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의 자료는 Carstar 동호회에서 발췌한 자료임을 알려드립니다.
1. 접지포인트( EARTHING POINT)
제가 1차로 접지한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6곳)
▶. 왼쪽 스트럿
▶. RPM 조절하는 나사 있는곳(용어를 몰라서리..)
▶. 본넷 앞쪽 라지에이터
▶. 제너레이터
▶. 엔진 헤드 뒷쪽
▶. 오른쪽 냉각수통 있는 아래
2. 소요비용
▶. 동판 단자대 : 4000원(쇼핑몰)
▶. 케이블 : 3000원/1미터-4게이지(오됴삽) - 5미터
▶. Y 및 링 터미널 : 쇼핑몰에서 단자대 사면서 얻음
3. DIY전 기대항목
▶. 과도한 순간전력사용시 엔진 RPM 하강방지기대(IDLE 상태에서 유리창을 끝까지 올렸을때 이런현상 발생하죠?)
▶. IDLE 상태에서 엔진부조화 현상 감소기대
▶. 그외 원할한 -전기 공급으로 인한 모터류 성능향상기대
4. DIY후 4일 관찰결과
▶. 순간전력과대사용시 RPM 하강현상은 달라지지 않았음
▶. IDLE 상태에서 엔진부조화 현상은 DIY전 가장 기대했던 항목인데 DIY 한 첫날은 달라진점 없었으나 4일이 지난 오늘은 2시간 운행후 확인해 본 결과 IDLE 상태에서 발생하던 부조화 현상이 90%정도 없어졌음. 정상적인 엔진음과 함께 주기적으로 드르럭 드르럭(듣기에 따라서 스륵 스륵 스르륵 뭐 이런 소리) 하는 소리가 엔진에서 나서 신경이 쓰여 정비결과 타이밍 벨트를 갈아야 해결된다고 해서 포기하고 있었는데 RPM 이 상승했다가 떨어질때 잠깐 발생하고, IDLE 상태에서는 거의 부조화현상 없어졌음
▶. 그 외의 것은 직접 눈으로 보거나 귀로 듣거나 할 수 없는것이라 성능개선여부를 파악하기는 어려움.
5. DIY 할 시 주의할 점
▶. 엔진의 열이 대단한건 예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그 열이 케이블에도 똑같이 발생함(무지 뜨거움). 가능한 싸구려 케이블을 이용하지 말고 좋은 케이블을 이용해야 함. (1미터당 3~5천원 정도 예상하길)
▶. 단자대 : 접지포인트 아홉군데를 예상하고 단자대를 준비할 것.
1. 엔진

2. 좌쇼바

3. 우쇼바

4. 밧데리 측.

5. 엔진룸

[접지 관련 묻고 답하기]
안녕하세요, 네트런넙니다
그럼 다른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들을 Q&A형식으루 적어봅니다.
Q: 접지튜닝을 하면 출력이 높아진다?
A: 아닙니다, 접지튜닝을 함으로써 자동차내에 안정된 전력을 유도함으로 인해서 간접적인 출력향상이 있을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접지튜닝 자체가 직접적인 출력향상을 도모하지는 않습니다.
Q: 연비가 좋아진다?
A: 자동차는 -극이 차체를 통하여 엔진룸밑 자동차의 전기를 쓰는 모든곳에 접지가 되어있습니다
순정상태의 배터리 -극을 보시면 두가닥의 굵고짧은 전선이 엔진 우측으로 지나가서 자동차내의 모든 전기장치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도체(차체)에는 저항이 있기때문에, 특히 전력소모가 많은 엔진룸쪽에 직접 접지를 시켜줌으로서 보다 원활한 전기의 흐름을 도모함이 목적입니다
당연히 전류의 저항값이 줄어들게되므로 전기장치의 부하시 RPM이 줄게되고, 이는 간접적인 연비향상에 도움이 되고 그에 간접적으로 출력향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Q: 가장 좋은 접지 접점부위는?
A: 특별히 통계적으로 나와있는것은 없습니다.
되도록이면 HOT부분의 엔진가열시 뜨거운 곳은 제외시키고 흡기 센서쪽과 점화장치 주변, 그리고 차체에도 하시면 좋습니다.
Q: 차에 무리는 가지 않나요?
A: 단지 -극을 늘려주는 것이므로 자동차의 전기계통에 이상은 없습니다.
Q: 효과는?
A: 타차량들의 통계를 살펴보면 작업전과 비교해서 약 0.5V-1V의 전압상승이 있습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야간에 미등,전조등,상향등,안개등,에어컨4단등 모든 전기장치를 켰을때 작업 전과 비교해서 RPM변화가 줄었습니다
어떤 분들은 연비가 5 % 향상되었다는 분들도 계시며 출력도 향상되었다고하지만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Q: 접지튜닝을 함으로써 발생될수 있는 문제점은?
A: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없습니다
작업을 하고난뒤, 엔진룸안의 뜨거운 열기로 인하여 접지선을 타고 배터리로 열이 전도되어 걱정이 되었었는데, 실제로 고속주행을 하고난뒤 엔진룸을 열어 배터리와 접지선을 만져보니 의외로 차가웠습니다
아무래도 주행시 바람의 영향으로 뜨거워지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Q: 전선의 굵기는 반드시 굵은 것을 써야되나요?
A: 철물점이나 주로 전파사에서 팔고있는 녹색 접지선은 그 굵기가 4게이지 오디오전원선보다 가늡니다
제 생각에는 꼭 4게이지 굵기의 전원선을 쓰실 필요는 없지만 반드시 녹색 접지용 전선을 사용하시라고 권합니다. 4게이지쯤 되는 접지용 전선은 어른 새끼손가락 굵기만하고 쉽게 구할수 있는 전선은 모나미볼펜 굵기정도 됩니다
참고로 제가 전선을구한곳은 청계천 7-8가 사이의
황학동 벼룩시장 건너편 시장입구 LG전선이란 곳입니다. 어른 팔뚝만한 전선도 있습니다.. ^^
연결용 고리도 있구요..
4게이지정도로 미터당 1000원정도하고 고리는 200원정도 합니다
Q: 전선은 몇미터나 필요한가요
A: 접점을 몇개 연결하는가에 따라 틀리지만 3군데정도 작업하실때 약 4미터정도 소요됩니다
그러나 배터리 -극의 너트사이에 접점고리 3개이상 연결하기 힘들답니다.
미라그로가 <추가 뎃글로 조언을 해 드리자면...>
전선은 사진에서 보이는것보다 훨~씬 두꺼운 것이 좋습니다. 보통 4게이지선을 추천합니다. 또한, 라이트쪽으로 들어가는 (-)전선을 차체에 접지해주시면, 라이트의 밝기또한 조금은 보상이 됩니다. 참고하시구요~ *^^*
위의 접지는 승용(휘발류) / RV(디젤) / RV(LPG)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첫댓글 사진이 안보여요 ^^
앗. 저는 잘 보이는데요? 안보이세요? 이상하네? 회사에서 올리고, 지금 집인데요... 잘 보이는데? *^^*
이상타...지금도 안보이는데..??
어 이제는 보이네..
저도 했지요.. 아침에 초기 시동성능 많이 좋아졌습니다. 좋아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