 관할.
3. 지휘부
초대 지상작전사령관에는 제3야전군사령관이었던 김운용 육군 대장이, 부사령관에는 조종설 육군 중장이, 참모장에는 이정기 육군 중장이 임명되었다. 지작사 부사령관직 또한 舊육군 제1, 3야전군의 부사령관직처럼 육군 중장의 한직인데, 실질적인 업무는 동계급의 참모장이 수행하기 때문이다.
지상작전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부사령관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지상작전사령부 주임원사
지작손식
제 37대 7기동군단장 중장 ...
권대원중장
원사김영일
대장 손식(육사 47기)
중장 김호복(3사 27기)
중장 권대원(학군 30기)
원사 김영일
4. 편제
휘하에 수도군단, 제1군단, 제2군단, 제3군단, 제5군단, 제7기동군단 총 6개의 군단을 둔다. 위기 발생 시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Combined Ground Component Command) 기능도 수행한다. 이외에도 북한의 장거리포 위협 대응을 위한 직할 화력여단, 지상정보여단을 둔다.
4.1. 직할부대
제36보병사단: (구)제1야전군 직할 사단
제55보병사단: (구)제3야전군 직할 사단
화력여단: 2019년 1월 3일 창설. 천무, MLRS, 전술지대지유도무기 운용.
정보통신여단: (구)제3야전군 직할 제13정보통신단과 (구)제3야전군 직할 제11정보통신단을 통합 개편.
특수기동지원여단: 아군 기동, 대기동을 지원하는 공병부대.
지상정보여단
드론봇전투단: 드론 및 UAV를 운용. 창설간에 임관과 동시에 장기를 시켜주는 조건으로 드론운용부사관 대거선발.
제1101공병단
군사경찰단
근무지원단 - 병영 식당 영상
방공단
제3지형분석대
공군 항공지원작전본부(ASOC)
한미연합사단
JSA대대
4.2. 예하부대
군단 편제
수도군단
제1군단
제2군단
제3군단
제5군단
제7기동군단
수도군단
제17보병사단
제3경비단
제51보병사단
수도포병여단
제10항공단
제1175공병단
제100정보통신단
제700특공연대
지원부대
제55보병사단(지상작전사령부): 수도군단 작전통제부대
해병대 제2사단(해병대사령부): 수도군단 작전통제부대
수도군수지원단(제1군수지원사령부)
제1군단
제1보병사단
제9보병사단
제25보병사단
제2기갑여단
제30기갑여단
제1공병여단
제1포병여단
제1군수지원여단
제11항공단
제11방공단
제101정보통신단
제701특공연대
제301경비연대
지원부대
국군고양병원(국군의무사령부)
제2군단
제7보병사단
제15보병사단
제3기갑여단
제2공병여단
제2포병여단
제2군수지원여단
제12항공단
제102정보통신단
제702특공연대
제302경비단
지원부대
국군춘천병원(국군의무사령부)
제3군단
제12보병사단
제21보병사단
제22보병사단
제1산악여단
제23경비여단
제20기갑여단
제102기갑여단
제3공병여단
제3포병여단
제3군수지원여단
제13항공단
제103정보통신단
제703특공연대
제303경비단
지원부대
국군홍천병원(국군의무사령부)
국군강릉병원(국군의무사령부)
제5군단
제3보병사단
제5보병사단
제6보병사단
제28보병사단
제1기갑여단
제5공병여단
제5포병여단
제5기갑여단
제5군수지원여단
제15항공단
제15방공단
제105정보통신단
제705특공연대
제305경비연대
지원부대
국군포천병원(국군의무사령부)
국군양주병원(국군의무사령부)
제6군수지원단(제1군수지원사령부)
제7기동군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2신속대응사단
제8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
제7공병여단
제7포병여단
제17항공단
제107정보통신단
지원부대
제7군수지원단(제1군수지원사령부)
국군구리병원(국군의무사령부)
제1군수지원사령부: (구)제1야전군 소속. 1·2·3·5군단을 제외한 나머지 군단에 대해 군수지원임무실시.
수도군수지원단: 수도군단·수도방위사령부 지원
제6군수지원단: 경기도 중부전선 지원
제7군수지원단: 제7기동군단, 육군항공사령부 지원
제8군수지원단: 강원도 내륙지역 부대 지원
5. 과거부대
제30기계화보병사단
제6군단
제6공병여단
제6포병여단
제106정보통신단
제306경비연대
제706특공연대
제8군단
제23보병사단
제1170공병단
제12포병단
제308경비연대
6. 출신인물
6.1. 장교/부사관
소장급
예)소장 김용호: 정보참모부장 역임
예)소장 김현섭: 정보참모부장 역임
소장 박진영: 정보참모부장 역임
소장 양전섭: 정보참모부장
예)중장 이정웅: 작전참모부장 역임
예)중장 권영호: 작전참모부장 역임
예)소장 함희성: 작전참모부장 역임
소장 정형균: 작전참모부장 역임
소장 오병석: 작전참모부장 역임
소장 김화종: 작전참모부장
준장급
소장 고태남: 군사지원참모부장 역임
준장 전병희: 군사지원참모부장 역임
소장 류승민: 인사참모부장 역임
준장 추병대: 인사참모부장 역임
준장 정진웅: 인사참모부장
준장 권한석: 군수참모부장 역임
중장 곽종근: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역임
중장 박정택: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역임
소장 오병석: 작전처장 역임
소장 조종래: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역임
준장 구삼회: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역임
소장 김진성: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역임
준장 허태선: 작전참모부 작전처장
대장 박안수: 작전참모부 작전계획처장 역임
예)준장 김영섭: 작전참모부 작전계획처장 역임
소장 윤봉희: 작전참모부 작전계획처장 역임
소장 조원희: 작전참모부 작전계획처장 역임
소장 양태봉: 화력참모부장 역임
소장 강인규: 작전참모부 화력처장 역임
준장 이승찬: 작전참모부 화력처장 역임
준장 김남훈: 작전참모부 화력처장
예)소장 이경일: 정보통신참모부장 역임
준장 이재숭: 정보통신참모부장
대령급
준장 김병기: 인사복지국장 역임
소장 김흥준: 작전기획과장 역임
준장 마상현: 정책실장 역임
준장 양기열: 통합화력계획/운용과장 역임
소장 정광웅: 작전계획과장 역임
대령 최광혁: 법무실장 역임
소장 최장식: 연습훈련과장 역임
6.2. 병
김경민
박도준
유성
이인혁
창조
7. 기타
7.1. 근무환경
계룡대나 국직부대 만큼은 아니겠지만 육군 기준 이곳도 상당히 상위권에 속하는 부대이다. 우선 수도권에서도 인구가 많은 경기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부대에서 택시로 10분 거리에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이 있어서 교통도 편리하다.
위치 외에도 부대 내부 경관도 상당히 괜찮은 편이다. 사령부 내부에 작은 호수도 있고, 길을 따라 곧게 세워진 가로수길은 봄이 되면 벚꽃잎이 흩날리는 장관을 연출한다. 가끔씩 호수에 오리들이 헤엄치고 있는 모습도 보이고, 조성되어있는 올레길을 따라 걷다보면 간혹 고라니도 만날 수 있다. 물론 도망간다.
사령부 내 다양한 부대가 있어 일괄적으로 말하기는 힘들지만, 가장 주류가 되는 근무지원단의 경우엔 통합막사 생활을 한다. 막사 내부에 PX, 체력단련실, 목욕탕, 도서관 등등이 전부 있어서 식사를 포기한다면 주말에는 막사에만 틀어박혀 있는 것도 가능하다. 막사 지하에는 대형 목욕탕이 있는데, 사용하기 전 미리 내려와서 탕에 물을 받아놓아야 한다. 체력단련실과 바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헬스 후 바로 목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체단실과 목욕탕 둘 다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호출당할 일이 없거나, 호출당해도 말해줄 후임이 있는 짬 되는 인원들 중심으로 사용하게 된다.
편의시설 역시 적어도 부족하진 않고 있을 건 다 있는 편. 풋살장, PX, 사지방, 헬스장, 오락실(플스와 스타크래프트/워크래프트 등등을 지원해준다), 노래방 등등. 매주 토요일에는 선봉강당에서 영화시청이 가능한데 강당 입구에서 직접 튀기는 팝콘이 판매된다. 병영도서관과 별개로 사령부 본청 도서관이 있는데 장서량이 아주 많지는 않아도 어느정도 되는 편. 의무대 건물이 별개로 존재하는데, 어지간한 진료는 다 가능한데다가 유사시 수도병원에 가는 것도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근방에 에버랜드가 위치해 있어서 휴가나 외출을 나온 장병들이 군인 할인을 받아 여자친구와 데이트를 즐기는 모습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구 3군사령부를 농담삼아 에방사(에버랜드방위사령부)라고 호칭하기도 했었다고 한다.
7.2. 선봉레스텔
위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235번길 26
면회를 선봉레스텔에서 할수있다. 레스텔이란 군에서 운영하는 복합시설로 지하에는 셀프빨래방, 대중목욕탕이 있으며, 저렴한 가격에 고기를 먹을 수 있다. 전역병들 중 일부는 '선봉찌개'라는 부대찌개를 그리워하기도 한다. 미군PX는 2012년 말경 폐쇄되었다. 1층에 파리바게트와 영외마트(PX), 군장점과 분식집이 있다.
7.3. 사령부가
동해에서 서해까지 대한의 중심에서
위국헌신 정신으로 하나되어 뭉쳤다
전장을 지배하는 최강의 전력으로
평화번영 통일조국 영원히 빛내자
전장의 중심이다 통일의 선봉이다
승리를 주도하는 지상작전사령부
한라에서 백두까지 아름다운 우리 강산
목숨바쳐 지키리라 여기에 뭉쳤다
과학기술 중무장한 전승의 지상군
뜨거운 전우애로 태양처럼 빛내자
전장의 중심이다 통일의 선봉이다
승리를 주도하는 지상작전사령부
8. 사건사고
9. 여담
합병 전 (구)제3야전군에서 주차장으로 하도 불만이 많았기 때문인지 지상작전사령부는 주차장이 아주 크고 넓다. 건물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식당에 갈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병영식당보다 밥도 맛있었으나, 민자 위탁으로 바뀌면서 그냥저냥이 되었다. 코로나 시즌 때 급양 관련으로 전군이 까인 후로는 병영식당이 푸짐하고 메뉴도 다양하다.
2031년 지상작전사령부 관내 사단 신병교육대대가 완전히 폐지될 예정이다.
10. 관련 문서
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대한민국 육군본부
제1야전군
제2작전사령부
제3야전군
작전사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