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 질문하기>
-> 타교수님꺼도 상관 없음
-> 어디에 있는(타교수님꺼 시 타교수님이라는 호칭)
-> 무엇이 궁금한지 (구체적으로)
-> 본인이 왜 그리 생각하는지 (선택)
-> 사진첨부(되도록/ 선택)
*비댓 시 제목 등에 비댓 표현 꼭!!*
계산문제를 풀면서 헷갈리는 부분이 잇어 질문드립니다!
1. 연소반응식을 사용할때 부피를 구하는 문제에서
만약 산소의 부피를 구하라할때
O2앞에있는 수가 정답이 되는데
체적을 구하라는 문제에서는 1몰=22.4L라는 공식을 쓰는거 같은데 몰수=부피수=계수비=체적으로 알고 있는데 부피=체적 같은거 아닌가요 어떨때 22.4를 쓰면 되는건가요?
2. 더불어 문제에서 이론공기량이 몇L인지를 묻는 문제에서 그냥 산소량×100/21하면 정답이 되던데 이때는 또 22.4L가 왜 안쓰이는걸까요?..
첫댓글 22.4L를 쓰는 경우는 몰수가 주어지거나 구한 다음 사용하는 겁니다.
모든 기체는 0도씨 1기압에서 1몰의 부피가 22.4L이기 때문입니다.
연습문제에서
1. 에탄올 1kmol을 완전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산소의 체적은?
이때는 22.4를 사용하고
2.뷰테인 가스 2m2(제곱미터)를 완전연소 시킬 때 필요한 이론 산소량과 공기랑은 몇 M3인가?
이때는 22.4를 사용하지 않는데 1번은 몰수를 직접적으로 내주고 2번은 안줘서 그런건가요?
그런데 부피비= 계수비 = 몰은 같은거 아닌가요?
@장똘빼이 ‘비’가 같은 것이지요.
그래서 1번은 몰을 찾은 다음 22.4를 곱하여야 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