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저>
자신을 찾아서-에니어그램과 게슈탈트
cafe.naver.com/mindcare
한때 MBTI에 관심이 많아서 (지금도 많지만 ^^;)
학교 도서관에서 논문비슷한 책을 읽어본적이 있습니다
거기서 흥미로웠던 것 중 하나는 유형별 IQ 평균 이었는데요
놀라운 사실은
'모든 N형'이 'S형' 보다 IQ 평균치가 높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도 그럴수 밖에 없겠구나 싶은데
사과가 눈앞에 있다 치면
S형은 '사과가 빨갛다.' '이 사과는 달겠지?' '사과가 약간 찌그러진거 같다.'
이런 사실적 사고를 하는것에 반해
N형은 사과가 앞에 있다면 어릴적 과수원에서 할아버지와 사과를 따던 기억,
윌리엄 텔 가곡에서의 사과 과녁 파트, 스피노자의 명언등을 떠올리게 된다는군요,, (본인 S -_-;;)
이런걸로 볼때 N형 사고의 폭이 깊고 넓다는것이
IQ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IQ 100을 기준으로 최저 -20,최고 +20 으로 봤을때
제일 낮은 평균치의 유형은 ESFJ 였구요(평균 80정도),,
ISTP가 (평균 100정도)로 S유형 중에 가장 높았습니다.
모든 N유형은 평균 100이상으로 나왔는데,,
그중에 가장 높은 유형은 INFP 였습니다. (120 정도)
이것밖에 기억이 안나네요 ^^;
나중에 시간나면 다시 가서 찾아보겠습니다~
이 세가지 유형중에 속하시는분 있나요 ^^;
첫댓글 이 글이 절대적이라고 보지 않는게.. mbti 논문에서는 아이큐는 NT>NF>SP>SJ N,P일수록 높다. 학업성적은 NT>SJ>SP>NF, 주로 I,T,J 일수록 높다. 제 기억엔 이게 맞는 것 같네요.
흠.. 제 친구가 ISTP인데 머리가 엄청 좋아요. 저는 nf인데 노력은 하지만서도 성적은 크게 좋지 않습니다. 이거 잘 맞는 것 같네요..
과연 그걸까요? 위험한 발상같네요. 외국에선 IQ높다는 걸 그다지 신뢰하지도 않고 좀더 진보적인 특수교육분야에선 장애로도 봅니다. 지능이 비정상적으로 발달되다보면 정서적 결핍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사례가 많습니다. 아이는 정서결핍으로 인한 자기보존차원에서 지능을 발달시킨다는 원리도 있더군요.
말뜻을 못알아들은 듯하네요. 통계는 통계일 뿐입니다. 평균치일뿐이죠.
알아서 판단해야져. 1반이 전체 성적 일등이고 2반이 꼴등이래도 1반 꼴등이 잘난 것은 아니니까요. 반대로 2반 일등이 1반 일등보다 우월할 수도 있구요.
절대적이지 않지만 그럴싸하게 들리는군요.. ㅋㅋ
학습적인 아이큐말구요, 사고의 폭이나 능력적인 면에서 뛰어난 정도로 보는 것이 바람직할 듯 하네요. 지능의 유형은 다양하기때문에 지적능력만으로 파악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듯 하네요..
모든 N이 모든 S보다 똑똑하다 라고 말하면 틀린말이겠지만, 일반적으로 N이 S보다 넓고 깊게 사고하는건 사실입니다. 음악과 과학을 하는 사람이 S보다 N이 많은 것도 이를 증명하는 것 아닐까요?그렇다고 제 말은 S는 과학 음악을 안하다는 소리가 아니라는 겁니다.
그러니까,저는 NT 고 친구는 SJ인데, 걔가 더 똑똑한데요, 그러니까 이 글은 틀렸어요,라고 하면, 정말 황당한 소리가된다라는 거져.
아, INTJ 130이 낮은 게 아니었군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