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 Save Its Dying Tongue, Indonesian Isle Orders Out for Korean
죽어가는(사라져가는) 언어를 구하기 위해 인도네시아섬은 한글에게 출동 명령을 하달
By TOM WRIGHT and GORDON FAIRCLOUGH
SORAWOLIO, Indonesia -- In an elementary school here on the remote Indonesian island of Buton, a teacher named Abidin recently began to show students how to write their endangered native language -- in the Korean alphabet. Mr. Abidin carefully copied some Korean letters from a textbook onto the blackboard and asked his fourth-grade class what they spelled in their Cia-Cia tongue, a Malayo-Polynesian language related to others spoken across Indonesia. "I eat fish," they replied in unison. The students know little about Korea, 3,500 miles north of their home here. Until a few months ago, none had met a Korean and most still have trouble locating the Korean peninsula on the world map pinned to the wall of the dusty schoolroom. But the students have become the latest guinea pigs in a quest by South Korean linguists to demonstrate that the world would be a better place if just a few more people used the Korean script known as Hangeul. Koreans are extremely proud of Hangeul, invented by a Korean king in the 1400s. And they are determined to win it a broader following abroad -- challenging Chinese characters and the ubiquitous Roman alphabet. The main target: ethnic minorities whose own languages have no writing of their own and are in danger of dying. The Cia-Cia are a group of former hunter-gatherers from the mountains of Buton who now make up the island's poorest subsistence farmers. To entice them to use Hangeul, linguist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fered to produce a version of the script, adapted to the sounds of Cia-Cia (pronounced chee-ah chee-ah), and provide textbooks and crash courses in using the alphabet, which is entirely new to the Cia-Cia. The linguists also dangled the prospect of closer economic ties between South Korea, one of Asia's largest economies, and Buton, which once was an important spice-trading hub but now is a struggling outpost reliant on farming, fishing and asphalt exports. "They want to preserve their language and culture," says Lee Ho-young,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nguist who is leading the project and who co-wrote the new Cia-Cia textbook. To date, South Korean linguists have had little success spreading what they see as the scientific beauty of their native script. Korean missionaries have used an adapted version for languages spoken in Nepal and elsewhere. One of South Korea's leading phonetics experts in the late 1990s devised a Hangeul-based alphabet for Lahu, spoken by an ethnic group that lives in 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But such efforts haven't sparked a broad adoption of Hangeul.
소라월리오,인도네시아--부톤의 외딴 벽지 인도네시아 섬에 있는 이곳 초등학교에서는 아비딘이라는 이름의 한 선생이 최근 자신들의 사라질 위기에 처한 말을 한국문자로 쓰는 방법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아비딘씨는 조심스럽게 칠판위에다 교과서에 있는 어떤 한국어를 배껴쓰고 배껴쓴말이 인도네시아 전역에 쓰이는 말과 관련이 있는 말레이오폴레네시안 말인 치아치아언어로 무었을 스펠(철자를말하다)하는 것인가를 4학년 학생들에게 물었다. 나는 해선을 먹는다는 뜻입니다 라고 학생들은 인유너슨(조화,화합,일제이) 대답했다. 학생들은 이곳 그들의 마을에서 3500마일 떨어져 있는 한국에 대하여 거의 아는 것이 없다. 몇달전까지만 해도 그 누구도 한국인을 본적이 없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은 아직도 먼지투성이의 교실벽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는 세계지도에서 한반도를 찾아내는일이 힘들다. 그러나 학생들은 세계가 단 몇사람이라도 한글로 알려진 한국문자를 사용한다면 더 좋은 세상이 될것인가를 논증하려는 한국언어학자들에 의해 가장최근의 기니아피그(실험재료)가 되고 있다. 한국은 1400년대 어느 한국인 왕이 고안한 한글에 대하여 대단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국의 언어학자들은 한자와 세계공용어가 된 영어에 도전하는 더 큰 차기(순풍의) 세상에서는 반드시 한글로 승리하겠다는 마음을 먹었다. 한글 해외 확산의 주요타겟은 자신의 말을 자신의 문자로 표현할수가 없어 자신의 말이 사라져가고 있는 소수민족을 타겟으로 한다. 치아치아족은 이섬의 가장가난한 서브시스턴스(생존,생계) 농민들을 구성하고 있는 부톤 산악출신의 이전 헌더케더러(수렵민족)이다. 치아치아족이 한글을 사용하도록 꼬시기위해 서울대학의 언어학자들은 치아치아소리에 어뎁프트투(적응된,맞는) 문자형을 생산하여 제공했고 치아치아족에게 있어 완전이 새로운 것이되는 한글 알파벳을 사용하는 교과서와 크레쉬코스(특강)를 제공했다. 언어학자들은 또한 아시아의 경제강국 한국과 한때는 중요한 양념교역허브였다가 지금은 농업,어업과 아스팔트수출에 의존하는 절치부심하는 전초기지가 된 부톤사이에 밀접한 경제협력 가능성에 댕글(매달리다)하였다. 치아치아족은 자신들의 말과 언어를 보존하기를 원하고 있다 라고 그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새로운 치아치교과서를 공동집필한 서울대학의 언어학자 이호영씨가 말 했다. 현재까지 한국언어학자들은 독특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한글을 전세계에 확산 시키는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한국전도사들이 네팔과 다른 나라에서 사용하는 말에 맞은 적응버전 한글을 사용해왔다. 1990년대말 한국의 주요 퍼네틱(음성의) 전문가들이 중국남부와 아시아 남동부에 살고 있는 민족들이 사용하는 라우어에 대하여 한글에 기초한 알파베트를 고안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노력들은 한글의 광범위한 해외 채택에 스파크(야기하다,도화선이되다)하지 못했다.
The odds of success on Buton Island also appear long. Cia-Cia speakers number in the tens of thousands and eke out a living farming cassava and other crops. The poorly funded local education system puts emphasis on the teaching of Islam, and students by local law must be able to read the Quran in Arabic script before progressing to junior high school. Lapela, an 84-year-old Cia-Cia community leader who dresses in traditional striped shirts and wears a long wispy beard, says that since the language has lasted 500 years without a script he wonders why it needs one now. The community survived after being forcibly relocated by the Indonesian government from their remote mountainous jungle homes in 1970 and will do so "until the day of reckoning," Mr. Lapela says. Hoping for a breakthrough, the South Korean linguists traveled to Buton in July to launch the program and attended a Cia-Cia tribal dance. Korean television crews and documentary makers have descended on the isolated community, which takes a day to reach by air and sea from Jakarta, Indonesia's capital. In November 2008, the South Korean team flew government officials from Bau-Bau, the island's largest city, to Seoul, where they toured South Korean companies and visited with tourism-development officials. Amirul Tamin, the mayor of Bau-Bau, is excited by the economic opportunities. He's hoping to build a Korean cultural center in Bau-Bau and plans to export seaweed to South Korea. He dreams of one day drawing South Korean tourists to the island's beaches, despite the lack of reliable air links or major hotels. "Maybe Korean companies will invest in Bau-Bau and open businesses here," says Mr. Tamin, a member of Buton's dominant Wolio ethnic group, which speaks a language that is written with a modified Arabic script. The Hangeul push on Buton has roots in the work of Lee Hyun-bok, a distinguished linguist now retired from his pos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o has created an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based on Hangeul. His alphabet has more than 80 letters, compared with the 24 used today to write Korean, and is designed to cover nearly every human speech sound. Hangeul -- which has similar symbols for related sounds and letters that mimic the shape of the mouth when they are spoken -- "was created all at once as a complete system," Mr. Lee said. "It's very logical."
부톤섬에서의 한글의 성공 오즈(가능성,유리한조건)들은 오래 장기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치아치아어를 말하는 사람들이 수만명에 달라고 있으며 카사바나 다른 작물을 가꾸며 입에 풀칠을 하며 겨우 살아가고 있다. 서날께이 정도의 돈이 투자되는 그 지역 교육시스템은 이슬람을 가르치는대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그나라 법에 의거 치아치아지역 학생들이 중학교로 프라그레스투(이동하다)하기 전에 반드시 아랍어로 적혀 있는 코란을 읽을수 있어야 한다. 전통적인 줄무니셔츠와 위스피(성긴) 턱수염을 달고 있는 84세의 치아치아 마을대표 라펠라씨는 글자 없이 말이 500년이나 사용되며 살아 남았는대 왜 지금 한글을 배울려 그러는지 궁금하다고 말 했다. 그 마을은 인도네시아 정부에 의해 1970년대 오지 산악 정글지에서 강제로 이주되어도 살아 남았고 레커닝(최후의심판) 그날까지 살아 남을 것이라고 말 했다. 돌파구 찾기를 휘망하면서 한국언어학자들은 한글보급 프로그램을 처음 시행하고 치아치아부족춤 축제에 참가하기위해 7월 부톤섬이역으로 여행했다. 한국텔레비진 방송국 단원들과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은 비행기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도착한후 바다를 통해 접근하는대 하루가 걸리는 이 외딴 마을로 내려 왔다. 2008년 11월 한국팀은 이섬의 가장큰 도시인 바우바우 지방정부 관계자들을 한국회사들을 방문하고 광광개발관계자들과의 면담을 주선키 위해 서울로 대려왔다. 바우바우의 시장 아미룰 타민씨는 경제적 가능성에 흥미를 가졌다. 그는 바우바우에 한국문화센터를 걸립하고 김,미역과 같은 해초를 한국에다 수출하기를 휘망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바우바우에 믿을만한 항공편과 메이저급 호텔이 없지만 바우바우시장은 언젠가 한국관광객들이 바우바우의 해변에 몰려들것이라는 꿈을 꾸고 있다. 아마 한국회사들이 바우바우를 방문하여 이곳에서 사업을 트게 될것입니다 라고 변형된 아랍어로 쓰여진 언어를 사용하는 부톤섬의 다수민족인 워리오종족 출신인 타민시장이 말 했다. 한글을 부톤에 도입할려는 시도는 한글에 바탕을 둔 국제적 음성알파벳을 만들어온 서울대학은퇴교수 출신인 유명한 언어학자 리현복씨의 노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 은퇴교수의 알파벳은 현재 사용되는 한글에 사용되는 24개의 문자에 비하여 80개 이상의 문자를 가지고 있는대 그것은 모든 인간이 말하는 소리를 거의 모두를 수용할수 있게끔 설계되었다. 사람들이 말을 할때 입 모양을 흉내내는 소리와 문자에 관려된 비슷한 심벌을 가지고 있는 한글은 올엣완스(돌연,한꺼번에) 완전한 체계를 갖춘 글로 창제되었다 라고 이씨가 말 했다. 그것은 아주 놀리적이다 라고 그는 말 했다
Some linguists say the modified Hangeul script prepared for the Cia-Cia is ill-suited to the language. Uri Tadmor, a specialist in Indonesian languages with the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in Leipzig, Germany, notes that Cia-Cia speakers already write standard Indonesian, which uses the Roman alphabet, so "why force them to learn another script?" Mr. Abidin, the schoolteacher, admits he has had some difficulties with Hangeul. But he says the alphabet does a good job capturing certain oddities in Cia-Cia -- like d and b sounds that are pronounced while sucking air into the lungs. "I'm happy now because Cia-Cia culture won't be lost," said Mr. Abidin. In the past, Cia-Cia speakers have made ad hoc attempts to write their language in the Roman script. Karaoke tapes available in Bau-Bau's bustling market feature Cia-Cia. But the result when people try to sing along is often confusion, with lots of mispronounced words. Earlier this year, Mr. Abidin, 32, spent several months in Seoul studying the Korean alphabet and language. He worked with Mr. Lee, the textbook co-author, to adapt the alphabet to capture Cia-Cia's peculiarities. In July, the linguists delivered textbooks to a school in Sorawolio, where elementary-school kids spend the mornings using Hangeul to learn exotic tales, animal names and the history of Buton Island. In one traditional Cia-Cia tale, a turtle sets a trap of bamboo spears under a banana tree and kills a monkey who stole his food. The monkey's relatives try to get revenge, but the turtle creates a fake shell of stone. When the monkey's clan attacks what they think is the turtle, their weapons slip on the stone and -- one by one -- they hit themselves and die. In the afternoons, Mr. Abidin goes to a nearby high school to teach Korean. He acknowledges that he speaks only very basic Korean -- which make his classes dull recitations of words and phrases -- but he hopes the lessons will open economic doors for his students. "It would be great if they can go and work in South Korea," he says.
일부 언어학자들은 치아치아족을 위해 준비한 변형된 할글 문자가 언어로는 일슈티드(부적당한,부적합한)하다 라고 말 한다. 독일 라이프찌히에 있는 진화인류학 막스 플랭크 연구소의 인도네시아어 전문가 타드모르씨는 치아치아어를 말하는 사람들이 이미 영어 알파벳을 사용하는 표준 인도네시아어를 쓰고 있는대 왜 그사람들에게 또다른 문자를 가르칠려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라고 언급한다. 학교 교사인 아비딘씨는 한글로 표현하는대 일부 어려움이 있다라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그는 한글알파벳이 공기가 폐로 흡입되는 동안 발음되는 디음과 비음 같은 치아치아어에 들어 있는 어떤 아더티(기인,괴상함) 말을 켑처(기록하다)하는대 훌륭하다 라고 말 한다. 나는 치아치아 문화가 사라지지 않게 되어 지금 행복하다 라고 아비딘씨는 말 했다. 과거에 치아치아 말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영어알파벳 문자로 자신들의 말을 기록할려는 에드혹(특별히,임시변통으로) 시도를 하였다. 바우바우의 활기넘치는 시장에서 입수가능한 카라오케 테이프들은 치아치아어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함께 여럿이 노래를 할때 틀린 발음을 하는 바람에 종종 혼란이 생긴다. 올해초 32세 아비딘씨는 한글과 한국어를 공부하기 위해 서울에서 몇달을 보냈다. 그는 치아치아말의 독특한 것을 기록하는 한글을 채택하는대 교과서의 공저자 이씨와 함께 일 했다. 7월 언어학자들은 초등학생들이 부톤섬의 이국적인 이야기,동물이름과 역사를 배우는대 한글을 사용하여 아침을 보내는 소라월리오에 있는 학교에서 가져온 한글 교과서를 배포했다. 한 전통적인 치아치아 이야기에서는 거북이가 바나나잎 아래에 죽창 트렙을 설치하고 거북이의 음식을 훔처먹은 원숭이를 죽였다. 그 원숭이의 친척들은 복수를 할려고 했지만 그 거북은 돌로 가짜 껍질을 만들었다. 원숭이의 클렌(파벌,씨족)이 그들이 원숭이라고 생각한것을 공격하였을때 원숭이가 사용한 무기들이 돌에서 미끌어져 튕겨져 한마리씩 한마리씩 원숭이들은 미끌어진 무기에 맞아 죽었다. 오후에 아비딘씨는 한국어를 가르치기위해 인근 고등학교로 간다. 그는 단어와 구문의 덜(단조로운,따분한) 레서테이션(반복)을 하는 오직 기본적인 한국어만을 말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그는 그 수업이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경제적인 문호를 개방하게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만약 그 학생들이 한국에 가 일할수만 있다면 참 좋겠다 라고 그는 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