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AC의 실제-도구
(1) 도구
- 보조도구를 사용하는 유형 : 그림파, 글자판, 블리스 상징판, 의사소통판 등
- 보조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유형 : 손짓, 기호, 몸짓, 눈 응시, 머리 끄덕임 등
(2) 기법
- 직접선택 : AAC이용자가 선택세트에서 원하는 항목을 직접 가리키는 것
- 간접선택 : 보조도구가 지적해 가는 대로 사용자가 추적해가며 원하는 상징인지 다음 상징으로 넘어갈지 반응
① 직접선택
- 매개 과정 없이 선택세트에서 원하는 항목을 직접 가리키는 것
- 사용자의 표현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빠르며, 선택에 따라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결과가 나타난다.
- 피로감이 크고실패시 받는 스트레스와 자신감 상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1] 직접선택 활성화 전략
- 시간활성화 :일정한 시간 동안 접촉을 유지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것
* 반드시 직접접촉일 필요는 없으며눈응시 광선발사장치로 시간을 충족시켜 선택하는 것도 시간활성화 전략이다.
- 매개활성화 : 접촉을 하다가 접촉을 중단하면 항목이 선택되는 것
* 직접접촉을 요구하는 화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 여과 활성화 : 전체적인 영역에서 각 항목마다 소요된 포인터의 시간을 감지해 가장 긴 시간이 감지된 항목을 선택하는 방법
* 시간활성화나 매개활성화가 어려운 아동에게 적용이 가능하다.
② 간접선택
- 중간에 매개 단계가 포함된 선택
- 개인의 신체 조절을 통해 원하는 항목을 직접선택으로 선택하기 어려울 때 간접선택이 고려된다.
- 미세한 근육활동만으로 조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정보 입력이 제한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1] 훑기
ⓐ 원형훑기
- 가장 단순한 디스플레이 형태
- 많은 항목을 포함할 수 없다.
- 시각적으로 부담이 되지만 인지적으로 배우기는 비교적 쉬워 아동이나 AAC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주로 사용
ⓑ 선형훑기
- 항목이 선택될 때까지 첫째 줄의 항목, 둘째 줄의 항목 그리고 다음 줄의 각 항목으로 커서나 화살표가 이동한다.
- 많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 많은 항목이포함될 수록 선택 효율이 나쁘다.
- 원형훑기에 비해 요구는 많지만 간단하면서도배우기가 더 쉽다.
ⓒ 집단ㅡ항목훑기
- 마지막 선택이 이루어질 때까지 항목들로 이루어진 집단을 판별 후 점차적으로 옵션을 제거하는 방법
- 선택효율이 선형훑기보다 좋으며 보다 많은 항목도 가능하다.
- 줄칸 훑기 : 시각적 집단 항목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 해당 줄이 선택되고 나면, 원하는 특정 항목에서 훑기가 멈춰질 때까지 그 줄에 포함된 개별 항목들이 한 번에 하나씩 두드러지게된다.
(출처)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1(AAC에 대한 이해) 작성자 특교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