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그를 만났다.
아니, 그의 얼굴을 물끄러미 올려다봤다.
여느 떄처럼 그는 서울 남산터널 앞 신호등 위에서 하얀 이를 드러내며 수줍게 웃고 있었다.
나는 2023년 가을에 서 있었고, 신호등 건너편의 그는 1990년대 말 어느 계절 경기 평택 어딘가에서 웃고 있었다.
사늘해서 더 맑게 느껴지는 하늘 아래 걸린 현수막, 팽팽하게 걸어 또렷이 보이는 그의 얼굴과
그날의 사연을 담은 굵은 고딕체 글씨가 보는 이를 더욱 아프게 했다.
'실종된 송혜희 좀 찾아주세요!'
아버지는 24년째 소리없이 울부짖고 있다.
딸을 기다리다 먼저 세상을 등진 아내의 바람까지 등에 지고, 공부 잘하고 착하고 잘 웃고, 그래서 더없이 예쁜 어린 딸을 찾고 있다.
남산뿐만 아니라 종로, 동대문, 고속도로 곳곳에서도 현수막 속 그는 해맑게 웃고 있다.
아버지는 혹여 햇빛에 먼지에 바람에 비에 딸의 고운 얼굴리 일그러질까.
오늘도 어디선가 간이 계단에 올라 현수막을 바꿔 달고 있을 게다.
나는 엄마다.
그래서 조금은 아주 조금은 안다.
혜희씨 아버지의 간절한 마음을, 저세상에서도 딸을 찾고 있을 엄마의 애절한 마음을,
자식을 잃어버린 부모는 처음엔 돌아올 거란 생각에 애만 탄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도 새끼가 돌아오지 않으면 창자가 녹아 끊어진다.
그리고 창자가 녹아 텅 빈 가슴에 평생 자식을 묻고 산다.
애끊다.
창자.쓸개의 옛말 '애'와 잘라 떨어지게 하다란 '끊다'가 결합한 말이다.
창자가 끊아질 정도로 극한 슬픔을 표현한다.
장기를 칼로 베어내는 고통이다.
말로 표현할 수 없이 슬프면 창자가 끊기는 지경에 이를 수도 있을 게다.
그래서일까.
이 단어는 소리 매 말하는 것만으로도 아프다.
'애끊다'는 '애'에'끓다'가 붙었다.
액체가 뜨거워지면 소리가 나면서 거품이 솟아오르는데, 이 모습을 사람의 감정에비유한 것이다.
따라서 애끓다는 속이 부글부글 끓을 만큼 답답하거나 안타까운 상황을 표현할 때 적절하다.
애타다와 같은 말로 안타까움 걱정 분 원망의 감정과 어울린다.
지난주 본지 사회부장의 칼럼을 읽으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20여 년 된 혜희씨 현수막에 관심을 갖는 누군가가 더 있다는 데 안심이 됐다.
그가 사라진 후 시간이 많이 흘렀지만 한 사람 한 사람 사연을 알린다면 혜희씨 부녀의 애끊는 헤어짐이 끝나지 않을까 기대도 했다.
올해는 혜희씨아버지가 딸을 안고 웃는 모습을 꼭 보고 싶다.
부모에게 자식은 잊으라 한다고 잊히는 존재가 아니다. 노경아 교열팀장